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Life Expectancy of The Elderly: A Comparison Three Age Groups

노인의 주관적 기대여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별 개입요인 비교

  • Kim, Yeon Gyeong (Dept.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Lif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allym University) ;
  • Kim, Clara Tammy (Institute of Life and Death Studies, Hallym University)
  • 김연경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교육융합학과) ;
  • 김태미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 Received : 2019.08.06
  • Accepted : 2019.10.10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life expectancy among the elderly, and to suggest health practice and social welfare service implications for later life. A total of 4,483 seniors from the 6th wave(2016)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the young-old (n=2,106, 65~74 years), middle-old (n=1,803, 75~84 years), and oldest-old (n=574, 85 years and older). Control variables were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health status facto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health promotion behavior, cognition of public care, participating social activity, economic activity, and receiving basic pen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the young-old. Social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y were associated with the young-old and middle-old. Receiving basic pens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ll age groups. In the middle-old, significant results were focused on socio-demographic and health status factors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elderly policy and welfare service and will help to find and improve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life of the elderly.

주관적 기대여명(Subjective Life Expectancy)이란 자신의 수명에 대한 평가로, 주관적 인지평가에 그치지 않고, 건강한 삶을 위해 건강증진, 사회적 활동, 경제적 활동 등에서 실천적 행위를 하게 하는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연령집단별 노인의 주관적 기대여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일반적 요인과 개입요인으로 나누어 파악하여 비교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제 6차 고령화연구패널(KLoSA)을 이용하여 연령집단별로 연소노인(65세-74세) 2,106명, 중고령노인(75-84세) 1,803명, 초고령노인(85세 이상) 574명으로 총 4,483명이다. 일반적 요인은 통제변수로써 인구사회학적요인, 건강상태요인을, 개입요인은 독립변수로써 건강증진행위, 공적돌봄인지여부, 공식적 사회활동 참여, 일자리 및 소득보장 등에 해당하는 9가지의 변수를 설정하여 카이제곱검정, ANOVA, t-test,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와 기초연금은 모든 연령집단의 주관적 기대여명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 외의 변수들은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공식적 사회활동 참여, 일자리 및 소득보장요인은 연소노인과 중고령노인 집단에서 유의했고, 건강증진행위요인은 연소노인에서만 유의했다. 중고령노인은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개입요인보다 일반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치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령집단별 노인의 주관적 기대여명과 남은 노후를 잘 보내기 위한 실천적이고 개입 가능한 요인 탐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2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2S1A6A3A01033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