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atial movement

Search Result 62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유아교육시설에서 나타나는 '공간 체험'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이동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pace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 Focusing on the Movement of the space -)

  • 문숙영;김진모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10
    • /
    • 2012
  • In recent times, education facilities for children hav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children. This is because children have a more sensitive response than adults in their lives. All of the field activities, body movement, and play they go through in their living environment exhibit a great educational effect while promoting their emotional,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therefore, these are the main priority factors in planning an education facility for children. A space may be deemed to be cre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the people who perceive them. Also, space cognition may be defined to be made of the perception of a space, integration with experience, and restructuring. Physical factors and visual factors, which are the basic factors composing a space, either play their roles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 space or form a relationship through a combination between the factors; thereby, diverse types of space experiences may be created. Space experience may be realized through the "movements" of a user, and a user selectively experiences a space through his/her voluntary movements, while experiencing the space against their will through flexible movements. In particular, space experience through movements has an effect on children in terms of making them feel like having daily exploration, and it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 A movement space in which "movements" appear most strongly in an education facility for children connects various nearby spaces, and it also portrays a transfer role. Furthermore, in this space, a variety of space changes can be found; thereby, children are able to have diverse selective space experiences.

경험고유함수를 이용한 후정해수욕장 단기 모래 이동 분석 (Short-term Sand Movement Analysis in Hujeong Beach using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 천세현;서경덕;안경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244-252
    • /
    • 2014
  • 후정해수욕장의 모래 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경험고유함수(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EOF 분석을 위해 2009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13개 기선에 대해서 총 5회 실시된 후정해수욕장의 단면 관측값이 사용되었다. 13개 단면 분석결과 사이의 시간적, 물리적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13개 기선 모두를 하나로 통합하고 이를 사용해 EOF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 번째 고유함수는 평균해빈 지형을 나타내었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 고유함수의 경우 해빈의 자연변동성과 파랑에 의해 발생된 횡방향 모래이동을 각각 나타내었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 고유함수의 경우 특별한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후정해수욕장의 모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기 순으로 자연변동성과 파랑에 의한 횡방향 모래이동으로 분석 되었다.

RBF 신경망을 이용한 실루엣 기반 유아 동작 인식 (Silhouette-based motion recognition for young children using an RBF network)

  • 김혜정;이경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9-12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두 대의 카메라를 직각으로 배치하여 얻은 동영상에서 인체의 실루엣을 이용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실루엣에서 전역 특징과 지역 특징을 추출하며, 이 특징들은 정적인 프레임에만 있느냐에 따라 정적 특징과 동적 특징으로 다시 나뉜다. 추출된 특징들은 RBF 신경망을 훈련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안된 신경망은 정적 특징을 입력층으로 보내고, 동적 특징은 인식을 위한 추가적인 특징으로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신경망 동작 인식 시스템은 유아들의 동작 교육에 적용되었다. 동작 교육을 위해 제시되는 기본 동작은 걷기, 뛰기, 앙감질 등의 이동 동작과 구부리기, 뻗기, 균형 잡기, 회전하기 등 비 이동 동작으로 구분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동작교육을 위해 7가지 기본 동작을 학습시킨 신경망으로 성공적으로 동작 인식을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유아의 공간감각 계발을 위한 동작교육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개폐식 지붕구조의 움직임에 대한 공간구조물의 진동해석 (Vibration Analysis of Space Structure with Retractable Roof)

  • 김기철;강주원;김현수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3-120
    • /
    • 2011
  • 지붕구조의 개폐가 가능한 체육시설 및 복합시설은 대공간구조물의 장점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대공간구조물의 전천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폐식 지붕구조는 구조형식, 마감재료, 개폐방식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며 개폐방식에 따라서 중첩방식, 수평이동방식, 주름접기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중첩방식이나 수평이동방식에 의한 지붕구조의 움직임은 주행하중, 충격하중, 관성력 및 제동력과 같은 동적하중이 구조물에 가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공간구조물의 진동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붕구조의 움직임에 의한 주행하중은 이동질량 또는 이동하중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비교적 움직임이 느린 개폐식 지붕구조에 의한 동적하중은 아동하중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붕구조의 개폐로 야기되는 이동하중에 대한 새로운 적용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폐식 지붕의 개폐속도에 따른 대공간구조물의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등가 이동하중은 지붕구조 개폐에 의한 대공간구조물의 진동해석에 있어서 매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해안선 변화 추출에 관한 연구 (Method to Extract Coastline Change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 이강산;최진무;조창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73-48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형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해안 지형을 항공촬영 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안선 추출 및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해안지역의 경우 해양-육지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변화속도가 매우 빠르고, 연구자의 직접적인 관찰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통적인 원격탐사 방법은 시공간의 제약, 높은 운용비용 등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새로운 원격탐사 플랫폼인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해안선을 추출하였고, 조위차에 따른 해안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소형 무인항공기와 소형 디지털 카메라는 기존 원격탐사 플랫폼과 비교하여 경제성에서 장점이 있다. 최근 무인항공기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바, 지리학 분야에서도 공간정보 구축의 플랫폼으로서 지역연구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와 신자도 전면의 최근 지형 변화: 2007년-2012년 (Recent Morphological Changes off the Shoreface of Jinwoodo and Sinjado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2007-2012)

  • 박진구;김부근;이희준;이상룡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87-101
    • /
    • 2014
  • Recently,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geomorphological chan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because those changes are caused by artificial activities including weirs, reclamation and construction. In order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 recent geomorphological variability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 surveyed the depth and elevation of submarine topography near Jinwoodo and Sinjado from March 2007 to February 2012. A statistical method (based on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and an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method were us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variables (DCE, NDC, EPR, LRR), the highest amount and rate of accumulation were recorded around the Gadeokdo whereas the greatest amount of erosion appeared around the coast off the eastern part of Sinjado. In particular, a dynamic variation of morphology was clearly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sub-tidal channel located between Jinwoodo and Sinjado, which seems to be attributable to channel migration. As a result of the EOF method, the first mode (48.7%)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pattern of morphological variability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westerly movement of sediment by longshore current.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second mode (16.6%) was high in the shoreface of Sinjado, showing a 4-year periodicity of temporal variability. The strong correlation (coefficient 0.73) between the time coefficient and suspended sediment discharge from Nakdong River emphasizes the role of sediment discharge to deposition in this area.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third mode (11.3%) was distributed mainly around the coast off the eastern part of Sinjado, which i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coastline of Sinjado. Based on the last 5 year's data,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y area is characterized on the whole by a depositional pattern, but the extent of sedimentation is different locally.

반향 눈 운동에 의한 3차원 경사의 왜곡된 지각 (Distorted perception of 3D slant caused by disjunctive-eye-movements)

  • 이형철;감기택;김은수;윤장한
    • 인지과학
    • /
    • 제13권2호
    • /
    • pp.37-45
    • /
    • 2002
  • 추적 눈 운동에 의해 망막에서의 상이 역동적으로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외부세계의 공간속성을 대부분 안정적으로 지각한다. Helmholtz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은 우리의 시각체계가 망막에서의 상의 움직임과 눈 운동정보를 동시에 고려하여 외부세계의 공간속성을 지각한다고 믿어 왔다. Helmholtz가 제안한 체계가 완벽하게 작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증거들을 여러 연구들이 제시하여 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두 눈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황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는 관찰자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대상을 두 눈으로 추적하는 경우에서처럼 두 눈이 각기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황에 의해 유발되는 양안부등이 시각체계에 의해 교정되는지를 검증하였으며, 피험자들은 반향 눈 운동 동안에 시공간적인 중침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대상의 경사를 2AFC과제를 이용하여 보고하였다. 실제 제시되는 대상이 피험자와 평행하게 경사 없이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향 눈 운동에 의해 망막에 생성되는 양안부등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피험자들은 대상의 경사를 왜곡하여 지각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우리의 시각체계가 반향 눈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양안부등을 적절히 교정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 PDF

테오 판 두스부르흐의 반-구축적 조형특성에 관한 연구 - 1923년 데 스틸 전시회의 주택설계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o van Doesburg's Counter-construction - Focus on the House Projects in 1923 De Stijl Exhibition -)

  • 서정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0-37
    • /
    • 2010
  • Dutch artist, Theo van Doesburg had shown short but strong experimental aesthetics in his works through De Stijl movement. He played a leading role for editing De Stijl magazine and performed various formative works such as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In 1923 he opened the first De Stijl exhibition cooperated with Cornelis van Eesteren. In this architecture exhibition he showed rich formal spirits of counter-construction in his major design works, that is Maison Particuliere and Maison D'artiste among three houses projects. Formal characteristics of counter-construction can be summed up under two categories, time and spac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unter-construction related to time category include two types of two mode. One is linear aspect of time based on the viewer's movement. The other aspect is simultaneity caused by synoptical effect. These could be proved by the analysis of arrangement of color planes. Secondly, the spatial aspects of counter-construction are produced through two different ways of formal strategies. Van Doesburg arranged cubes in very irregular pattern. This treatment induces ambiguous void and creates feeling of subject's space. And, through deleting, shifting, and extending he could make dynamic spatial effect by interpenetration between in and out. This fluid space thus introduces movements of one's gaze and circulation. He denied traditional classical values which had ruled the western aesthetical discipline for centuries and believed that mankind can reach the realm of universal equilibrium by contrast and tension created by counter-construction. In this vein Theo van Doesburg was an avant-garde artist of Hegelian thoughts who adopted the dialectical method without follow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from ancestors.

Cigarette Smoke Attenuates Histopathological and Neurobiological Changes Caused by 87V Scrapie Agent Infection in IM Mice

  • Sohn Hyung-Ok;Hyun Hak-Chul;Shin Han-Jae;Han Jung-Ho;Park Chul-Hoon;Moon Ja-Young;Lim Heung-Bin;Kim Yong-Sun;Lee Dong-Wook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2-218
    • /
    • 2005
  • Cigarette smoking has been known to have a few beneficial effects on some neuronal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AD), Parkinson's disease(PD) and prion disease by scrapie agent shows many similar properties with AD. In this respect, we investigated what biological effects are exerted by cigarette smoke exposure(CSE) in the brain of mouse infected by 87V scrapie. The scrapie agent was inoculated through stereotaxic microinjection of the homogenates of the scrapie agent infected brain into the intracerebral system in the 1M mice. The inoculation into mice typically exhibits neurochemical, phys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ion disease: loss of neurotransmitters and induction of astrocytosis and vacuolation in brain as well as reduction of spatial movement and loss of body weight. CSE led to alleviated the loss of body weight and also improved spatial movement of the infected mice. Most interestingly, CSE attenuated astrocytosis and vacuolation caused by scrapie infection in the brain. In addition, decreased levels of dopamine in striatal and hypothalamic regions as well as serotonin level in hippocampus caused by scrapie infection were also attenuated by exposure to cigarette smok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igarette smoke, by its inhibition of astrocytosis and vacuolation followed by its restoration of levels of some neurotransmitters, may partly contribute to suppression in the progress of neurodegeneration caused by scrapie infection.

스마트 최상층 면진시스템의 진동제어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Vibration Control of a Smart Top-Story Isolation System)

  • 강주원;김태호;김현수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9-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최상층 면진시스템을 적용한 고층건물의 풍응답 제어성능을 검토해보았다. 이를 위하여 77층 초고층 건물을 예제구조물로 선택하였고 풍동실험을 통해서 얻은 풍하중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예제구조물의 최상층은 FPS 및 MR 감쇠기로 구성된 스마트 면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구조물과 분리된다. 주구조물의 동적응답을 저감시키는 것이 스마트 최상층 면진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지만 면진된 최상층의 과도한 응답은 구조물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면진된 최상층과 주구조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스카이훅제어기를 제어알고리즘으로 사용하였다. 제안된 스마트 최상층 면진시스템의 제어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수동 최상층 면진시스템의 제어성능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결과 제안된 스마트 최상층 면진시스템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수동 최상층 면진시스템에 비해서 면진층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도 구조물의 응답을 저감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