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movement

검색결과 629건 처리시간 0.024초

하이브리드 차량 네트워크를 위한 연결성 분석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nectivity analyzer for the hybrid vehicular network)

  • 이정훈;김철민;권상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5-54
    • /
    • 2008
  • 텔레매틱스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유용한 가이드라인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택시 텔레매틱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실제 이동이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텔레매틱스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연결성 분석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설계에 따라 구현된 분석기는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1) 각각의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고, 2) 차량의 타입, 즉, 게이트웨이 또는 일반 노드인지를 설정하며, 3) 특정시간에 한 노드가 모바일 게이트웨이에 연결 될 수 있는지 판단하고 4) 차량의 상태추적에 의해 연결의 단절 시간을 계산한다. 무선 전송거리와 게이트웨이 비율 등의 성능인자를 고려한 이 분석을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의 연결성과 연결 단절시간에 대한 사전분석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효율적인 모바일 게이트웨이의 밀도와 버퍼 공간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 PDF

달구벌 북춤 춤사위의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Movement Characteristics of Dalgubal Drum Dance)

  • 최원선
    • 공연문화연구
    • /
    • 제42호
    • /
    • pp.147-181
    • /
    • 2021
  • 달구벌 북춤은 영남지역의 전통 북춤의 전형에 기반하여 지역적 상징성과 전승자 황보영의 춤철학과 사상, 예술적 감각을 가미해 현대적 형태로 계승되고 있는 춤이다. 이 춤은 전통춤의 주요한 요소들과 예술성을 장점으로 대구,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국내외 여러 무대에 초청받아 활동을 이어오며 전통문화의 변용을 통한 대중적 가능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달구벌 북춤의 움직임 특질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이 춤이 지닌 독특한 매력과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구체적 분석은 제89회 한국의 명인 명무전의 달구벌 북춤의 영상을 대상으로 라반의 움직임 분석법(Laban Movement Analysis)을 적용해 진행하였다. LMA의 4가지 주요한 카테고리-신체, 에포트, 형태, 공간-를 중심으로 살펴본 달구벌 북춤은 군더더기나 지나친 화려함 없이 담백한 움직임과 강렬하지만 단순하고 경쾌하며 큰 산맥으로 둘러싸인 대구지역의 사람들의 호방한 기질이자 문화적 특성을 형상화하고 있다. 강하게 북을 쳐 소리를 만들고, 그 음악적 행위가 다채로운 춤으로 발전되어 형성되는 북소리와 춤사위의 멋드러진 조화는 악(樂)과 무(舞)의 일치를 통한 활달한 한국적 풍류, 멋과 흥, 신명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특히 프로시니엄 무대를 고려하여 구성된 춤사위 그리고 북놀음의 모습은 3차원 공간의 입체 구조를 활용한 조형미와 인간의 몸짓을 드러내는 문화적 상징성을 드러낸다. 또한, 사상적으로 삼수분화(三數分化), 천지인(天地人) 합일사상(合一思想)과 음(陰) 양(陽)의 조화가 깃든 짜임새 있는 구조와 정(靜), 중(中), 동(動)의 조화로운 움직임 표현을 보인다. 인간사의 갈등과 모순, 대립에서 벗어나 신명으로 소통하고 공동체의 화합을 희망하는 주제를 담고 있는 이 춤은 한국춤의 독특한 가치와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 철학과 동양 사상의 의미성을 현대적 재해석한 작품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노후주거지의 특성에 따른 '길'의 디자인 연구 (A Design Study of the 'Path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 박수경;문정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39-46
    • /
    • 2015
  • The 'pathways'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is the valuable place which represents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The 'pathways' is the physical boundary which connects individual environment of private residential area to public environment and which has value as a medium for the definite site for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us, the 'pathways' is considered as the perfect material for the public design for spatial culture to regenerate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However, the most of the public design projects utilize the 'pathways' fragmentarily, there are few systematic studies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nsideration on the attributes of the 'pathways', the detec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o find application of the 'pathways', and the cultivation of the baseline data for further research for the spatial nature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For this study,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practiced in advance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pathways' and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e case research is performed using design elements as the analytic frame, and the approach is inferred for systematic public design based on the above result. The objects of case research were chosen among the latest projects implemented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whose subject was 'pathways' and which showed successful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investigated and the details were examined through the homepages of the projects, the reports related to the projects, research material, and interview with the people involved. And to conclude, 'pathways' represents the composition of contents, the space of movement,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e landscape design, and the participatory design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e 'pathways' also finds the proper secondary cultural material for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an create the space for the various movements, stay, and communi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The narrow and closed space should be utilized actively to be altered into beautiful space and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should be regenerated into coexistent design where people share their lives through sharing spaces.

시공간적으로 확장된 토폴로지를 이용한 개인 환경간 상호작용 파악 공간 분석 (Spatial Analysis to Capture Person Environment Interactions through Spatio-Temporally Extended Topology)

  • 이병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26-43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성적인 개인의 공간 행동을 파악하고 행동 원인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동 객체의 단순한 기하학적인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넘어서서, 사람과 환경 사이의 관계 변화 내지는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이동 객체의 행동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의 경계 근처에서의 이동 객체의 움직임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이동 객체의 영향력 범위를 적용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정성적인 개인 공간행위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객체를 시공간적으로 확장된 점(STEP)이라 명명하였으며, 그 영향력 범위를 그 객체의 위치와 함께 잠재적 사건이나 주변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구역으로 정의한다. STEP과 특정공간간의 관계 정량화를 위해, 위상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2차원 공간에서의 특정 영역과 STEP 사이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는 12 교차점 모델이 이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STEP 개념의 관점에서, GPS추적 데이터를 이용한 프로토타입 응용 분석결과가 제공되었다.

  • PDF

실내공간에서 계층 구조를 이용한 K-익명화 (K-Anonymity using Hierarchical Structure in Indoor Space)

  • 김준석;이기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93-101
    • /
    • 2012
  • 실내공간이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생활에 편의를 주는 LBS의 이면에는 개인의 위치 노출과 이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의 문제가 포함되어 있다. 위치 K-익명화 기술은 적어도 K-1명의 다른 사용자를 포함시키는 ASR (Anonymized Spatial Region)을 생성하여 위치를 은폐하여 이러한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연구 분야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유클리디안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실외 공간에서 이루어 졌으며, 구조물에 의해 제약이 있는 실내공간에 적용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내공간의 구조와 위치 표현 방법을 고려하여 위치 은폐를 위한 K-익명화 방법을 제안한다. 위치의 은폐를 위해 실내공간의 계층 구조를 생성하여 이 구조에서 K-1명의 다른 사용자를 포함하도록 노드를 확장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K와 계층구조의 특성에 따른 비용모델도 함께 제시한다.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와 관람행태의 상관관계 재해석에 관한 연구 - 전시밀도와 시각개방도에 따른 관람확률 해석을 중심으로 - (Reinterpre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Structure and Visitors' Movement in Museums - Focus on the Interpretation of Tracking Score with Exhibition Density and Extent of Eyesight -)

  • 김소정;정성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72-2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space structure and visitors' behavior and interpret visitors' behavior concretely from the aspect of exhibition environments. So, this study intends to qualify spatial space structure with integration, connectivity and control value by utilizing space syntax, limit to tracking score among the analysis index and reinterpret with exhibition density and extend of eyesight among the exhibition enviro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museums, tracking score shows plus correlation with connectivity and control value among the space syntax variables and very low correlation with integration. In case of art museums, tracking score shows plus correlation with integration and wide variable is judged to more useful to analyze visitor's behavior than minor variable. Second, museums doesn't make a great effect on visitors' behavior from the aspect of extent of eyesight, but from the aspect of exhibition density, visitors relatively watched evenly without short cut at the early stage of exhibition in spite of high exhibition density. And, they conducted short cut as they went to the middle stage of exhibition on the course of watching although the numerical value of exhibition density is low. Third, in case of art museums, visitors' behavior was relatively influenced by exhibition density, not extent of eyesight. But, as they went to the high level on the course of watching, watching speed became rapid and watching length became short in the place the value of extent of eyesight was high. Its reason is judged to be easy to grasp position or space structure of the next exhibition room visually. Therefore, when the concentration of watching is necessary from the aspect of exhibition, to control exhibition density properly before the space is useful to draw visiting to exhibition space afterward.

가시성을 고려한 3차원 실내 보행자 시뮬레이션 모델 (An Indoor Pedestrian Simulation Model Incorporating the Visibility)

  • 곽수영;남현우;전철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133-142
    • /
    • 2010
  • 실내 화재와 같은 재난, 재해시의 보행자의 행태를 모델링하거나 건축물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한 보행모델, 또는 화재대피모델들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까지 개발된 모델은 대피 시 구조물들에 의해 보행자의 시야가 제한되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보행자의 시야는 대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므로, 이를 고려해야 현실적인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대피시뮬레이션에서 보행자의 시야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는 방법은 시야의 제한 정도에 따라서 보행자의 대피 속도를 다르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시야에 따라 서로 다른 대피 속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 cellular automata를 이용한 floor field 모델을 기반으로 개선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시야에 따라 공간을 분할하고, 동시다발적인 움직임 대신 분할된 공간별로 다른 이동속도를 갖게 하는 개선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대피의 행태를 적절하게 모델링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추후 실내 센서와의 연동을 통한 실시간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의 개발을 위하여 공간DBMS를 이용한 3차원 보행자 시뮬레이터의 구현과정을 예시하였다. 캠퍼스 건물을 대상으로 개선된 알고리즘의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마산만 표층퇴적물 내의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의 공간적 분포 및 오염도평가 (Spatial Distribution and Residual Consistency Assessment of PBDEs in the Surface Sediment of the Masan Bay)

  • 위성욱;윤조희;민병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27-436
    • /
    • 2010
  • 본 연구는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범위에 속해있는 총 18개 지점을 선정하여 표층 퇴적물 내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의 공간적 농도분포와 오염경로를 조사하였다. 22개의 PBDE 이성질체가 검출되었으며, BDE-209는 가장 주된 이성질체로 검출되었다. BDE-209와 ${\Sigma}_{21}$PBDEs (BDE-209를 제외한 나머지 이성질체의 합)의 농도범위는 각각 2.32~64.2 ng/g, 0.72~8.24 ng/g이었다. 마산만에서 BDE~209 및 ${\Sigma}_{21}$PBDEs의 공간적 농도분포는 내만에서 외만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PBDEs의 주오염원은 내만의 유입하천수과 하수처리장 방류수이었다. 마산만에서 PBDEs의 오염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는 육상기인 오염원 거리와 해수의 유동에 따른 퇴적물의 이동성 및 특성으로 나타났다.

올라퍼 엘리아슨의 설치 작품에 나타난 공간 경험 및 디자인 방법 - 인간, 환경 사이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Spatial Experience and Design Method in the Installation Projects of Olafur Eliasson - Focusing on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

  • 이송학;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3-40
    • /
    • 2014
  • The Danish-Icelandic artist, Olafur Eliasson who was born in 1967 is known for installation projects employing materials such as colour, fog, mirror and light to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Since he started the early projects, Eliasson has been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 a viewer and space. He has used the medium from nature because he thought nature is very common subject to derive new idea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Eliasson revealed the idea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by thre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esign such as 'reinterpretation of placeness by juxtaposition of mediums and defamilarization', 'ambiguity and extensity of depth distance of space by mediums' and 'change in spatiality by movement of viewers and time'. This paper focused on four case projects : The mediated motion in 2001, The weather project in 2003, The blind pavilion in 2003, Your rainbow panorama in 2011. It is aimed to discover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in the case projects under three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und that three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ly applied in the case projects in terms of spatial experience and design methods. Inside & outside locations, formal quality, visual-perceptual relationships in and around each case are crucial elements and tools. The uniqu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of Eliasson and three characteristics are applicable to architecture and spatial design.

안면도 사질 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및 군집구조 (Spat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on the Sandy Shore of Anmyeondo, Korea)

  • 정윤환;윤건탁;박흥식;마채우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27-37
    • /
    • 2013
  • The western coast of Anmyeondo is open toward the Yellow sea and the northern and southern coasts are sandy and have simple coastlin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that inhabit the sandy shore of Anmyeondo. For the study, we chose 8 sites encompassing 44 stations. In total, we have recorded 62 species, and collected 747 inds./$m^2$ on average. Zonation pattern did not appear because the mean grain size and organic contents of the study sites were similar among the macrobenthos. Polychaetes were most frequently recorded, but amphipods appeared in higher mean density. Macrobenthic community is classified into 3 groups largely based on the density difference among the dominant species and the groups were not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e aggregated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did not show a clear regional spatial difference but exhibited classification pattern emphasizing the density difference of the dominant species. The sandy shores of Anmyeondo are relatively more influenced by waves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the sediment moves more due to strong winds, etc. at low tide. We presume that the movement of sediment resulted in a relatively eve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consequently weakene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change with the tide level. We conclud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does not show the zonation pattern in the sandy shores of Anmyeondo due to such influ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