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o-economic Variables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3초

프로야구 관람객의 소비지출 결정요인 분석 (Analyses of Spectators' Expenditure Determinants in a Professional Baseball Team)

  • 조우정;최의열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1호
    • /
    • pp.457-467
    • /
    • 2016
  • 이 연구는 프로야구 관람객의 소비지출 결정요인을 분석해 프로야구단의 수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C시에 연고지를 두고 있는 N구단의 프로야구 관람객 3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야구 관람객의 소비지출 결정요인으로는 인구통계적 요인, 소비형태 요인 및 사회심리적 효과요인이 포함되었으며 종속변수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평균 FCI를 토대로 3만원 미만 및 3만원 이상 등 이분형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유효 설문지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프로야구 관람객의 인구통계적 요인 중 소득수준 및 주거지 요인만이 유의한 소비지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소득 요인에서는 200만원 미만의 소득 수준 집단이 400만원 이상의 집단보다 .38배 정도 3만원 이상 소비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주거지에서는 마산과 창원 거주자가 진해 거주자보다 3만원 이상 소비할 가능성이 각각 3.49배 그리고 3.0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야구 관람객의 소비형태 요인 중 동반자 요인만이 유의한 소비지출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혼자 관람하는 집단이 친구와 함께 관람하는 집단에 비해 .36배 정도 3만원 이상 소비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야구 관람객이 인지하는 프로야구팀의 사회심리적 효과 요인은 유의한 소비지출 결정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로야구 관람객이 인지하는 사회심리적 효과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관람객이 3만원 이상 지출할 가능성은 1.37배 만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 행위 선택에 대한 패널 로짓 분석: 2006~2015년 한국 복지 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A Panel Logit Analysis Research on the Choice of Donate Behavior: Using 2006~2015 Data of Korea Welfare Panel)

  • 황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8-26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기부 행위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복지 패널의 10년 분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 로짓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분석은 가구 수 기준 134,500개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변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기부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223$, p<.05). 그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정기적으로 기부나 자원봉사를 하는 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09$, p<.001). 둘째, 근로형태에서, 임금근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영업자나 비경제활동인구에 비해 기부행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578$, p<.001). 셋째, 자아존중감(${\beta}=1.673$, p<.001)과 삶의 만족도(${\beta}=1.01$, p<.001)는 기부 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학력(${\beta}=.211$, p<.001)이 기부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학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변수들의 정밀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가 2차 자료를 활용하면서, 다루고자 하는 변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들을 대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충분히 고민하고 검토해야 할 것이다.

임부의 공포와 개인 및 환경변인의 상오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Fear During Pregnancy and Pers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n Pregnant Women)

  • 정송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1-143
    • /
    • 1974
  • Antenatal care is zoomed toward3 assisting the Individual to achieve safe and wholesome state of health during pregnancy. Nature of fear is assumed to be rooted to complex interaction between past experiences, human relationship and present state of health, however.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fear and the variables have not yet been ascertained.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fear of pregnanc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fear and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past experiences. and psycho-social factors.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3 to November 5, 215 pregnant and 104 non-pregnant women of similar chronological are group residing in Seoul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check-list by random General anxiety test, general personality test and test for fear of pregnancy, family according to specific variables such as past experience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structure of family, family relationship and month of pregnancy was done to the group of pregnant women. To non-pregnant group, general anxiety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with pregnant group.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is 1; Degree of general anxiety will be higher e pregnant women compared to that of non-pregnant wome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anxiety of pregnant women and that of non-pregnant women. Therefore, hypothesis I is rejected. 2. Hypothesis 2: Fear of pregnancy and general anxiety will be correlated with personality factors. Through test for fear of pregnancy and general anxiety, a meager contra-correlation between fear and only two personal factors (R and E factor) is revealed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ear and other personal factors (A.S. and T factor). Degree of fear of pregnancy tends to b: higher in the group with low personality factors; responsibility and emotional stability expect the correlation between ascendancy, sociability, and confidence-inferiority. non-significant. Through general anxiety test, level of general anxiety tends to be higher in the group. with low personality factors; responsibility. emotional stability, and confidence except ascendency and sociability, non-significant. Hypothesis 2 is partially supported. 3. Hypothesis 3; General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will be correlated with the past experience-ol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Though general anxiety test and test for fear of pregnancy, non-significant difference is revealed by P〉.05 level Hypothesis 3 is rejected. 4. Hypothesis 4: General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will be correlated with the month at pregnancy will be correlated with the month of pregnancy. Through tests of general anxiety and fear, significant correlation is revealed degree of fear by-P〈.05 level (CR=1.98) and level of general anxiety by P〈.005 level (CR=3. 11) is higher in the earlier stage of pregnancy. Hypothesis 4 is supported. 5. Hypothesis 5, 6, 7; General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will be correlated with socio-economic status, family structure, and family relationship. Through general anxiety test and tear of pregnancy test, non-significant is revealed by P〉.05 level. Hypothesis 3.6.7 are rejected.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Level of general: anxiety and degree of fear of pregnancy is shown not to be correlated with variables of past experiencer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family factors except the month of - pregnancy.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shown to be partially contra-correlated meagerly with genera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This study revealed contrasted results, in regard to presence of correlation between general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to other thesis. In this context. further studie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 is recommended.

  • PDF

학생(學生)의 건강행위(健康行爲), 신념(信念), 가치(價値) 및 보건의료(保建醫療) 이용(利用)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 -가족(家族)의 형태(形態) 및 제특성(諸特性)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to the Student's Health Behavior, Belief, Value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With Emphasis on Family Structure and Other Variables-)

  • 정연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44
    • /
    • 1993
  • An explorative and descriptive study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family structure and other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health behavior, belief, locus, and value and utilization of public health service was carried out. Data were collected from 1,653 subjects randomly sampled in three areas, Seoul, Kyunggi province, and Cheju province. From Seoul 849 subjects were selected, 397 subjects Kyunggi, and 407 subjects from Cheju, respectively. Self-reporting questionaires were administer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June, 1992.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visited herb-doctor's at irregular intervals mainly to have tonic medicine prepared. They preferred herb-doctor's rather than with doctors at clinics and hospital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regions studied (p<0.05). 2) The reason for visiting hospitals was primarily for treatment of diseases. They preferred hospital because they felt that the hospitals offer much highly reliable treatment services as well as medical accessibility. For the purpose of hospital utiliz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among sex, educational level, family type and region. However, no significance was found among sex, educational level, and region (p<0.05). 3) The subjects utilized general hospitals mainl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They preferred general hospitals because of their much better facilities and reliability.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mong sex, educational level, and region (p<0.05). 4) The subjects visited dentist at irregular intervals basis. They visited once half a year or three to four months. their purpose of visit was mainl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Statistical significance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educational level, region and economic standard (p<0.05). 5) Whenever their illnesses were mild and the pharmacies was located in nearby they visited to pharmacies. They visited once a month and patient medicin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sex, educational level and region (p<0.05). 6) The subjects believed that herb medicine was quite efficacious for treatment of some diseases, particularly by information handed down through time-honored tradition and experience.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the efficacy of folk medicine can vary with type and severity of diseas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mong sex, educational level, region and economic standard (p<0.05). 7) The reason why subjects believed that pray and superstition are effective for treatment of certain type of diseases, particularly in neuropathy, was the belief in God's almight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sex, educational level, regions and economic standard (p<0.05). 8) Most of subjects under same condition preferred western medicine because they believed that it is more scientific and prompts in showing therapeutic effec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in the choice of type of public health service among, region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sex, educational level and region (p<0.05). 9) The subjects looked for pharmacy if they thought the symptom was mild. However, they visited hospitals for chronic disease and general hospitals for emergency treatment.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among educational level, region and economic standard (p<0.05). 10) Although most of students wanted to have a healthy life as for the component of health standard and value, they think that they are not healthy (p<0.05). As for the health behavior,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oportion of smoking and drinking between educational level and region (p<0.05). The health locus was affected by educational level, and health behavior was influenced by region, sex and educational level. The utilization of type of public health service was influenced by family type and region, and health belief by region and educational level, and the health values by region and economic standard respectively, most of correlatio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m, the highest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external/internal locus of control, which is quite obvious.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belief and behavior was the next highest, but still low (0.343). All the other variables are low but significant except only a few of thos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ealth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so as to develop desirable health habit, and ability of self-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ir growth stages. A systematic and scientific understanding on the herb/folk medicine is needed, and greater reliability of the utiliza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are is still required. Health policy for equal distribution of health service throughout the country along the hierarchical health service system and complementary mutual assistance and cooperation among various health organizations are also required.

  • PDF

노인구강보철환자에게 미치는 치과 의료서비스 요인 (Influence of dental services on satisfaction of old prosthetic patients)

  • 김순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30
    • /
    • 2007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dental health based on the dental service satisfaction factors of the old dental prosthesis patients of more than 60 years of age who use the dental institutes including dental hospital, clinic, and public health center and to identify the interest in the dental prosthesis as changing paint. Across the countr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a question and answer type conducted by the trained dental hygienists or dentist's. Major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1. looking at variation of the variables of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the respondents, the group of female, age distribution of 60-65, average monthly income of 0.5-1 million Won, and schooling background of colle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prosthesis treatment in terms of the purpose of isiting a dental institute, and the dental clinic in terms of the type of visiting dental institute showed a remarkably significant difference. 2. looking at variation of variables of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pondents, a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in terms of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dental staffs' service and dental facilities' service in terms of average monthly inco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entire conditions except for the dental facilities' service in terms of schooling and general featu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in terms of the purpose of visiting dental institute,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 visiting dental institute,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dental facilities,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result of treatment, word of mouth and revis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3. looking at variation of the variables of post-installation prosthesis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dentist's dental service, staffs' service, dental facilities' service and revisit in terms of the prosthesis type: and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word of mouth, revisit and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rious concer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and dentist's service in terms of the solving the economic burden: and the entire variables in terms of dissatisfaction elements showed a similar level of significant difference 4. in regard to the satisfaction of dental service and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of prosthesis patients,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dental prosthesis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ntist's service, staffs' service, and dental facilities' service. Finally, looking at the influence of the dental service on the treatment result, satisfaction, word of mouth, revisit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it was revealed that they had a great impact on the prosthesis satisfaction service.

  • PDF

이항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전기차 구매 영향요인 분석 (수원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for Influencing Factors in Purchasing Electric Vehicle using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Focused on Suwon City))

  • 김숙희;정가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887-894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시장은 전기차, 수소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의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내연기관 차량 대비 고가의 차량가격, 제한적인 주행거리 등의 단점은 친환경 차량 확대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차량인 전기차 구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구매의사 여부, 독립변수는 사회 경제적 변수와 전기차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립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계수가 높은 변수들을 제외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경제적변수인 차량보유대수, 성별, 나이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차량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변수, 전기차 정책 및 시승정보 제공 부족 변수는 전기차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전기차 보급과 관련된 정책 입안 시 전기차의 가격 결정과 찾아가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운영 등 충전 불편 해소 방안, 전기차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시승기회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지자체 전기차 보급 활성화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여객 효용의 극대화 및 운송특성공간상의 무차별곡선의 형태와 그 추정 (Utility Maximization, The Shapes of the Indifference Curve on the Characteristic Space and its Estimation: A Theoretical Approach)

  • 김종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7-168
    • /
    • 2009
  • 개인여객이 운송수단을 선택하여 얻는 효용은 시간, 비용 등의 운송특성과 소득 등 개인특성의 함수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운송특성이 여객효용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송특성변수에 대해 선형인 효용함수를 전제로 한 무작위 효용모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개인여객의 효용극대화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운송수단선택행위가 소비, 여가, 소득창출 등 보다 본원적인 활동으로부터 파생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다시 말해, 개인의 본원적 활동에 따른 효용극대화 관점에서 운송수단선택에 따른 효용이 진정으로 선형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결론은 첫째, 본원적 활동에 따른 효용이 소비와 여가만의 함수일 때 선형가정은 운송시간의 일부구간에서 진실이다. 둘째, 만일 효용이 노동활동이나 운송시간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을 경우 운송특성에 따른 효용의 선형성은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송특성에 따른 효용의 크기를 추정하기 위해선 선형이 아닌 보다 일반화된 함수에서의 근사가 요구된다.

노인의 주관적 기대여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별 개입요인 비교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Life Expectancy of The Elderly: A Comparison Three Age Groups)

  • 김연경;김태미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699-721
    • /
    • 2019
  • 주관적 기대여명(Subjective Life Expectancy)이란 자신의 수명에 대한 평가로, 주관적 인지평가에 그치지 않고, 건강한 삶을 위해 건강증진, 사회적 활동, 경제적 활동 등에서 실천적 행위를 하게 하는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연령집단별 노인의 주관적 기대여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일반적 요인과 개입요인으로 나누어 파악하여 비교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제 6차 고령화연구패널(KLoSA)을 이용하여 연령집단별로 연소노인(65세-74세) 2,106명, 중고령노인(75-84세) 1,803명, 초고령노인(85세 이상) 574명으로 총 4,483명이다. 일반적 요인은 통제변수로써 인구사회학적요인, 건강상태요인을, 개입요인은 독립변수로써 건강증진행위, 공적돌봄인지여부, 공식적 사회활동 참여, 일자리 및 소득보장 등에 해당하는 9가지의 변수를 설정하여 카이제곱검정, ANOVA, t-test,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와 기초연금은 모든 연령집단의 주관적 기대여명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 외의 변수들은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공식적 사회활동 참여, 일자리 및 소득보장요인은 연소노인과 중고령노인 집단에서 유의했고, 건강증진행위요인은 연소노인에서만 유의했다. 중고령노인은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개입요인보다 일반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치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령집단별 노인의 주관적 기대여명과 남은 노후를 잘 보내기 위한 실천적이고 개입 가능한 요인 탐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 대도시권 하루 시간대별 지하철 통행흐름 패턴과 토지이용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iurnal Patterns of Transit Ridership and Land Use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 이금숙;송예나;박종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4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도시권에서 도시 내 통행흐름의 시-공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서울대도시권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기록을 담고 있는 교통카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지하철 이용자의 하루 동안의 탑승자료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통행흐름의 유형과 토지이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각 지하철역별 아침, 낮, 저녁 시간대별 승하차 여객 수를 산출하고, 그의 공간적 분포를 GIS를 이용하여 시각화 하였다. 이러한 각 역의 시간대별 승객의 타고 내리는 승객흐름을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법을 이용하여 서울대도시권 지하철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353개 역들을 유형화 하였다. 이러한 승객 흐름의 유형별 군집에 따라 지하철 역 인접 지역의 토지이용을 나타내는 지역변수들과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교통계획은 물론 도시계획의 다양한 단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IADL)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와 농촌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s ADL/IADL: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Urban and Rural Areas)

  • 이상붕;허남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19-42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차별성과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패널 자료인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이며, 분석 대상은 도시 노인 400명(서울시 K구: 2017년 4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조사), 농촌 노인 524명(경기도 B면: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조사)이다. 연구방법은 기술 통계 분석, 교차 분석을 통한 카이제곱검정, 상관 분석, 로짓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DL/IADL의 '완전 자립'의 비율은 'ADL(도시) > ADL(농촌) > IADL(도시) > IADL(농촌)'의 모습을 보인다. 둘째,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이 도시 노인에 비교하여 낮은 ADL수준을 경험할 확률은 7.1배, 낮은 IADL 수준을 경험할 확률은 3.25배 높다. 마지막으로, 도시 노인의 ADL 수준에 영향을 통계적 유의미한 변수는 우울감이고, IADL 수준은 성별, 연령, 경제활동유무, 배우자 유무, 우울감이다. 농촌 노인의 ADL 수준은 연령과 경제활동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이며, IADL 수준은 성별, 연령, 경제활동유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