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evelopment

검색결과 4,059건 처리시간 0.097초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개발 방안 수립 (The Establishment for Technology Development Plan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Cloud Service)

  • 윤준희;김창윤;문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69-477
    • /
    • 2017
  •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IT 자원을 가상화 기술을 활용에 다양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국가 공간정보는 관리 주체가 분산됨에 따라 최신의 갱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GIS 분석기능을 기관 별로 독자적으로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들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간정보 시스템에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위한 연구는 기술개발의 방향 제안에 머물러 있고 구체적 개발 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개발 방안을 수립한다. 첫 번째로 정책 및 기술적 환경과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술개발 목표를 설정한다. 두 번째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요소 및 핵심 기술요소를 평가 요소에 대한 전문가 분석으로 도출한다. 그 결과 총 열 세 개의 핵심 기술요소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핵심 기술요소를 구성하는 총 서른 한 개의 연구활동이 정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핵심 기술요소 및 연구활동은 추후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기술 개발 로드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발달을 지원하는 어린이도서관 공간기준: 이용자편익기준을 중심으로 (Spatial Conditions of a Children's Library Supporting Children's Development: With Priority Given to User Benefit Criteria)

  • 홍현진;강미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3-199
    • /
    • 2010
  • 이 연구는 어린이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이 어린이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어린이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으로 어린이 발달 특성을 검토하고 단계별, 영역별 발달 특성을 적절하게 지원할 수 있는 공간요건의 토대인 이용자편익기준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용자편익에서 편익이라는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해 어린이도서관 및 어린이공간을 주제로 진행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편익에 대응되는 개념어들을 추출했다. 그리고 추출된 항목들을 비교분석하고 본 연구의 제시 항목을 추가하여 12개의 개념어를 편익의 대체어로 제시하여 실제 도서관 공간에 적용시켰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에게 제공되는 편익 차원에 초점을 맞춘 어린이도서관 공간기준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공간규모별 어촌지역 진단지표 개발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icator in Fishing Villages by Spatial Scale)

  • 조은정;오윤경;배승종;김수진;이상현
    • 농촌계획
    • /
    • 제27권1호
    • /
    • pp.9-20
    • /
    • 2021
  •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indicator that can diagnose the region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fishing villages, this study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nd selected the diagnostic indicator of fishing villages by spatial unit. The major categories are divided into population and society, economic conditions, and living conditions. The middle categories consists of population, household, industry, tourism, settlement, environment, safety, health and welfare, education, and culture and leisure. The indicator were selected with reference to the existence of statistical data officially provided according to the spatial range(Si/Gun, eup/myeon, village). Based on the selected indicator, the test evaluation was conducted in Jindo-gun, Jeollanam-do by applying data that can be obtained from KOSIS and web GIS. It is judged that the diagnostic indicator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can be used in various ways from the planning stage to the implementation stage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such as grasping the current conditions, setting improvement targets, promotion and evaluation/monitoring of the projec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regional diagnosis for each spatial unit and to plan and implement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by giving priority to areas where the level of each department is insufficient.

도시개발 영역 고정밀 공간지반모델의 지진 시 액상화 재해 및 지반 취약성 평가 활용 (Application into Assessment of Liquefaction Hazard and Geotechnical Vulnerability During Earthquake with High-Precision Spatial-Ground Model for a City Development Area)

  • 김한샘;선창국;하익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221-230
    • /
    • 2023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assessing seismic liquefaction hazard by implementing high-resolution three-dimensional (3D) ground models with high-density/high-precision site investigation data acquired in an area of interest, which would be linked to geotechnical numerical analysis tool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vulnerability of earthquake-induced geotechnical phenomena (ground motion amplification, liquefaction, landslide, etc.) and their triggering complex disasters across an area for urban development with several stages of high-density datasets. In this study, the spatial-ground models for city development were built with a 3D high-precision grid of 5 m × 5 m × 1 m by applying geostatistic methods. Finally, after comparing each prediction error, the geotechnical model from the Gaussian sequential simulation is selected to assess earthquake-induced geotechnical hazards. In particular, with seven independent input earthquake motions, liquefaction analysis with finite element analyses and hazard mappings with LPI and LSN are performed reliably based on the spatial geotechnical models in the study area. Furthermore, various phenomena and parameters, including settlement in the city planning area, are assessed in terms of geotechnical vulnerability also based on the high-resolution spatial-ground modeling. This case study on the high-precision 3D ground model-based zonations in the area of interest verifies the usefulness in assessing spatially earthquake-induced hazards and geotechnical vulnerability and their decision-making support.

GDK를 이용한 GPS 자료처리 컴포넌트 개발 (Development of GPS Data Processing Component with GDK)

  • 변수윤;임삼성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85-88
    • /
    • 2000
  • GPS/GIS 관련 정보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공간 정보의 양이 급증하는 추세에 맞추어 양질의 공간 정보 서비스에 내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분석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GIS 자료의 위치정확도 향상과 효율적 관리를 위한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외국 GIS 엔진을 응용시스템별로 대체할 수 있는 국산 GPS/GIS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국내 GIS환경에 부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분석 욕구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GPS 데이터 처리 컴포넌트를 OLE/COM 기반으로 개발하여 국산 GIS 소프트웨어와의 원활한 연계를 도모하였다. 또한 국산 GIS 소프트웨어의 활성화 연구의 일환으로 GEOMania의 GDK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GPS 데이터 처리 컴포넌트의 개발을 통해 GIS 소프트웨어 기능의 다각화와 컴포넌트 기반의 GIS 소프트웨어 개발 확산 및 선진화를 유도하였다.

  • PDF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Mobile Environment)

  • 황정래;김태훈;최현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57-67
    • /
    • 2012
  • 최근에 공간정보 활용분야 확대와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위치기반서비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공간정보기술 개발의 잠재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모바일 기반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모바일 앱/웹 현황 조사와 모바일 공간정보 관련 전문가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공간 소셜 분석을 위한 마이크로블로그 데이터의 맵리듀스 기반 공간 집계 알고리즘 (A MapReduce based Algorithm for Spatial Aggregation of Microblog Data in Spatial Social Analytics)

  • 조현구;양평우;유기현;남광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6호
    • /
    • pp.781-790
    • /
    • 2015
  •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의 발전에 따라 최근에는 마이크로블로그가 성행하고 있다. 마이크로블로그에는 부가적인 데이터가 담겨있다. 그 중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블로그 데이터를 공간 소셜 웹 객체라고 지칭한다. 이러한 마이크로블로그 데이터에 대한 일반 집계는 사용자별 데이터 집계 등이 있으나, 단일 정보에 대한 집계만 가능하다. 본 연구는 공간 소셜 웹 객체의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블로그 데이터의 공간 소셜 분석을 위해, 일반 집계와 공간 데이터를 결합하고 지오해시와 맵리듀스를 이용한 공간 집계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의미있는 공간 소셜에 대한 분석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Evaluation of Economic Potential and Level of Concentration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 Nurlanova, Nailya K.;Kireyeva, Anel A.;Ruzanov, Rashid 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4권2호
    • /
    • pp.37-44
    • /
    • 2017
  • This research is devoted to the development of methods general and standard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approbation those for the evaluation of economic potential and level of concentration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the authors on the selection and justification of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economic potential (the degree of territorial differentiation of the profile) and concentration of regions. In this study, we used scientific methods: method of analysis the main trend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method of evaluation of concentration of the region. Based on the analysis of foreign techniques developed and tested methodical approaches to the assessment of the economic potential (index and coefficient methods). Proposed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the assessment profile of the territory and developed a system of indicators, which includes an aggregated index of spatial concentration, which accurately reflects the concentration of produc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otential regional disparities and trends of economic development of Kazakhstan. By using, the proposed methodology shows the possibility of their use; we calculated the indicators of integrated assessment of the economic potential and indicators of spatial concentration.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사례를 통한 해상풍력단지 조성 방안 연구 - 노르웨이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through a Review of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Project Cases in Norway)

  • 김태윤;맹준호
    • 풍력에너지저널
    • /
    • 제14권2호
    • /
    • pp.14-25
    • /
    • 2023
  • This study focuses on proposing measures for the reasonable development of offshore wind farms using the case of Norway, which was the first nation in the world to build a floating offshore wind farm of 80 MW or more. Norwegian authorities conducted a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 in 2012 to select offshore wind farm sites, discovered 15 potential sites, and finally decided on two designated sites in 2020. Based on various survey data such as seabirds, marine environment, and fishing activities, scientific-based spatial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additional offshore wind farm sites in line with future development plans. In addition, a government-led steering committee and advisory group have established marine spatial plans since 2002.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listen to and coordinate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by using the steering committee and advisory group for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case of Norway, we suggest the following policy points that can achieve carbon neutrality and develop sustainable offshore wind farms: 1. Establish a government-led steering committee and advisory group that can select potential sites for offshore wind farms by coordinating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2. Induce efficient and sequential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by using various survey data and scientific-based spatial analysis.

소비자단체의 공간적 분포 특성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Spatial Distribution of Consumer Organizations)

  • 고대균;한지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5-5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단체의 공간적 분포와 그 특성을 살펴보고, 소비자단체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소비자단체가 소비자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11개 소비자단체, 815개소 지부 및 지회 자료를 수집하여 국지적 자기상관과 공간시차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소비자단체의 공간적 분포는 지리적인 특성에 따른 패턴을 찾기 어려웠다. 둘째, 소비자단체는 인구와 사업체 수가 많고 면적이 큰 지역일수록 더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단체의 공간적 분포는 소비자상담 건수와 비교할 때, 소비자단체의 수요와 공급 간 불일치가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후속 연구에서는 소비자단체의 활동에 관한 질적 자료를 보충하여 분석함으로써, 소비자단체의 구체적인 발전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