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tissue sarcoma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5초

연부 조직 육종의 생존 및 예후 인자 분석 (Analysis of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in Soft Tissue Sarcomas)

  • 김한수;성상철;최인호;정진엽;조태준;김상림;정진영;한일규;이한구;이상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08-21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dependent clinicopathologic prognostic factors of soft tissue sarcoma affecting local recurrence, metastasis and survival. Retrospectively collected data from 130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 were analyzed. Patient, tumor and pathologic factors were analyz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methods for the endpoints of local recurrence, metastasis and survival. In univariate analysis, wide surgical margin, adjuvant radiotherapy and age younger than 40 years reduced local recurrence. Tumor size larger than 5cm was related with a higher rate of metastasis. Patients with metastasis at initial presentation and with a large tumor size had a low survival rate. In multivariate analysis, adjuvant radiotherapy and young ag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low local recurrence rate. In conclusion, patients with metastasis at initial presentation and a large tumor size had a reduced survival rate. Independent adverse prognostic factors for local recurrence were old age and not undergoing adjuvant therapy.

  • PDF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과 환자-대조군 분석 (Outcome of Extraskeletal Osteosarcoma; Case-control Study with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 조완형;이수용;송원석;공창배;원호현;홍윤석;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0
    • /
    • 2009
  • 목적: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종양으로 연부조직육종에 비해 어느 정도의 치료 성적을 보이는 지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두 악성 연부 육종의 치료결과를 비교 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12례의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 환자와 짝짓기 환자-대조군 분석을 위해 악성도 3등급의 연부조직 육종 중 골외성 골육종 환자와 유사한 위치, 크기, 나이를 가진 환자 6배수를 선별하였다. 결과: 골외성 골육종 환자 나이는 35~77세 (중간값 50세)였다. 위치는 상지 5례, 둔부 4례, 하지 3례 였다. 5년 생존율은 52% 였다. 대조군인 연부조직육종의 5년 생존율은 55%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 국소재발율은 골외성 골육종이 58%, 연부조직육종이 36%이었으며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 전이율은 각각 67%, 51%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 결론: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연부조직종양과 비슷한 전이 및 국소재발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 포함된 골외성 골육종의 증례가 적으므로 다기관 연구를 통해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ynovial Sarcoma of the Posterior Neck :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Jang, Jae-Won;Lee, Jung-Kil;Seo, Bo-Ra;Kim, Soo-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4호
    • /
    • pp.306-309
    • /
    • 2010
  •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synovial sarcoma in the posterior neck, which involved adjacent bony structures. Synovial sarcoma is rare, malignant soft tissue tumor that occur predominantly in the lower extremities. Wide surgical excision with involved tissue is the treatment of first choice, because most synovial sarcomas reveal aggressive features. We removed the tumor with involved bony structures and patient was give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Despite these treatment options, the patient died 1 year after surgery.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전, 후경부에 동시 발생한 호분화성 지방육종 1예 (A Case of Well-Differentiated Liposarcoma on the Anterior and Posterior Neck)

  • 사대진;김윤정;백훈희;김승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34
    • /
    • 2014
  • Liposarcoma is a malignant tumor originated from adipose tissue, accounting for 20% of all soft tissue sarcomas. A 69-year-old man with anterior and posterior neck mass visited to our department and we performed an excisional biopsy in level I.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liposarcoma, so we performed wide excision in anterior and posterior neck, and adjuvant radiotherapy. We report a unique case of well-differentiated liposarcoma on anterior and posterior neck with literature review. To our best knowledge, such case has not been reported earlier in Korea previously.

불완전 절제된 무지구근 활막육종에서 광범위 절제술후 비골 이식술과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 이식술 - 증례 보고 - (Reconstruction with Non-vascularized Fibular Graft and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fter Wide Resection for Unplanned Intralesional Resection of Synovial Sarcoma of the Thenar Muscle - A Case Report -)

  • 최병완;김정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4-129
    • /
    • 2007
  • 활막 육종은 수부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며 광범위 절제술을 요한다. 수부의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할 때는 충분한 절제연을 얻어야 하지만 기능적인 면을 고려한 재건술이 요구된다. 저자들은 타병원에서 불완전 병소내 절제술후 전원된, 46세 남자의 우측 수지 무지구근 부위 활막육종에 대해 대능형골 및 제1 중수지골을 포함한 광범위 절제술 후, 비골 이식술과 전외측 대퇴 피판 이식술을 시행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은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소아의 흉벽에서 진단된 평활근육종 1례 (Primary leiomyosarcoma of the chest wall in a child : a case report)

  • 최재혁;정찬욱;이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98-101
    • /
    • 2008
  • 평활근육종은 중간엽세포 기원의 평활근 분화를 보이는 연부조직육종으로 소아에서는 전체 연부조직육종의 2% 이하의 발생률을 보이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특히 흉벽의 평활근육종은 더욱 드물다. 저자들은 우연히 발견된 흉벽 종양을 방사선학적 검사로 골연골종으로 추측하여 완전절제술을 실시하였고, 조직검사 결과 저등급 평활근육종으로 진단된 1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연부조직육종 환자에서 $O^6$-MGMT 와 촉진자 과메틸화의 예후적 중요성 (Prognostic Significance of $O^6$-MGMT and Promotor Hypermethylation in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s)

  • 서정탁;김정일;오종석;최경운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25
    • /
    • 2009
  • 서론: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는 DNA 염기 손상에 의해 형성된 $O^6$-methylguanine에서 알킬기를 제거하여 DNA 염기 손상을 복구하는 역할을 한다. MGMT의 후생유전적 불활성화가 인체 종양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항암 치료에 대한 저항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부조직육종에서 이러한 MGMT 불활성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총 62예의 연부조직육종조직에서 메틸화 특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MGMT 유전자의 촉진자 부위 메틸화 정도를 알아보고,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MGMT 단백 발현의 소실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MGMT 단백 발현 소실은 진행성 병기(p=0.000), 조직학적 고등급(p=0.005), 종양의 재발 또는 전이(p=0.011), 그리고, 낮은 생존률(p=0.017)과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메틸화는 조직학적 고등급, 종양의 재발 또는 전이, 그리고, 낮은 생존률과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MGMT 단백 발현의 소실은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00). 결론: 본 연구는 MGMT 단백 발현의 소실과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가 연부조직 육종에서 흔히 발생하며 종양의 공격적인 양상 및 나쁜 예후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MGMT 단백 발현의 소실은 대개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로 인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연부조직 육종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예후인자 (Immunohistochemical Prognostic Factors in Soft Tissue Sarcoma)

  • 최경운;김정일;문남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6-118
    • /
    • 2008
  • 목적: 세포주기의 조절곤란은 종양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 몇가지 알려진 연부조직 육종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예후인자 들이 있지만 상반된 연구도 있고 G1/S phase관계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저자는 연부조직 육종의 재발 및 전이와 관계된 G1/S phase 세포조절주기 단백의 면역화학적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연부조직 육종으로 진단된 환자 중 최소한 1년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고 파라핀 블록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43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지방육종 15예, 악성 섬유성조직구증 13예, 횡문근육종 5예, 활막육종 5예, 평활근육종 3예, 섬유육종이 2예였다. 모든 환자의 조직은 전 절제술로 제거된 조직을 대상으로 Cyclin D1, Cyclin E, CDK4, CDK, p16, p27, Rb, E2F-1, p53, Ki-67 등의 면역 조직화학적 발현을 조직 microarr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환자의 국소 재발 및 전이에 따른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은 8예(19%)에서 일어났으며 이것은 Cyclin E(p=0.024), E2F-1(p=0.046)의 발현과 연관이 있었다. 전이는 16예(37%)에서 일어났으며 CDK4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p=0.031). 결론: Cyclin E와 E2F-1이 연부조직 육종의 국소 재발과 관련있는 예후를 제공해주었고, CDK4가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예후를 제공해주었다. 따라서 조직 검사시 이들 표식자들의 적절한 사용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의 범위를 결정 짖는데 중요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연부 육종의 예후 인자 - 205례 분석 - (Prognostic Factors of Soft Tissue Sarcomas - analysis of 205 cases -)

  • 이종석;전대근;이수용;김석준;정동환;박현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7
    • /
    • 1997
  • Twenty hundred and five out of 266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from Mar. 1985 to Jan. 1994, were analyzed in the aspect of survival and local recurrence. Fifty one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inadequate data and follow up.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One hundred and four cases were male, 101 female. Average age was 39.7(range 1 to 77) year with a peak incidence around 4th decade. The most frequent diagnosis was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24.1%). Liposarcoma, synovial sarcoma, rhabdomyosarcoma,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and fibrosarcoma were relatively common diagnostic entities, in decreasing order. In location, extremity was 179(87.3%) and trunk 26(12.7%).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7.5 years(6 months to 10 years). Actuarial 5 years and 10 years survival rate were 64.0% and 40.8% respectively. In univariate analysis with log-lank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rate were noted in histopathological diagnosis, size(10 cm), stage and metastasis. Age, sex, tumor location, tumor depth and local recurrence didn't affect the survival rate. Adjuvant chemotherapy and/or radiotherapy did not affect overall survival rate, but lowered the local recurrence rate when compared with surgery only. Surgical margin did not affect the survival rate, but local recurrence rate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margin; 5.7% in more than wide; 39.5% in marginal; and 60.0% in intralesional excision. In multivariate analysis for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with Cox's propotional model, metastasis was a meaningful factor for survival of soft tissue sarcoma.

  • PDF

Long-Term Treatment Results in Soft Tissue Sarcomas of the Thoracic Wall Treated with Pre-or-Postoperative Radiotherapy -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Oksuz, Didem Colpan;Ozdemir, Sevim;Kaydihan, Nuri;Dervisoglu, Sergulen;Hiz, Murat;Tuzun, Hasan;Mandel, Nil Molinas;Koca, Sedat;Dincbas, Fazilet On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949-9953
    • /
    • 2014
  • Objective: To evaluate the long term results among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 of the thoracic wall.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pre-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between December 1980-December 2007, with a dia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of the thoracic wall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The median age was 44 years (14-85 years) and 15 of them were male. A total of 50% of patients were grade 3. The most common histologic type of tumor was 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 (26.9%). Tumor size varied between 2-25 cm (median 6.5 cm). Seventeen of the cases had marginal and 9 had wide local resection. Four cases received preoperative radiotherapy and 22 postoperative radiotherapy. Six of the patients with large and high grade tumors received chemotherapy. Median follow-up time was 82 months (9-309 months).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was detected in 34.6% and 42.3% of patients, respectively. Five-year local control (LC), disease-free survival (DFS),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DSS) were 62%, 38%, 69%, and 76% respectively. On univariate analysis, the patients with positive surgical margins had a markedly lower 5-year LC rate than patients with negative surgical margi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43% vs 78%, p=0.1). Five-year DFS (66% vs 17%) and DSS (92% vs 60%) rates were significantly worse for the patients who had high grade tumors (p=0.01, p=0.008 respectively). Conclusions: Tumor grade and surgical margin are essential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prognosis of thoracic wall soft tissue sarcoma both in our series and the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