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Elementary Instruction via a Teacher Community: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of Five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초등 수학 수업 개선: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5가지 관행의 적용

  • Received : 2022.10.06
  • Accepted : 2022.10.26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An effective teacher community helps the participating teachers improve their instructional quality. This study reports a teacher community consisting of 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one teacher educator. This paper analyzed 15 mathematics lessons in which the teachers implemented the five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by Smith and Stein (2018) based on the grade-specific discussions as well as the whole community's discu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overall levels of each practice either increased gradually or maintained at the highest Level 4, as mathematics lessons had been implemented. Specifically, the following practices were quite successful: setting goals for a lesson, selecting an appropriate task, anticipating student responses, and selecting student solutions. However, both sequencing and connecting student solutions were implemented at various levels. Monitoring student work tended to remain at Level 2 which included incorrect implementation of the practice. This paper closes with implications related to the skillful implementation of the five practices through a teacher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15명과 교사 교육자 1인으로 구성된 교사 공동체에서 전체 논의와 학년별 논의를 바탕으로 Smith와 Stein(2018)이 제안한 5가지 관행을 적용하여 초등 수학 수업을 개선하고자 노력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활동을 통하여 대부분의 학년에서 관행이 매우 잘 실행되는 4수준을 유지하거나 관행의 수준이 점차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행별로 살펴보면, 목표 설정, 과제 선정, 예상하기, 선정하기의 경우 대부분의 학년에서 실행 수준이 상승하거나 4수준으로 유지되었으나, 계열짓기와 연결하기의 경우 실행 수준의 상승, 하락, 유지가 다양하게 드러났다. 또한 점검하기의 경우 잘못 적용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2수준을 유지하거나 기껏해야 수준 상승 후 하락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실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탁병주, 고은성(2016).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 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학교수학, 18(4), 857-880.
  2. 교육부(2020).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 6-1. 비상교육.
  3. 권나영(2015). 수학교사 학습공동체의 의미와 활동. 교육문화연구, 21(3), 83-102. https://doi.org/10.24159/JOEC.2015.21.3.83
  4. 김연, 박미미(2019). 같은 경로와 다른 도착지: 수학교사 공동체의 난제. 학교수학, 21(4), 687-713.
  5. 김은경(2015).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예상하기 관행과 연결하기 관행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지영(2014).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 사례 분석: 5가지 관행을 기반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원, 임웅(2020). 수학 교사 공동체 관련 국내 외 연구 동향. 수학교육논문집, 34(4), 439-464.
  8. 김정원, 방정숙, 김상화(2017).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초등 수학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초등수학교육, 20(4), 267-286.
  9. 나귀수(2010). 초등학교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3), 373-395.
  10. 문성재, 노정원, 노예솔, 이경화(2019).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한 경력교사의 전문성 신장: 수학적 창의성 촉진을 위한 대푯값 과제의 변형과 실행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8(4), 545-566.
  11. 방정숙(2006). 학생중심 초등수학 교실문화의 구현과 난제, 수학교육, 45(4), 459-479.
  12. 방정숙, 김정원(2013).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초등 교사의 5가지 관행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143-164.
  13. 서은미(2015).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연결하기 관행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선우진, 방정숙(2014).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 분석. 초등수학교육, 17(3), 189-203.
  15. 오영열, 오태욱(2009).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논문집, 23(2), 327-347.
  16. 이경화, 나귀수, 권나영, 김동원, 이환철, 이동환, 고은성, 박민선, 박미미, 이은정, 조진우, 박진형(2012). 한국형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4), 581-602.
  17. 이미연, 오영열(2007). 수학적 과제가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17(4), 395-418.
  18. 최상호(2020).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이해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수학교육, 59(2), 101-112.
  19. 최수일(2009). 수업분석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수학 교사의 전문성 제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Chauraya, M., & Brodie, K. (2017). Learn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hifts in mathematics teachers' practices. African J 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1(3), 223-233. https://doi.org/10.1080/0035919X.2017.1350531
  21. Chen, L. (2022). Facilitating teacher learn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rough action research: A qualitative case study in Chin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9, 103875. https://doi.org/10.1016/j.tate.2022.103875
  22. DuFour, R. (2004). What i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 Leadership, 61(6), 6-11.
  23. Hiebert, J., & Grouws, D. A. (2007). The effects of classroom mathematics teaching on students' learning. In Lester, Jr., F. K.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Vol. 1, pp. 371-404). Information Age Publishing.
  24. Hufferd-Ackles, K., Fuson, K. C., & Sherin, M. G. (2004). Describing levels and components of a math-talk learning communit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2), 81-116. https://doi.org/10.2307/30034933
  25. Little, M. E. (2020). Collaboration and connection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of mathematics: Enhancing efficacy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RATE J ournal, 29(1), 1-8.
  26. Pang, J. (2016). Improving mathematics instruction and supporting teacher learning in Korea through lesson study using five practices. ZDM, 48(4), 471-483. https://doi.org/10.1007/s11858-016-0768-x
  27. Schaap, H., & de Bruijn, E. (2018). Element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chools.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21(1), 109-134. https://doi.org/10.1007/s10984-017-9244-y
  28. Smith, M., Bill, V., & Sherin, M. G. (2020). The five practices in practice: Successfully orchestrating mathematics discussions in your elementary classroom. Thousand Oaks, CA: CORWIN.
  29. Smith, M. S., Steele, M. D., & Raith, M. L. (2017). Taking action: Implementing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in Grade 6-8.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0. Smith, M. S., & Stein, M. K. (2011).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방정숙 역(2013).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경문사.
  31. Smith, M. S., & Stein, M. K. (2018).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2nd ed.).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