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microbial biomass C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Integrated Use of Organic and Fertilizer N on Soil Microbial Biomass Dynamics, Turnover and Activity of Enzymes under Legume-cereal System in a Swell-shrink (Typic Haplustert) Soil.

  • Manna, M.C.;Swarup, A.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75-381
    • /
    • 2000
  • Quantifying the changes of soil microbial biomass and activity of enzymes a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active soil C and N pools. The dynamics of soil microbial biomass C and N and the activity of enzymes over entire growth period of soybean-(Glycine max (L) Merr.)-wheat (Triticum aestivum L.) sequence on a Typic Haplustert as influenced by organic manure and inorganic fertilizer N were investigated in a field experiment. The application of farmyard manure at 4 to 16 $Mg{\cdot}ha^{-1}\;y^{-1}r^{-1}$ along with fertilizer nitrogen at 50 or 180 $kg{\cdot}ha^{-1}$ increased the mean soil microbial biomass from 1.12 to 2.05 fold over unmanured soils under soybean-wheat system. Irrespective of organic and chemical fertilizer N application, the soil microbial biomass was maximum during the first two months at active growing stage of the crops and subsequently declined with crop maturity. The mean annual microbi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t 8 $Mg{\cdot}ha^{-1}$ and 50/180 N $kg{\cdot}ha^{-1}$, respectively were applied. The C turnover rate decreased by 47 to 72 % when the level of farmyard manure was increased from 4 to 8 and 16 $Mg{\cdot}ha^{-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iomass C, available N, dehydrogenase, phosphatase and yield of the crops.

  • PDF

굴패화석 비료 시용이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yster Shell Meal on Improving Soil Microbiological Activity)

  • 이주영;이창훈;하병연;김석철;이도경;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81-286
    • /
    • 2005
  • 굴패각으로부터 제조된 굴패화석 비료 시용이 토양의 미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토양 내 microbial biomass 함량과 주요 토양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굴패화석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 내 microbial biomass C, N, P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양분의 가급화와 관련 있는 주요 토양효소의 활성이 크게 증진되었다. 본 연구조건에서 굴패화석 시용에 따른 산성토양의 pH 개선은 microbial biomass P 함량 증진과 urease, ${\beta}$-glucosidase, alkaline phosphomonesterase의 활성증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microbial biomass P와 phosphomonoesterase 활성증진은 유효인산 함량증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약산성의 공시토양에 알카리성 제재인 굴패화석 시용은 토양생물과 효소 활성을 증대함으로써 작물생육에 필요한 양분공급 및 가용율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토양 내 질소 증가가 미생물 활성 및 식물체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Nitrogen Addition on Microbial Activities and Litter Decomposition)

  • 채희명;이상훈;차상섭;심재국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76-288
    • /
    • 2013
  • 본 연구는 질소 시비에 의해 증가된 토양 질소가 식물의 성장 및 식물체의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한 분해에서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야외성장실험과 분해실험을 진행하였다. 온실에서 질소 시비구와 비시구 토양에 각각 벼를 재배하였으며 식물이 성숙한 뒤 수확하여 C, N, lignin, cellulose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구와 질소 처리구 토양에서 재배된 식물의 개체 당 평균 건중량은 각각 0.70 g, 1.32 g로 질소 시비에 의해 1.9배 증가하였다. 식물체의 N 및 C 함량은 질소 시비에 의해 증가하였고 lignin, C/N, lignin/N, cellulose/N은 감소하였다. 이후, 수확된 식물의 지상부는 microcosm 분해실험에 이용되었으며, 분해 식물체에서 건중량의 변화, microbial biomass C와 microbial biomass N, 그리고 dehydrogenase와 urease 활성을 측정하고, 분해과정 중 발생하는 $CO_2$의 양을 정량하였다. 대조구 토양에서 분해시킨 대조구 식물체와 질소 처리구 식물체, 그리고 질소를 처리한 토양에서 분해시킨 질소 처리구 식물체의 잔존량은 각각 초기 건중량의 53.0%, 47.1%, 53.6%를 나타내었다. 질소 시비는 식물체에서 N 함량을 높이고 C/N 및 lignin/N을 낮추어 식물체의 분해를 촉진하였으나, 분해 과정에서의 토양 질소처리는 분해를 억제하였다. 질소 시비에 의해 토양에서 microbial biomass C와 dehydrogenase 활성은 감소하였고, 반면에 microbial biomass N과 urease 활성은 증가하였다. 분해 중 발생한 $CO_2$의 양은 30일 이후부터 질소 시비에 의해 감소하였다. 분해 식물체에서 측정된 microbial biomass C는 질소 처리에 의해 초기에 증가하였으나 이후 저해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microbial biomass N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소 시비에 의해 분해 식물체에서 dehydrogenase 활성은 저해되었으며 urease는 분해 초기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분해 후기에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다. 본 실험에서 질소 시비는 식물의 성장을 증가시키고 식물체의 N 함량을 높여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일으키며 분해율을 증가시키나 분해 단계에서 질소의 시비는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시켜 분해를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삼림토양의 미생물군집과 아밀라아제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crobial Population and the Amylase Activity of the Forest Soil)

  • Lee, Hee-Sun;Shim, Jae-Ku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71-183
    • /
    • 1994
  • Soil condition, total number of bacteria, soil amyl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O_2-C)$ were measured at soil of different forest types. And the difference of the allelopathic effect was determined between fresh leaf extract of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to the bacteria isolated from soil of different forest types. 1. Total number of bacteria in Carpinus laxiflora forest soil was 4~7 times larger than that in pinus desiflora forest soil. 2. Soil amylase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number of soil bacteria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The amylase activity at F layer was 4~5 times larger than that at H layer, and that at H layer was 2~4 times larger than that at A layer. 3. Seasonal changes of microbial biomass showed a peak in summer,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icrobial biomass decreased with increasing soil depth. The microbial biomass in Pinus densiflora forest soil was larger than that in Quercus serrata forest soil. 4. Fresh leaf extract of Pinus rigida and Quercus acutissima showed an acceleration or inhibition effect on the growth of soil bacteria, and that of !. acutissima inhibited larger number of soil bacterial strains than that of P. rigida. 4.2% and 25% of soil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soil of P. rigida and Q. acutissima forests were inhibited by fresh leaf extract of P. rigida and Q. acutissima, respectively.

  • PDF

Impact of Slash and Burning on Microbial Biomass in Semi-Evergreen Tropical Deciduous Forest of Manipur, North-East India

  • Yadava, P.S.;Devi, A.Sarjubala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4호
    • /
    • pp.225-230
    • /
    • 2004
  • The impact of slash and burning on microbial biomass C, N and P in soils of semi-evergreen tropical deciduous forest were studied from February 1999 to January 2000. The experimental sites were located near Moreh town in the Chandel district of Manipur state (India) along the Indo-Myanmar border between 23° 49' N-24°28'N latitude and 93°45'E-94°16'E longitude. Microbial biomass C ranged from 319.50 ㎍ g/sup -1/ 905.50㎍ g/sup -1/ in the slash and burnt site and from 209.50 ㎍ g/sup -1/ to 708.80 ㎍ g/sup -1/ soil in the forest site. Microbial N ranged from 19.30 ㎍ g/sup -1/ to 99.45 ㎍ g/sup -1/ in the slash and burnt site and from 16.08㎍ g/sup -1/ to 88.90 ㎍ g/sup -1/ in the forest site. Microbial P varied from 10.90 ㎍ g/sup -1/ to 32.21 ㎍ g/sup -1/ in the slash and burnt site and from 2.50 ㎍ g/sup -1/ to 17.60 ㎍ g/sup -1/ in the forest site in different months throughout the year. Microbial biomass C, N and P were recorded to be higher in the slash and burnt site compared to the forest site The conversion of forest into slash and burnt site for agriculture - the traditional shilling cultivation practiced by tribal people in the north- eastern India leads to addition of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in the soil thereby exhibiting higher values of microbial biomass C, N and P in the recent slash and burnt site than that of the forest sit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moisture, soil organic C and microbial biomass C, N and P were found to be correlated significantly in both the sites.

Influence of Soil Microbial Biomass on Growth and Biocontrol Efficac of Trichoderma harzianum

  • Bae, Yeoung-Seuk;Guy R. Kundsen;Louise-Marie C. Dandurand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30-35
    • /
    • 2002
  • The hyphal growth and biocontrol efficacy of Trichodemo harzianum in soil may depend on its interactions with biotic components of the soil environment. The effect of soil microbial biomass on growth and biocontrol efficacy of T. hanianum isolate ThzIDl-M3 (green fluorescent protein transformant) was investigated using artificially prepared different levels of soil microbial biomass (153,328, or 517ug biomass carbon per g of dry soil; BC). The hyphal growth of T. harzanum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soil with 328 or 517 $\mu$g BC compared with 153 ug BC. When ThzIDl-M3 was added to the soils as an alginate pellet formulation, the recoverable population of ThzIDl-M3 varied, but the highest population occurred in 517ug BC. Addition of alginate pellets of ThzIDl-M3 to the soils (10 per 50 g) resulted in increased indigenous microbial populations (total fungi, bacterial fluorescent Pseudomonas app., and actinomycetes). Furthermore, colonizing ability of ThzIDl-M3 on sclerotia of Sclerotinia sclerotiorum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oil with high revel of BC.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d soil microbial biomass contributes to increased interactions between introduced T. harzianum and soil microorganisms, consequently reducing the biocontrol efficacy of 1T. harzianum.

유기물원 항온배양 온도가 토양미생물체량과 효소활성 및 PLFA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Soil Microbial Biomass, Enzyme Activities, and PLFA content during Incubation Period of Soil Treated with Organic Materials)

  • 좌재호;문두경;전승종;김천환;최경산;현해남;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00-512
    • /
    • 2009
  • 유기물원을 항온 배양했을 때 온도가 토양미생물체량과 효소활성 및 PLFA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토양 특성별로 평가하고자 입상과 분상 혼합유기질비료, 돈분퇴비, 음식물퇴비를 화산회토양과 비화산회토양 30g에 2g을 잘 혼합 후 10, 20, $30^{\circ}C$에서 항온배양을 하면서 pH, 토양질소, 유기물 함량, Microbial biomass C와 N, 토양효소활성, 인지질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돈분과 음식물퇴비는 토양종류와 온도에 상관없이 토양 pH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입상유기질비료는 온도가 높을수록 낮아졌으며, 비화산회토양에서 변화폭이 컸다. 미생물체량 C는 화산회토양의 경우 배양 온도가 높고 유기질비료를 처리할 때 높아지는 경향이었지만 토양종류에 상관없이 점차 감소하였다. 미생물체량 N은 비화산회토양에서 유기질비료, 화산회토양에서는 돈분과 음식물퇴비를 처리할 때 높게 나타났다. 인지질 지방산함량은 항온배양 75일후 비화 산회토양이 화산회토양보다 높았고, 270일후 화산회토양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Urease활성은 150일에 비화산회토양의 입상유기질비료처리에서 $10^{\circ}C$(75.0)>$20^{\circ}C$(16.3)>$30^{\circ}C$($4.6ug\;NH{_4-}N\;g^{-1}\;2h^{-1}$)순으로 $10^{\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온도가 높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으며 화산회토양의 Urease활성은 $10^{\circ}C$에서 높게 나타났다. ${\beta}-glucosidase$ 활성은 비화산회토양이 화산회토양보다 높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다. 토양미생물체량 C와 미생물활성지표간의 상관계수는 비화산회토양에서 PLFA ($r^2=0.91$), 화산회토양에서 ${\beta}-glucosidase$ ($r^2=0.83$)가 높았으며, 미생물활성지표는 토양종류와 온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전북지역 과수원의 토양특성이 미생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Microbial Distribution to Soil Properties of Orchard Fields in Jeonbuk Area)

  • 안병구;김효진;한성수;이영한;이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96-701
    • /
    • 2011
  • 전북지역 과수원 토양 110개소를 대상으로 토양특성이 미생물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양 중 미사함량이 많아질수록 호기성세균, 곰팡이, 미생물 biomass C 함량은 증가하였고, 탈수소효소 활성은 토성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지형에 따른 미생물분포, 미생물의 biomass C 함량, 탈수소효소 활성은 차이가 없었고, 과수종류에 따라 coliform group은 배와 포도 재배지에서 각각 $133.0{\times}10^3\;CFU\;g^{-1}$, $107.4{\times}10^3\;CFU\;g^{-1}$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과수재배기간이 길어질수록 미생물 밀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pH, 유기물, 치환성 Mg 함량은 모든 미생물분포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Bacillus sp.는 조사한 모든 화학성분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토양미생물의 biomass C 함량과 탈수소효소 활성은 유기물과 치환성 Ca 함량에 대해 고도의 유의성 (p<0.01)을 보였다.

돈분퇴비의 시용이 토양의 미생물체량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ed Pig Manure Application on Enzyme Activities and Microbial Biomass of Soil under Chinese Cabbage Cultivation)

  • 원항연;권장식;신용광;김승환;서장선;최우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9-115
    • /
    • 2004
  • 가축분 퇴비가 토양의 생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농업과학기술원 시험포장에 시용량 ($8Mg\;ha^{-1}$, CM-8구: $29Mg\;ha^{-1}$, CM-29구: $57Mg\;ha^{-1}$, CM-57구)을 달리하여 돈분퇴비를 시비하고 봄배추를 재배하면서 생육시기별로 토양을 채취하여 biomass, 효소활성도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효소 활성은 NPK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으나 퇴비구에서는 증가하여 CM-57구에서 protease, Phosphomonoesterase 그리고 dehydrogenase의 활성이 각각 2.3, 1.6 및 2.4배 증가하였다. Protease와 phosphomonoesterase의 경우 재배기간중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중기에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Biomass는 퇴비의 시용랑에 따라 증가하여 biomass C의 함량은 CM-57구에서 $466mg\;kg^{-1}$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4.3배, biomass N과 P는 각각 3.4배, 2.8배 증가하였다. 한편 NPK구에서는 biomass C와 N은 증가하였으나 biomass P는 낮았다. 퇴비구에 있어서 biomass N과 P는 배추의 생육중기에 최고치에 달하였으나 biomass C의 함량은 생육초기에 증가하여 수확기까지도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평균 biomass C:N:P 비율은 11:2:1이었으며, 토양의 유기 탄소 및 질소함량에 대한 biomass C와 N의 비율은 각각 1.1 및 3.6%이었다. 재배토양의 protease와 dehydrogenase는 biomass C 및 P와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제주지역 농경지 이용유형별 토양 탈수소효소활성과 미생물체량 (Soil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in Croplands of JeJu Province)

  • 좌재호;문경환;최경산;김성철;고상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2-128
    • /
    • 2013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농경지 이용유형과 토양특성별 미생물체량과 탈수소효소활성을 평가 하고자 수행하였다. 제주지역 밭(50), 과수원(50), 논(30), 시설재배(30) 토양을 3월에 채취 후 토양화학성과 탈수소효소활성, 미생물체량을 분석하였다. 밭 토양의 평균 pH는 6.3이었고 과수원, 시설재배지 토양은 조사지점간에 화학성분 함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돈분퇴비를 시용하는 감귤재배농가의 토양 내 아연과 구리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탈수소효소활성과 미생물체량은 농경지 이용유형에 상관없이 비화산회 토양이 화산회토양보다 높았다. 탈수소효소활성은 밭 토양이 과수원, 논, 시설재배지 토양보다 2-4배 이상 높았고 비화산회토의 밭토양은 38.7 ug TPF $24^{h-1}g^{-1}$를 나타냈다. 미생물체량은 시설재배지 토양이 가장 많았으며 시설재배지 비화산회토양은 216.8 $mg\;kg^{-1}$였다. 시설재배지의 비화산회토양은 탈수소효소활성과 토양유기물($R^2$=0.59), 아연($R^2$=0.65), 구리($R^2$=0.66)의 함량간에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화산회토의 밭토양은 유기물함량과 탈수소효소 활성간에 높은 부의상관관계($R^2$=0.57)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