References
- 강현영, 탁병주, 고은성(2016).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 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학교수학, 18(4), 857-880.
- 교육부(2020).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 6-1. 비상교육.
- 권나영(2015). 수학교사 학습공동체의 의미와 활동. 교육문화연구, 21(3), 83-102. https://doi.org/10.24159/JOEC.2015.21.3.83
- 김연, 박미미(2019). 같은 경로와 다른 도착지: 수학교사 공동체의 난제. 학교수학, 21(4), 687-713.
- 김은경(2015).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예상하기 관행과 연결하기 관행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지영(2014).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 사례 분석: 5가지 관행을 기반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원, 임웅(2020). 수학 교사 공동체 관련 국내 외 연구 동향. 수학교육논문집, 34(4), 439-464.
- 김정원, 방정숙, 김상화(2017).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초등 수학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초등수학교육, 20(4), 267-286.
- 나귀수(2010). 초등학교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3), 373-395.
- 문성재, 노정원, 노예솔, 이경화(2019).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한 경력교사의 전문성 신장: 수학적 창의성 촉진을 위한 대푯값 과제의 변형과 실행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8(4), 545-566.
- 방정숙(2006). 학생중심 초등수학 교실문화의 구현과 난제, 수학교육, 45(4), 459-479.
- 방정숙, 김정원(2013).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초등 교사의 5가지 관행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143-164.
- 서은미(2015).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연결하기 관행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선우진, 방정숙(2014).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 분석. 초등수학교육, 17(3), 189-203.
- 오영열, 오태욱(2009).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논문집, 23(2), 327-347.
- 이경화, 나귀수, 권나영, 김동원, 이환철, 이동환, 고은성, 박민선, 박미미, 이은정, 조진우, 박진형(2012). 한국형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4), 581-602.
- 이미연, 오영열(2007). 수학적 과제가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17(4), 395-418.
- 최상호(2020).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이해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수학교육, 59(2), 101-112.
- 최수일(2009). 수업분석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수학 교사의 전문성 제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Chauraya, M., & Brodie, K. (2017). Learn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hifts in mathematics teachers' practices. African J 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1(3), 223-233. https://doi.org/10.1080/0035919X.2017.1350531
- Chen, L. (2022). Facilitating teacher learn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rough action research: A qualitative case study in Chin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9, 103875. https://doi.org/10.1016/j.tate.2022.103875
- DuFour, R. (2004). What i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 Leadership, 61(6), 6-11.
- Hiebert, J., & Grouws, D. A. (2007). The effects of classroom mathematics teaching on students' learning. In Lester, Jr., F. K.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Vol. 1, pp. 371-404). Information Age Publishing.
- Hufferd-Ackles, K., Fuson, K. C., & Sherin, M. G. (2004). Describing levels and components of a math-talk learning communit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2), 81-116. https://doi.org/10.2307/30034933
- Little, M. E. (2020). Collaboration and connection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of mathematics: Enhancing efficacy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RATE J ournal, 29(1), 1-8.
- Pang, J. (2016). Improving mathematics instruction and supporting teacher learning in Korea through lesson study using five practices. ZDM, 48(4), 471-483. https://doi.org/10.1007/s11858-016-0768-x
- Schaap, H., & de Bruijn, E. (2018). Element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chools.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21(1), 109-134. https://doi.org/10.1007/s10984-017-9244-y
- Smith, M., Bill, V., & Sherin, M. G. (2020). The five practices in practice: Successfully orchestrating mathematics discussions in your elementary classroom. Thousand Oaks, CA: CORWIN.
- Smith, M. S., Steele, M. D., & Raith, M. L. (2017). Taking action: Implementing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in Grade 6-8.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Smith, M. S., & Stein, M. K. (2011).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방정숙 역(2013).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경문사.
- Smith, M. S., & Stein, M. K. (2018).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2nd ed.).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