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matic Cell Count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bamboo leaf extract on the production performance,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and rumen bacterial communities of heat-stressed dairy cows

  • Li, Yi;Fang, Luoyun;Xue, Fuguang;Mao, Shengyong;Xiong, Benhai;Ma, Zhu;Jiang, Linshu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1호
    • /
    • pp.1784-1793
    • /
    • 2021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amboo leaf extract (BLE) on the production performance,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and rumen bacterial communities of heat-stressed dairy cows. Methods: The experiment comprised a 14-day adaptation period and a 21-day experimental period and was conducted in a high-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daily mean ambient temperature = 33.5℃±1.3℃; daily mean relative humidity = 64.9%±0.8%, daily mean temperature-humidity index = 86.2±0.4). Twelve Holstein dairy cow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A total mixed ration supplemented with BLE at 0 (CON) and 1.3 g/kg dry matter (DM) were fed, respectively. Feed intake and milk yield were recorded daily. Milk samples were collected on 1, 11, and 21 d of the experimental period to analyze milk performance. Rumen fluid samples were collected on 21 d of the experimental period to analyze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and rumen bacterial communities.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upplementation of BLE increased milk yield (p<0.01), milk fat yield (p = 0.04), 4% fat-corrected milk (p<0.01) and milk fat content (p<0.01); reduced somatic cell count (p<0.01). No differences in DM intake and milk protein or lactose content were observed between two groups. Supplementation of BLE also increased the rumen total volatile fatty acid (p<0.01), acetate (p<0.01), butyrate (p<0.01), and valerate (p = 0.05) concentrations.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on rumen pH, ammonia nitrogen, propionate, acetate/propionate ratio, isobutyrate, or isovalerate. Furthermore, BLE increased the rumen bacterial abundance and the diversity of the rumen bacterial community. The BLE reduced the Firmicutes/Bacteroidetes abundance ratio and increased the abundances of Butyrivibrio_2 (p<0.01) and Ruminococcus_2 (p<0.01). Conclusion: The BLE supplementation at 1.3 g/kg DM could improve production performance and rumen fermentation in dairy cows during heat stress.

발효미역부산물의 첨가가 Holstein 비유우의 비유성적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Brown Seaweed Waste (FBSW) on Milk Production,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Holstein Dairy Cows)

  • 홍중산;이철호;허성웅;윤금룡;김영성;이현준;이상범;최윤재;이홍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4호
    • /
    • pp.287-296
    • /
    • 2010
  • 본 시험은 발효미역부산물의 수준별 첨가가 Holstein 비유우의 산유량과 유성분, 혈중 호르몬과 대사산물 및 IgG와 IgA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발효미역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산유량을 보면 시험 60일에서 대조구와 1% FBSW, 2% FBSW가 각각 28.99 kg/d, 31.00 kg/d, 30.39 kg/d로 1% FBSW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2 kg/d의 유량증가를 보였으며, D0에 대한 유량 증가 또한 대조구 -1.84 kg/d에 비하여 1% FBSW는 0.23 kg/d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유지방, 유단백, SNF, MUN 등 유성분에서는 처리간에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우유중의 Ca농도는 시험 40일에서 대조구가 13.73 mg/dl, 1% FBSW가 18.02 mg/dl, 16.64 mg/dl로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냈다(p<0.05). 우유 중 total cholesterol은 시험개시와 시험 종료시 대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우유중의 체세포는 시험 60일에서 13.86~15.66만개/ml 범위내(체세포 1등급기준 < 20만개/ml)에 있음이 관찰되어 발효미역부산물 첨가의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IgG는 시험 종료 시 처리구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IgA의 농도는 대조구, 1% FBSW, 2% FBSW가 각각 181.23, 207.83, 242.39 ${\mu}g$/ml로 발효미역부산물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갑상선호르몬인 T4는 1%, 2% 발효미역부산물 첨가에 의해 뚜렷한 증가를 보였고(p<0.05), 비유촉진 호르몬인 prolactin 역시 통계적 유의성 차이는 없었으나 1% FBSW가 0.76n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혈중 대사산물인 glucose는 처리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NEFA의 경우도 0.30~0.32 mEq/dl로 처리간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냈다. BUN의 경우 처리 40일에서 대조구, 1% FBSW, 2% FBSW가 각각 19.22, 17.81, 16.58 mg/dl로 2% FBSW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다른 비유기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WBC, RBC, Hb, Hct, T-B, ALP, GOT, GPT 등 항목의 측정결과 시험 20일에서는 각 항목에서 처리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험 40일의 경우 혈중 GOT가 1% FBSW이 107.71 IU/L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2% FBSW가 146.71 IU/L, 대조구가 163.57 IU/L로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냈으나(p<0.05), 다른 비유기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 수준의 발효미역부산물의 첨가는 젖소의 산유량 증가에 효과적이며, 이는 비유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우유중 Ca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는 결과를 볼 때 발효미역부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면 고능력 및 고기능성 젖소사료로의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열처리 단백질-광물질 복합제제 첨가가 In Vitro 발효성상과 착유우의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Heat Treated Protein and Mineral Complex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Holstein Dairy Cows)

  • 최낙진;배귀석;남경표;장문백;엄재상;고종렬;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41-548
    • /
    • 2002
  • 본 연구의 in vitro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배양액의 pH와 암모니아 생성량은 전 배양 시간동안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Total VFA, acetate, propionate, butyrate 생성량은 12 h에서 HPM을 0.2%, 1% 첨가한 시험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 첨가구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었고, 48 h에서는 HPM 첨가한 세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다른 배양시간대에서는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A/P ratio 경우에도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총 gas 생성량은 배양시간 24 h과 48 h에 HPM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P<0.05). 한편 사양실험은 열처리된 단백질 (대두박)과 광물질의 복합 제제 (HPM)가 젖소의 유생산량과 유성분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유생산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HPM 시험구에서 하루에 약 1kg 정도 더 높았고 (27. 7 vs 28.8 kg/d, P<0.001), 4% FCM 생성량 또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볼 때 HPM 시험구에서 1.3 kg/d 이 더 높았다 (P<0.001). 유단백 (P<0.05)과 SNF (P<0.05)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HPM 시험구에서 그 생산량이 증가되었다. 반면에, 유지방, MUN과 체세포수는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HPM 첨가에 의한 반추위 발효 저해현상은 없었으며, HPM 내 함유되어 있는 열처리된 단백질과 광물질의 결합체와 잔여 광물질이 반추위 내 단백질과 결합하여 단백질 분해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단백질의 by-pass율을 증가시켜, 유생산량 증가와 유질을 개선 (유단백질, SNF 함량 증가 등) 하는 등 젖소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미역부산물의 첨가가 홀스타인 비유우의 비유성적과 내분비생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wn Seaweed Waste Supplementation on Lactational Performance and Endocrine Physiology in Holstein Lactating Cows)

  • 이홍구;홍중산;이철호;허성웅;김훈;김명국;이현준;최낙진;고태송;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573-582
    • /
    • 2005
  • 본 시험은 미역분말의 첨가가 홀스타인 젖소의 유생산과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기초사료에 미역분말을 1일 두당 800g 수준으로 급여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사료건물섭취량은 처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고 비유말기 산유량은 대조구에 비해 일일 6.25kg 이나 많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하지만 유성분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조구의 체세포수는 유동적이었지만 처리구의 체세포수는 시험 종료 시 $10^5$개/ml로 시험개시에 비해 무려 53.77%의 감소효과를 보여 탁월한 체세포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미역분말의 첨가가 혈중 면역글로부린의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IGF-1의 혈장농도는 미역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비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또 다른 호르몬인 $T_3$$T_4$의 농도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지질대사산물인 TC, HDL-C와 LDL-C의 농도는 모두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미역부산물의 사료 중 첨가는 유생산량의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혈중 비유관련 호르몬의 분비에 영향을 준 결과로 확인된 바 젖소사료자원으로서의 응용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착유우의 톱밥발효우사 이용연구 제 1 보 : 낙농가의 톱밥발효우사 형태별 이용효과 비교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awdust Bedding Barn for Dairy Cows)

  • 권두중;권응기;기광석;이기종;한정대;정석찬;강승원;강상열;정형섭;장학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19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wdust bedding barn on manure handing, management labour and physiological aspect of dairy cows, and then to establish the criteria on the optimum utilization method of sawdust bedding barn. 46 tie stall barns and 49 sawdust bedding barns were surveyed to cmopare the milk productivity between two different barns, and also 5 tie stall barns, 15 sawdust bedding barns and 1 rice hull bedding barn were selected to study the utilization situation of sawdust barn in Kyung-Ki province area. The major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oof material of sawdust barn were consisted of 66% vinyl house, 23% PVC light and 11% slate and galvanum coated tin. Most of the floor structure was earth ground with the rate of the approximately 82%. 2. The average occupied area of sawdust bed per cow was 15.2 $m^2$, depth that 30 cm and the utilization period was 12 months. 3. Milk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at sawdust barn than at tie stall barn(P<0.01). Bacterial and somatic cell count in raw milk were less at the sawdust barn than in tie stall barn.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wo barns. 4. The labour hour needed to cow management in the sawdust barn was approximately 48% of that of tie stall barn. 5.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measured in sawdust bed were closely affected by seasonal ambient temperature. The skin and hair of cow were much cleaner at the PVC light roofed sawdust barn than any other roof materials. 6. The additives used for improving of fermentation did not show any effect on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in sawdust be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was $30.4^{\circ}C$, the surface temperature of measured 1 cm above the sawdust bed was $12.2^{\circ}C$ lower and the temperature of 100 cm above the sawdust bed was $2.4^{\circ}C lower under shading net facility than that of vinyl roofed one.7. The hoof length of miking cow was 7.95 cm in tie stall and 9.19 cm in sawdust barn with high significance (P<0.01). And disease occurence such as mastitis and foot-rot tended to decrease in the sawdust barn. 8.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and coliform bacteria were less in the sawdust bed compared with earth ground resting area. And a parasite strongyloides papillosus was detected but without any infected cow. 9. The nitrate($NO_3N$) content in non-roofed earth ground resting area and earth ground under the sawdust bed was likely to pollute the ground water. 10. In economic point of view, rice hull bedding barn was the cheapest among different systems. And in the sawdust bedding barn PVC light + slate roofed barn was most desirable, and vinyl roofed one the least.

  • PDF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급여 비율이 착유유의 우유생산성과 대사산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Roughage to Concentrate Ratios on the Changes of Productivity and Metabolic Profiles in Milk of Dairy Cows)

  • 엄준식;이신자;이수경;이예준;김현상;최유영;기광석;정하연;김언태;이상석;정창대;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7-160
    • /
    • 2019
  •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급여 비율이 우유생산성과 대사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축은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홀스타인 6두를 이용하여 3두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농후사료 급여비율을 8:2, 나머지 3두는 2:8로 하여 1일 2회 분할 급여하여 원유 생산량, 유성분 및 1H-NMR를 이용한 원유 내 대사산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원유 생산량, 성분 분석 및 체세포수는 두 급여 간 유의적(P>0.05)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급여 비율별 원유 생산량 및 유성분 변화는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Carbohydrate 계열 대사산물 trehalose와 xylose는 T1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나, lactose 함량은 두 급여 간 유의적(P>0.05)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mino acid 계열 대사산물 중 glycine 함량이 가장 높았지만, 두 급여 간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으며, Urea와 methionine는 T2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Lipid acid 계열 대사산물 carnitine, choline 및 O-acetylcarnitine은 두 급여 간 유의적(P>0.05)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Benzoic acid 계열 대사산물 tartrate는 T2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Organic acid 계열 대사산물 acetate는 T1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fumarate는 T2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기타대사산물로 분류되어 있는 3-methylxanthine은 T2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비타민 B2로 불리는 riboflavin은 T1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이번 연구결과에서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농후사료 급여 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유생산량, 유지방, 유단백질, 유당, 무지고형분 및 체세포 수 분석 결과 유의적(P>0.05)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원유 내 여러 대사산물은 유의적(P<0.05)인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외의 1H-NMR을 이용한 원유 내 대사산물을 비교하였을 때 acetate, furmarate 및 lactose 등과 같은 주요 대사산물의 정량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의 원유 내 대사산물 연구에 기초적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질병과 직접적 상관관계에 있는 대사산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착유우의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동착유시스템 설치농가의 설치 후 만족도에 관한 실태조사 (A Suvey on Satisfaction Measurement of Automatic Milking System in Domestic Dairy Farm)

  • 기광석;김종형;정영훈;김윤호;박성재;김상범;이왕식;이현준;조원모;백광수;김현섭;권응기;김완영;여준모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9-48
    • /
    • 2011
  • 본 시험은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 AMS에 대하여 설치 동기, 설치 후 우유생산량과우유품질, AMS 설치계기 및 설치 후 만족도, AMS 운영상 애로점 및 건의사항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설치 계기가 무엇인가에 대한 응답비율은 노동력 부족 44%, 체험목장으로 전환 25%, 소들의 고능력화에 대응 19% 순이었으며 기타 6%였다. AMS 설치농가의 사육경력은 평균 24.9년, 평균 연령은 53.2세로 나타났으며 가족노동력만으로 경영하는 목장이 조사농가의 38%, 고용+자가노동력 형태의 목장이 63%로 나타났다. 목장의 산유능력은 두당 평균 유량은 1일 $30.9{\ell}$, 평균 유지율 3.9%, 세균수는 9.1천개/$m{\ell}$ 수준이었다. 후계자 육성에 대한 질문에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8%였으며, 보통 18%, 아니다와 매우 아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18%로 나타났다. 시스템 운영현황 및 애로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AMS의 프로그램 주운영자에 대한 질문에 본인 44%, 부인 6%, 자녀 또는 후계자사람이 44%, 기타 6%나 되었다. AMS 운영상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한 조사결과, 기기 작동 및 복잡한 프로그램 운영이 각각 31%로 가장 많았다. 그 외 기계 에러 및 고장에 대한 애로사항이 25%이였다. 도태원인에 대하여 유방염 28%, 번식장애 20%, 발굽질환 19%, AMS에 부적합한 유두 배열 12%, 분만 후 대사성질병 7%, 노산 등 기타 14%였다. 시스템 설치 후 유지보수 계약 체결유무 및 비용에 대하여 유지보수 계약 56%, 유지 보수 계약 미체결 44%이었다. 유지보수 계약 평균 계약비용은 연간 658만원 정도였다. 시스템 설치 후 항목별 만족도에 대하여 5점 만점에 3.9점이었으며, 노동력 절감 3.7점, 업체의 A/S 3.6점, 산유량 증가 3.2점, 원유의 체세포 수 저감 2.8점이었다. 시스템 설치 시 고려사항 및 건의사항에 대하여 고가의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젖소의 유방과 유두 배열이 적합하도록 젖소를 선발하는 것,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 적합한 환경, 재정적 능력과 부지 확보, 지속적인 관찰 등이 권장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치 업체에 대해서는 컨설팅이 체계화될 필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보다 저렴한 설치와 서비스의 체계화를 요구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국 충남 및 전북에서 생산된 유기우유와 일반우유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Milk and Conventional Milk from Chungnam and Jeonbuk, Korea)

  • 기광석;임동현;박성민;임현주;박수범;김태일;정석근;백광수;권응기;이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59-363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의 충남과 전북지역에서 생산되는 유기우유와 일반우유의 이화학적 성분분석을 통해 차이점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각 지역에서 유기우유 및 일반우유 생산농가를 각각 5개씩 선정하여 3회(2월, 3월 및 8월) 우유를 채취하였으며, 일반성분, 무기물 및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유기우유의 유성분 중 유지방(p<0.01), 총 고형물(p<0.05), 유리지방산(p<0.01) 및 구연산(p<0.05)의 함량은 일반우유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유단백질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기우유의 유당, 우유 중 요소태 질소(MUN) 및 체세포수는 일반우유와 차이가 없었지만, MUN은 전북지역의 우유가 충남지역보다 높았다(p<0.05). 우유내 무기물 중 P의 함량만 유기우유에서 높았고(p<0.01), Ca, K, Mg, Zn 및 Fe의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분석 결과, 우유내 지방산 중 함량이 높은 palmitic acid나 oleic acid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stearic acid와 총 포화지방산은 일반우유에서 높았다(p<0.01). 또한, 불포화지방산인 palmit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eicosenoic acid, arachidonic acid는 유기우유에서 높았다(p<0.01). 따라서, 총 불포화지방산(p<0.01),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p<0.05) 및 고도불포화지방산(PUFA, p<0.01)의 함량도 유기우유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한국의 충남 및 전북지역에서 생산되는 유기우유는 일반우유와 비교하여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유기우유는 건강에 유익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소비자들은 식품의 안전성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 때문에 앞으로 유기우유의 소비가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방식우사내 Fan과 Sprinkler설치가 착유우의 생리적 변화 및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inkler and Fan Cooling System in Loose Barn on the Physiological Parameter and Milk Productivity in Holstein Cows During Summer)

  • 정태영;이현민;김종민;김동일;이연섭;이인형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52
    • /
    • 1996
  •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우사내 fan + sprinkler에 의한 방서대책이 Holstein착유우의 생리적 반응, 유생산성 및 유조성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기 온도가 가장 높은 15:00시에 측정한 대조구와 처리구의 건구 온도, 상대 습도, 이슬점 온도 및 수증기압 등은 각각 30.15 : 30.4$0^{\circ}C$, 71.44 : 70.82%, 24.32 : 24.26$^{\circ}C$, 30.51 : 30.50mbar로 fan + sprinkler설치가 기상 조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2. 피부온도는 대조구(34.02$^{\circ}C$)에 비하여 fan + spinkler 처리구(32.96$^{\circ}C$)가 유의하게 저하되었다(P<0.05). 또한 직장온도도 대조구가 41.21$^{\circ}C$, 처리구가 39.53$^{\circ}C$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혈청 Cortisol 농도는 대조구가 1.44$\mu\textrm{g}$/dL로 처리구의 0.90$\mu\textrm{g}$/dL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평균 산유량은 대조구가 23.66kg, 처리구가 25.87kg으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시험축을 유기별로 나누어 유량을 조사한 바 대조구 보다 처리구가 비유초기, 중기 및 후기에서 각각 8.16%, 2.83% 및 12.14%의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5. 우유중 유당, 유단백 및 무지고형분 등의 함량 및 생산량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지방 함량의 경우 대조구가 3.22%, 처리구가 3.37%로 처리구가 0.15% point 증가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Fan + sprinkler가 설치된 시설에서 사육된 젖소에서 생산된 우유내 체세포수는 대조구에 비해 26.63%가 감소되었으나 유의차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시험 결과에서 볼 때 fan + sprinkler를 이용한 방서 방법은 고온 stress를 완화시켜 유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