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wn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8초

천마 종자의 발아 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ditions of Seed Germination of Gastrodia elata)

  • 홍인표;남성희;정이연;성규병;남학우;정종천;박정식;허현;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9-44
    • /
    • 2004
  • 천마의 퇴화 현상을 해결하고 우수한 품질의 종마를 얻을 수 있는 천마 종자의 최적 발아 조건을 조사하였다. 천마종자는 상수리나무 낙옆 배지에서 발아가 가장 잘되었으며, 또한 자연수분보다는 인공수분에서 얻은 종자가 결실률이 높고 안정적이었다. 천마 종자 발아는 생중량 41 mg 이상의 중숙꼬투리나 완숙꼬투리에서 양호하였으며, 파종은 종자 수확 직 후가 가장 좋았으며, 장기 보존 시에는 $5^{\circ}C$ 이하에서 가능하였다. 천마 생육 시 뽕나무버섯균이 천마의 영양원으로 이용되는 것처럼 천마 종자 발아 시에도 균류가 영양원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산(印度産) 참나무(Quercus incana)를 이용한 표고재배(栽培)의 가능성(可能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ossidility of Oak Mushroom(Shiitake) Cultivation on Ban Oak (Quercus incana) of India)

  • 이응래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1-36
    • /
    • 1978
  • 본(本) 실험(實驗)은 인도(印度) Simla지방(地方)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참나무 Ban oak(Q. incana)의 표고재배별용(栽培利用)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수행(遂行)되였다. 표고 균멱(菌)의 活着과 發育 및 자실체(子實體)의 발생상황(發生狀況)을 관찰(觀察)하고 원목성분(原木成分)을 한국(韓國)의 졸참나무(Q. Serrata)와 비교(比較)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Q. incana는 Q. serrat에 비(比)하여 Alcohol-Benzen extract. NaOH extract 및 Ash의 함유량(含有量)이 많았으나 cellulose pentosan은 적었다. 2. Q. incana를 이용(利用)한 톱밥배지(培地)에서의 균멱발육(菌發育)은 Q. serrata보다 신장속도(伸長速度)는 늦으나 균멱(菌)가 세밀하게 발육(發育)하였다. 3. 원목(原木)에서의 균멱발육(菌發育)은 실내시험(室內試驗)이나 야외시험(野外試驗) 공(共)히 Q. serrate가 빨랐으며 균멱(菌)의 활착량(活着率)은 두 수종간(樹種間)에 차이(差異)가 없고 양호(良好)하였다. 4. 원본(原本)에 종균접종후(種菌接種後) 16개월(個月)만에 Ban oak(Q. incana) 및 졸참나무(Q. serrata)에서 전대에서 첫 버섯이 발생(發生)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Ban oak(Q. incana)를 이용(利用)한 표고재배(栽培)는 가능(可能)하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양송이 괴균병균(塊菌病菌)의 방제(防除) 및 생장요인(生長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Some Factors Affecting Growth of Diehlomyces microsporus and Chemical Control of Truffle Disease in Cultivation of Agaricus bisporus)

  • 김광포;차동열;정후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37
    • /
    • 1981
  • 본(本) 시험(試驗)은 괴균병균(塊菌病菌)의 영양원(營養源) 최적온도(最適溫度) 및 pH 사멸온도방제약제(死滅溫度防除藥劑)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지(培地) 중(中)에서 괴균병균(塊菌病菌)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양송이 종균(種菌) 추출배지(抽出培地)에서,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미강(米糠) 추출배지(抽出培地0에서 가장 좋았다. 2.각종(各種) 영양원중(營養源中) 탄소원(炭素原)으로 L-asparagin이나 ammonium nitrate, 탄소원(炭素源)으로 glucose나 fructose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3.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5{\sim}28^{\circ}C$였고 최적(最適) pH는 5.5내외(內外)였다. 4. 사멸온도(死滅溫度)는 균사(菌絲)가 $40^{\circ}C$에서 120분(分), 또는 $60^{\circ}C$에서 60분(分) 이상(以上), 자양포자(子襄胞子)가 $60^{\circ}C$에서 240분(分) 또는 $80^{\circ}C$에서 120분(分) 이상(以上) 열처리시(熱處理時) 완전(完全) 사멸(死滅)되었다. 5. 본(本) 병(病)은 종균(種菌) 재식시(栽植時)나 복토전(覆土前) 퇴비(堆肥)에 접종(接種) 했을 때 피해(避害)가 컸다. 6. basamid나 vapam약제(藥劑)를 퇴비(堆肥) 입상시(入床時) $100{\sim}150 ppm$ppm으로 처리(處理)한 후(後) 후발효(後醱酵)를 실시(實施)하므로서 괴균병(塊菌病)을 방제(防除)할 수 있었다.

  • PDF

원형느타리버섯 백색돌연변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ies color mutants in Pleurotus ostreatus)

  • 이강효;김규현;김범기;유영복;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4-38
    • /
    • 2007
  • 원형느타리 재배농가에서 발생한 백색과 흑회색 변이체는 원형느타리1호에 비해 균사생장속도가 느리고 균총의 모양도 불규칙하였다. 색소변이체로부터 분리한 단포자의 유전표지인자를 분석한 결과 원형느타리1호의 단포자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색소변이체는 원형느타리1호의 변이체임이 확인되었다. 백색변이체균주를 Mn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배지색소가 형성되었다. 색소변이체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하여 F1을 육성하여 자실체색의 후대유전양상을 분석한 결과, 백색변이체의 F1은 모두 백색이었으며, 흑회색 변이체의 F1은 대부분 모균주와 같은 흑회색의 자실색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 색소변이는 후대(F1)로 유전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자실체색은 유색계통이 백색에 대해 우성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백색변이체와 회색의 야생종과의 교배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자실체색은 버섯의 상품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형질 중 하나이며, 또한 버섯균의 유기물 분해력과 병이나 불량환경에 대한 저항성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자실체색이 진한 품종을 육성하는 연구는 버섯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자실체색 돌연변이체는 이러한 육종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다수성 병재배용 산느타리 신품종 '산타리'의 균사배양 및 생육특성 (Mycel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new high-yield Pleurotus pulmonarius cultivar 'Santari' for bottle culture)

  • 최종인;이윤혜;전대훈;권희민;지정현;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0-194
    • /
    • 2017
  • 생육이 균일하고 다수성인 산느타리버섯 신품종 '산타리'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26{\sim}29^{\circ}C$이고 버섯발생온도는 $22^{\circ}C$, 버섯생육온도 $18^{\circ}C$로 '호산'과 유사하며, 발생형은 다발형태를 나타내었다. 병재배시 배양기간은 28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3일, 생육일수는 3일로 총재배기간은 34일이 소요되었다. 갓크기는 35.9 mm이며, 갓색도(L)는 53.7로 회갈색을 나타내었고, 대는 직경 10.1 mm, 길이 79.7 mm로 '호산' 에 비하여 굵고 긴형태이며, 대색택은 L=93으로 백색을 나타내었다. 수량은 생산력 검정시 1,100 ml병에서 172 g을 나타내었으며, 농가실증재배시 A(여주1) 120.8 g/900 ml, B (여주2) 165.2 g/900 ml, C(용인) 141.7 g/900 ml으로 대조구 대비 24% 이상 증수되었다. 대의 물리성은 탄력성, 응집성, 씹읍성, 깨집성이 각각 87%, 82%, 193 g, 16.8 kg을 나타났다. DNA다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URP3, URP10, URP12의 primer에서 교배 모본인 '호산'과 'GMPO20404'의 DNA의 밴드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품종간, 균주간의 밴드 차이가 있었다. 저장 기간에 따른 신선도는 저온저장시 7, 상온보관시 6 을 나타내어 대조품종인 '호산' 보다 상온보관시 신선도가 우수하였다.

도시 산림습지 내 양서류 서식처 조성방안 연구 (Planning for Amphibians Habitats in Urban Forest Wetlands, Korea)

  • 허명진;한봉호;곽정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19
    • /
    • 2017
  •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problems with amphibian habitation by the wetland types and improve their habitation environment in urban forest wetlands, thus creating a habitat for amphibians. Study site include forest swamps in Jatjul Park as well as Yeoji neighborhood Park in Guro-gu, and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in Dobong-gu. The forest swamp in Jatjul Park gets its water from Mt. Maebong and it is a former escalated farmland-turned wetland. The swamp area is $2,500m^2$, a forest zone and a landscape planting site are 83.27% and 6.70% each. Target species Seoul pond frogs are inseparable from rice fields because they live in a short radius of and lay eggs in or near paddy fields, and Rana nigromaculata have similarities with Rana plancyi chosenica in choosing their habitats. There was need for paths that would lead to other paths so amphibians would spread to other parts of the forest and for measures to secure open water. Modifying a variety of routes for water, human and animals along with building a buffer to keep the core habitation zones were required. The forest swamp in Yeonji neighborhood Park used to be a water reservoir on the foot of Mt. Gunji. The swamp area is $1,980m^2$, a forest zone and farmland account for 80.61% and 4.88% each. Non-point pollutants from upstream along run into the subject forest marsh, bare ground on the around swamp and steep stone embankments obstructed amphibians. Target species was Bufo gargarizans that live in forests and edges of hills and spawn in deep water. The forest swamp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gets its water from Mt. Choan and it is close to its water source that it is a mountain stream forest wetland. The basin and the swamp are $35,240m^2$ and $250m^2$ in size respectively. A forest zone accounts for 90.20%, high stone embankments laid in refurbishing the valley obstruct amphibians and there is water shortage in times of droughts. Target species were Rana coreana, Rana dybowskii and Hynobius leechii that live in mountain valleys, streams and wetlands and lay eggs in forest marshes and rocks in valleys. Looking into the three swamps of amphibian habitation, I came to conclusions that those wetlands were suitable for their amphibians but man-made facilities blocked their corridors leading to other corridors and even killed off target species in some parts of those swamps by destroying those parts. Amphibians live in water, on ground and underground at different stages of life. Hence, we should take this fact into consideration when planning their habitats and design core habitation zones, buffers zone and use zones accordingly. Buffer zones ought to be between core habitation zones and surrounding trees. Aiming at protecting core habitation zones, buffers should be in harmony with habitation zones. Use zones should be minimized in size and not in direct contact with core habitation zones.

키조개의 양식개발에 관한 연구(I) -여계만산 키조개의 번식생태- (Studios on the Pen Shell Culture Development (I) -Reproductive Ecology of Pen Shell in Yoja Bay-)

  • 유성규;유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29-535
    • /
    • 1984
  • 1983년 7월부터 1984년 6월까지 키조개의 양식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전남 여계만산 키조개의 번식시기와 생식 패턴을 파악함과 동시에 같은 해역에서의 부유유생 출현의 증감을 조사하였다. 조사개체 중 가장 큰 것은 1984년 6월에 채집된 개체로 각고 37.5cm, 각장 19.5cm였으며, 각중량 521.8g, 총육중량 230g이었고, 패주중량 57.6g이었다. 생식선을 포함하는 내장낭의 각장에 대한 증중지수는 10월에 최소였다가, 12월에 최대로 되었고, 그 후에 서서히 감소하다가 6월에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여계만산 키조개의 연생식주기는 7월에서 8월로 가면서 방란방정이 전부 끝나고 9월에 전부 휴지기로 되었다. 생식세포는 11월 이후 출현했으나, 이듬해 3월까지 심한 식작용에 의한 억제현상이 관찰되었다. 산란기는 5월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6월은 방란방정 말기였다. 남해산과 비교한 결과, 서식지역에 따라 성숙도에 차이가 있었다. 부유유생의 출현량은 $4{\sim}5$월에는 거의 없었으나 6월은 30개체 이상이었다. 그러나, 전부$220{\mu}m$ 이하인 초기 부유유생이 출현한 것으로 보아 부착기유생은 7월 이후에야 출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제주도 함덕 연안에 서식하는 구멍연잎성게, Astriclypeus manni (VERRIL 1867)의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Sand Dollar, Astriclypeus manni (VERRIL 1867), in Hamdock, Cheju Korea)

  • 강도형;최광식;정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5-352
    • /
    • 1999
  • 이 연구는 제주도 함덕연안에 분포하는 구멍연잎성게의 생태 및 번식생활사에 관한 연구보고서이다. 시료는 북제주군 함덕에서 SCUBA를 통하여 채집하였으며, 실험실로 옮긴 뒤, 크기 및 생식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멍연잎성게의 크기는 각장 80$\~$200mm 이었으며, 각장 140$\~$170mm 의 개체가 주를 이루었다 (N=129). 구멍연잎성게는 세립질 또는 미립질 ($125\~250\mu$m ($2\~3\phi$))의 사질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퇴적물내의 유기물을 섭취하는 퇴적물식자로 확인되었다. 성숙한 암컷의 생식소는 보라색을 띠며, 수컷은 짙은 노란색을 띤다. 암, 수 모두 11$\~$3월 사이 휴지기를 거쳐 6월경에 성숙하며, 주 방란 방정은 7$\~$10월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암컷의 경우 성숙한 난은 그 직경이 평균 381$\mu$m이었다.

  • PDF

양송이[Agaricus bisporus(Lange)Sing.]에 마이코곤병(病)을 유발(誘發)하는 Mycogone perniciosa Magn.에 관한 생물학적(生物學的) 연구(硏究) (I) M. perniciosa와 양송이 복토중(覆土中) 미생물(微生物)사이의 길항적(拮抗的) 관계(關係) (II) M. perniciosa와 A. bisporus사이의 상호관계(相互關係) (Some Biological Studies on Mycogone perniciosa Magn. Causing Wet Bubble in 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I) Antagonistic Relationships between M. perniciosa and Microfloral Organisms in the Casing Soil (II) lnteractions between M. perniciosa and A. bisporus)

  • 한용식;신관철;김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14
    • /
    • 1974
  • 본(本) 시험(試驗)은 양송이 복토중(覆土中) 미생물(微生物)의 Mycogone perniciosa Magn.에 대한 항균작용(抗菌作用)및 M. perniciosa 와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사이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되었으며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1. In vitro test에서 M. perniciosa는 복토(覆土)에서 분리(分離)된 미동정(未同定)의 미생물(微生物)들에 의해서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었으며 재배시험(栽培試驗)에서 M. perniciosa의 포자현탁액(胞子懸濁液)을 복토표면(覆土表面)에 국소접종(局所接種)하였을 때 라병(羅病)버섯은 접종(接種)된 부분(部分)에서만 발생(發生)되었고 접종부분(接種部分) 주변(周邊)에서는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2. M. perniciosa와 A. bisporus사이의 길항적(拮抗的) 관계(關係)는 in vitro test에서 배양기(培養基)의 종류(種類)에 따라 다소(多少)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A. bisporus의 균사(菌絲)는 M. perniciosa 균총(菌總) 위를 덮어서 자랐다. 재배시험(栽培試驗)에서 M. perniciosa의 포자현탁액(胞子懸濁液)을 A. bisporus의 곡립종균(穀粒種菌) 표면(表面) 혹은 복토층(覆土層)의 중간부위(中間部位)에 분무접종(噴霧接種)하였을 때에는 라병(罹病)버섯이 발생(發生)되지 않았으나, 복토표면(覆土表面)에 접종(接種)하였을 때에만 리병(罹病)버섯이 발생(發生)되었다.

  • PDF

지각된 윤리적 판매행동이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s of Perceived Ethical Sales Behavior on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Trust and Customer Loyalty)

  • 박종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145-176
    • /
    • 2010
  • 서비스 기업의 경우 판매원들은 고객접점에서 활동을 하기 때문에 회사를 대표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고객의 만족이나 신뢰를 형성하여 장기적인 판매와 수익창출에도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판매원들의 판매행위는 다른 직종의 종업원들과 달리 업무의 성격상 많은 윤리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단기적인 판매실적이나 수익을 높이기 위해서 고객들에게 강압적인 판매행위를 하는 경우,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이나 성과에 대한 과장을 하는 경우, 심지어는 경쟁업체의 기업이나 제품에 관해서 거짓말을 하는 경우 등의 비윤리적인 행위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판매원들이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상 고객과의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연구에 대한 관심도 매우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객의 지각된 판매원의 윤리적 행동이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다. 보험서비스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한 결과, 지각된 윤리적 판매행동이 고객만족, 고객신뢰, 고객충성도 등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지각된 윤리적 판매행동은 구매자와 판매자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의 마케팅 관리자들은 판매원들이 윤리적 상황을 인식하고 적절한 윤리적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회사의 윤리강령의 실천과 윤리교육을 강조하는 판매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판매원들이 윤리적 판매행동을 할 수 있는 동기부여와 적절한 보상시스템을 개발해야 하지만, 판매원들의 윤리적인 위반사례가 발생한 경우에 위반자에게는 적절한 징계조치를 취하면서 윤리적 판매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