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isoflavone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4초

대두혼합식빵 제조시 대두첨가량에 따른 반죽과 식빵의 물성 변화 (Rheological Changes of Dough and Breadmaking Qualities of Wheat Flour with Additions of Soy Flour)

  • 김인호;하상철;이인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8-424
    • /
    • 2002
  •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급원이며 isoflavone계의 우수한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를 첨가해서 소비자의 기호성 및 기능성을 갖춘 대두 혼합 식빵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대두는 증자하여 열풍 건조하고 분쇄한 후 분말로 만들어서 소맥분에 0, 5, 10, 20, 30% 되게 각각 첨가하여 반죽을 제조하여 제빵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빵 실험 결과에서 대두분을 10% 까지 첨가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리노그래프의 결과에서 보면 대두분의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수분 흡수율이 증가하고 반죽 형성 시간이 길어졌으며 안정도가 낮아지고 약화도가 커졌다. 익스텐소그래프의 결과에서 보면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 저항도 및 신장도가 감소하고 소맥분만 사용한 대조구에 비해서 가스 보유력과 발효 내구력이 저하되는 반죽 물성을 보였다. 아밀로그래프의 결과에서 보면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 개시 온도가 높아졌으며 최고 점도와 최고 점도온도는 감소하였다. 빵 단면의 색도에 있어서는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b(yellowness)값이 뚜렷하게 증가 했고 L(lightness)값은 감소하여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redness)값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의 관능 검사에서는 대두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외관, 내관 및 식감 특성이 전체적으로 점차 열등하였다.

나물용 콩 품종의 종실 및 콩나물 함유 Isoflavone 변이 (Variations of Isoflavone Contents in Seeds and Sprouts of Sprout Soybean Cultivars)

  • 김영진;오영진;조상균;김정곤;박명렬;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60-165
    • /
    • 2006
  •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나물콩을 생산하기 위하여 isoflavone함량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고, 재배적 방법에 의한 원료콩 종실의 isoflavone함량의 증진 가능성을 조사하는 한편, 콩나물의 재배 일수에 따른 콩나물 부위별 isoflavone 함량의 경시적 변화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나물콩 21품종의 종실에 함유된 daidzein과 genistein의 총 함량은 $756{\sim}1,682{\mu}g/g$으로 품종간 차이가 컸으며, 특히 익산 13호$(1,682{\mu}g/g)$ 및 남원재래$(1,500{\mu}g/g)$에서 함량이 높았다. 2. Daidzein 함량은 익산 13호$(924{\mu}g/g)$ 및 IT 160996 $(828{\mu}g/g)$에서 높았으며, genistein 함량은 익산 13호$(758{\mu}g/g)$ 및 남원재래$(756{\mu}g/g)$에서 높았다. 3. 풍산나물콩의 영양생장기에 식물생장조절제인 안티폴$(2,472{\mu}g/g)$과 후라스타$(2,052{\mu}g/g)$를 처리하였을 때 daidzein과 genistein의 총 함량이 대조군$(1,800{\mu}g/g)$에 비하여 각각 37%와 14% 증가하였다. 4. 은하콩의 콩나물 재배일수 경과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자엽의 경우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배축의 경우 daidzein이 치상 후 3일까지 증가하다 4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배축의 genistein함량은 콩나물 재배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5. 풍산나물콩의 콩나물 재배일수 경과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은하콩과 달리 자엽의 경우에는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배축의 경우 daidzein이 치상 후 1일에 $5,154{\mu}g/g$까지 증가했으나 재배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배축의 genistein함량은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6. 콩나물재배 6일째부터 발생한 잔뿌리에는 isoflavone 함량이 $4,416{\mu}g/g{\sim}5,232{\mu}g/g$으로 매우 높았다. 7. 고기능성 나물용 콩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원료콩 종실의 isoflavone함량이 높고, 콩나물이 식용으로 이용되는 시기까지 isoflavone함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품종의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ose-response assessment of the anti-cancer efficacy of soy isoflavones in dimethylhydrazine-treated rats fed 6% fructooligosaccharide

  • Sung, Rye-Young;Choi, Young-S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2호
    • /
    • pp.55-61
    • /
    • 2008
  • We investigated the combinatorial effects of different doses of dietary soy isoflavones (SI) and fructooligosaccharide (FOS) in a rat model of colon cancer. We hypothesized that increased bioavailability of SI metabolites due to dietary FOS may increase production of bioactive equol and affect colon carcinogen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injected with 12-dimethylhydrazine (DMH) and were providec experimental diets that contained 0, 10, 50, 150, or 500 mg SI per kg of diet and 6% FOS for 12 weeks. The number of aberrant crypt foci (ACF) and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in colonic tiss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6% FOS-f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Gut transit time and fecal pH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fecal concentrations of bifidobacteria were increased with 6% FOS. However, dietary SI supplementation in combination with 6% dietary FOS did not affect ACF formation or COX-2 expression. Plasma equol concentrations were dose-dependently increased by supplementation of SI up to 500 mg/kg of diet. In conclusion, SI supplementation up to 500 mg/kg of diet appeared to have no additive beneficial effects in rats with chemically-induced colon cancer that were fed 6% FOS, although plasma equol was dose-dependently increased.

발아 고단백 콩의 Lactobacillus brevis 젖산발효에 의한 가바와 이소플라본 함량 및 라디칼 소거활성의 비교 (Comparison of γ-aminobutyric acid and isoflavone aglycone contents, to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high-protein soybean sprouting by lactic acid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brevis)

  • 황정은;모하메드 아지줄 하크만;이진환;주옥수;김수철;이희율;엄봉식;박경숙;조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8
    • /
    • 2018
  • 본 연구는 발아된 고단백 콩(high protein soybeans, HPSs)으로부터 가바(GABA)와 비배당체 이소플라본(isoflavone aglycones)이 증가된 콩-분말 요구르트(SPY)를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L. brevis로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 0-4 cm)를 72시간 발효하였다. 발효 고단백콩(FHPS), 0 cm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0), 1cm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1), 2cm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2) 및 4 cm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4)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 79.53, 489.93, 877.55, 780.53 및 979.97 mg 이었다. 발효되지 않은 고단백콩 발아체(UFSHPS-1, 1 cm) 및 FSHPS-1의 글루탐산(GA) 및 GABA 함량이 각각 최고 100.31 mg/100 mL 및 101.60 mg/100 mL로 관찰되었다. 또한 FSHPS-1에서 가장 높은 DPPH(63.28%) 및 ABTS(73.28%)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그러나 FSHPS-4에서 isoflavone aglycone 비율이 81.63%로 가장 높았다. 특히, FSHPS-1은 높은 가바 함량과 기능적 특성을 나타내어 두유 산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소플라본의 투여가 골질량이 감소된 저체중과 정상체중 여대생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Effect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Marke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Low Bone Mass)

  • 백수경;승정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54-166
    • /
    • 2003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both bone mineral density and hormone variation in premenopausal women who had decreased bone mass, the 24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the underweight group, consisting of 13 subjects, and the other was the normal weight group consisting of 11 subjects. For each group,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of 90 mg/day on both bone mineral density and hormone variation during 3 menstrual cycle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recall, and analyses of blood and urine were assessed from baseline to post-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the underweight group was 21.8 years old and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was 23.2 years old. The comparative results for the two groups at baseline were as follows: Onset of menarche, menstrual cycle, and menstrual leng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Serum protein, total, HD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Ca, P, Mg, Cu, and Zn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Serum estradiol, SHBG, LH, and FSH level were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Lumbar spine BMD by T scores of the underweigh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Serum osteocalcin, urinary DPD, and urinary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comparative results for the two groups at post-treatment were as follows: From baseline to post-treatment, the intake of energy, nutrients and isoflavone in food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in either group. Serum protein, total cholesterol, HD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in either group. Serum Ca, Cu, and Z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groups and serum Mg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the underweight group. Serum estradi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groups, but serum SHBG, LH, and FSH leve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in either group. Lumbar spine BMD by T score of the underweigh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o 15%, but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Serum osteocalcin of the underweigh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o 28%, while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o 40%. Urinary DPD of the normal weigh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o 12%. The results show that the BMD of the underweigh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Therefore, the underweight group had a disadvantage in obtaining maximum bone mineral density. The results also show that isoflavone supplementation during 3 menstrual cycle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spine and affected bone metabolism markers in premenopausal underweight wome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ufficient intake of isoflavone could be helpful in preventing decreases in bone mass among premenopausal women, especially underweight women.

고해상도 질량 분석을 이용한 대두(Glycine max L.) 우수자원 종자의 이소플라본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Isoflavones from Seed of Selected Soybean (Glycine max L.) Resources Using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 이소정;김헌웅;이수지;라혜민;권령하;김주형;윤혜명;최유미;위치도;유선미;이상훈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55-665
    • /
    • 2020
  • In this study, chemical information on a total of 20 individual compounds was constructed to identify isoflavones from the previous reports related with used parts(seeds, leaves, stems, pods) and products of soybean(Glycine max L.). Through constructed library and UPLC-DAD-QToF/MS analysis, a total of 19 individual isoflavones including aglycones, glucosides, acetylglucosides and malonylglucosides as major compounds was identified and quantified from 14 selected soybean seeds. Among them, genistein 7-O-(2"-O-apiosyl)glucoside and genistein 7-O-(6"-O-apiosyl)glucoside(ambocin) were identified tentatively as novel compounds in soybean seeds. Besides, among malonylglucosides, glycitein 4'-O-(6"-O-malonyl)glucoside was estimated for the first time. Total isoflavone contents were distributed from 240.21 to 445.21(mg/100 g, dry matter) and 7-O-6"-O-malonylglucosides were composed of 77.8% on total isoflavone as well as genistein derivatives were confirmed as major class. It was considered importantly that the development of isoflavone-rich varieties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ir effects such as anti-inflammation, anti-cancer and menopause mitigati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presented precisely in this study could be help to select and breed isoflavone-rich varieties. Furthermore, their basic isoflavone profile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estimate the change of isoflavone conjugates on bioavailability after soy food supplements.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이소플라본 보충이 혈청 지질패턴 및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Systems in Rats Fed with Cholesterol Diet)

  • 김수연;김순영;정은정;윤선;박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83-1690
    • /
    • 2010
  • 심혈관질환 및 암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을 예방하는 식이성분 이소플라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대두 단백질에 포함된 성분으로서의 이소플라본의 효과에 관해서는 많은 검증이 되어왔지만 정제된 이소플라본 자체의 생리활성에 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이 있다. 특히 이소플라본의 지방감소 효과, 항산화작용등에 관해서는 질병 예방의 효과와 관련하여 규명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소플라본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하는 흰쥐와 일반식이를 섭취하는 흰쥐의 지질 패턴과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후 7주령 Sprague Dawley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대조군(basal diet, B), 이소플라본 보충군(B+Isoflavone, BI) 고콜레스테롤군(B+cholesterol, BC) 및 고콜레스테롤-이소플라본 보충군(BC+Isoflavone, BIC)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Two-way ANOVA를 실시하여 이소플라본과 콜레스테롤 보충효과 및 각 변수에 대한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VLDL+LDL 콜레스테롤, atherogenic index는 콜레스테롤 비첨가 군 중에서(B, BI) 이소플라본에 의해 유의하게 낮았지는 효과가 있었고(각 각 p=0.0002, p<0.0001, p=0.0042). 콜레스테롤 첨가군(BC, BIC)들을 비교했을 때는 VLDL+LDL 농도만이 이소플라본 첨가시(BIC)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T-SOD는 콜레스테롤 비첨가 군 중에서(B, BI) 이소플라본 첨가군(BI)이 비첨가군(B)보다 유의하게 높았고(각 각 p=0.0317) TAS는 콜레스테롤 첨가 여부와 관계 없이 이소플라본 첨가군(BI, BIC)이 비첨가군(B, BC)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01). 혈청 지질과산화, 총 항산화능, 항산화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소플라본과 콜레스테롤의 모든 효과는 각 각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이 혈청 지질패턴을 개선하고 항산화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심혈관계질환을 비롯한 만성퇴행성 질환을 예방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소플라본의 식이 첨가량에 따른 효과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두유 제조 공정에서 생산되는 대두 침지액으로부터 이소플라본의 회수 (Recovery of Isoflavones from Soybean Cooking Water Produced during Soymilk Manufacturing Process)

  • 최연배;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22-526
    • /
    • 1997
  • 두유를 제조할 때 부산물로 발생하는 대두 침지액 중에 함유된 isoflavone을 흡착수지인 HP-20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회수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두 침지액 중에는 genistein과 daidzein이 각각의 배당체 형태인 genistin과 daidzin으로 존재하였으며, 이들의 농도는 $0.083{\pm}0.019\;mM$, $0.110{\pm}0.017\;mM$이었다. 흡착수지로 흡착하여 회수하는 데 대두 침지액의 pH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pH 4.0에서 흡착되는 정도가 가장 높았다. daidzin보다는 genistin이 더 강하게 흡착되었다. 또한 용출속도는 SV가 10까지는 회수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칼럼의 직경과 높이의 비율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대두 침지액 중에 함유된 genistin과 daidzin을 각각 85%, 70% 정도 회수할 수 있었으며, 이때 대두 saponin도 함께 회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