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o-economic Depriv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Depression : Focusing on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is)

  • 손용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3227-3238
    • /
    • 2018
  • 본 연구는 중장년층 이상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우울과 사회경제적 박탈의 2개 요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2013년(8차 조사)부터 2017년(12차 조사)까지의 5년간 자료에서 만40세 이상 7,4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우울 수준은 연도가 지날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선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박탈요인의 초기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초기값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탈요인의 초기값이 클수록 우울의 변화량도 함께 증가되어 박탈의 초기수준이 우울증가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박탈요인의 변화량이 높을수록 우울의 변화량이 함께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박탈을 많이 경험할수록 우울 수준도 높아진다는 사실과 박탈의 변화수준 또한 우울의 변화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우울을 예측하는 요소로서 중장년기의 사회경제적 박탈은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지원과 관심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이다.

기관이용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관계적 공격성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s of Experiences of Elderly Us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their Relational Aggression Damage Experiences: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 정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67-282
    • /
    • 2018
  • 본 연구는 기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이 경험한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관계적 공격성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거부민감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이를 위하여 자료 수집으로 설문지 290부 중 응답이 불성실한 15부를 제외한 275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래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성노인, 연령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대졸이상이 집단이, 배우자가 없는 경우, 기관이용이 길수록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과 관계적 공격성 피해 경험, 그리고 거부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효과 크기(${\beta}=.14$)보다 간접효과 크기(${\beta}=.32$)로 나타나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관계적 공격성 피해 경험에 미치는 효과보다 거부민감성을 거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관 차원에서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피해 경험과 거부민감성과 사회경제적 박탈감을 낮출 수 있는 방안 프로그램 등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6가지 박탈 유형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lderly's Socio-economic Deprivation Experience on Suicidal Ideation)

  • 강동훈;김윤태
    • 한국노년학
    • /
    • 제38권2호
    • /
    • pp.271-290
    • /
    • 2018
  •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노인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9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평균차이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연금을 받지 못했던 경험, 근로능력이 있으나 실업 상태였던 경험, 경제적 어려움으로 균형 있는 식사를 할 수 없었던 경험, 먹을 것이 떨어졌는데도 더 살 돈이 없었던 경험 등의 순으로 박탈 빈도가 높았다. 둘째, 배우자가 없는 경우, 학력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자살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돈이 없어서 본인이나 가족이 병원에 갈수 없었던 경험, 2달 이상 집세가 밀렸거나 집세를 낼 수 없어 집을 옮긴 경험, 먹을 것을 살 돈이 없어 균형 있는 식사를 할 수 없었던 경험, 공과금을 기한 내 납부하지 못한 경험, 근로능력이 있으나 직업을 갖지 못한 경험,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먹을 것이 떨어졌는데도 더 살 돈이 없었던 경험 등이 노인의 자살 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은 의료급여 사례관리 확대, 노인 주거급여 및 정주 여건 개선, 노인 식생활실태 조사 강화, 노인 공과금 지원 방안 확대 등의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Determinants of Financial Inclusion in Underdeveloped Regions: A Case Study in India

  • KANDARI, Prashant;BAHUGUNA, Uma;SALGOTRA, Ajay Kuma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1045-1052
    • /
    • 2021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inclusion and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Ownership of bank accounts, availing of credit facility, and use of mobile banking were considered the major indicators of financial inclusion. To achieved this objectiv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the rural regions of three hill districts of Uttarakhand. 780 rural households were selected by using stratified and judgment sampling technique. To measur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ariabl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variables with financial inclusion. The overall analysis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likelihood of having bank account, usage of mobile banking facility, and availing credit facilit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financial literacy of an individual in hill rural regions of the state. Further, the study also indicates the vulnerability of women relative to that of men in both cases of mobile usage and availing credit.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o target the economically vulnerable section of population (as identified in case of having low financial inclusion) and enhancing the financial literacy in these regions.

농촌관광개발정책이 농촌지역사회에 미치는 공익적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Effect of Rural Tourism Development Project on the Rural Community)

  • 박미정;전정배;손호기;신민지;박로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5호
    • /
    • pp.57-68
    • /
    • 2019
  • Rural tourism has been identified as providing opportunities to revitalize the rural economies since early 2000s. During last decade in South Korea, government has enacted many policies aiming to establish tourism support programs as well as instigating activities between rural and nearby urban districts. In particular, the promotion of the rural tourism has been actively sought in various forms of products and services, such as green tourism village, village festival, one-company one-village campaign and etc. However, in order to prepare effective policies, it is very crucial to identify measureable evaluation criteria that can be used to assess socio-economic situations of the rural districts. Such criteria should be objective, timely and provide insights about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and relevant properties. They can also be used to evaluate if progress is being made after the policies are implemented. While considerable efforts and resources have been invested to aid the tourism programs in South Korea, we still lack such systematic means to quantify and evaluate its impact on rural districts. In this work, we have applied regional deprivation analysis on well-established community experiential and recreational business in rural villages throughout the country based on three criteria (i.e., population, local commerce, and buildings). Surprisingly, the result shows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munity experiential and recreational businesses did not bring any noticeable changes to at least one of the evaluation criteria. We concluded that the current government policies on re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at the village scale is insufficient for bringing meaningful socio-economic impacts to rural districts, with rare exceptions.

아이겐벡터 공간필터링을 이용한 도시주거범죄의 분석 (An Analysis of Urban Residential Crimes using Eigenvector Spatial Filtering)

  • 김영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9-194
    • /
    • 2009
  • 도시에서 범죄는 해당 지역 인구의 사회경제적 특징과 공간적 상호관계를 반영한다. 범죄의 피의자와 피해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범죄패턴의 공간적 자기상관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범죄의 공간자기상관은 일반적인 최소자승모델에서 편향된 추정치를 제공하여 잘못된 해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주거범죄로서 2000년에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발생한 주거 강도와 절도를 분석 하였다. 특히 주거 범죄율의 공간적 분포패턴은 공간자기상관을 반영하는 아이겐벡터(Eigenvector)를 이용하여 최소자승모델로 분석 하였다. 아이겐 벡터를 이용한 공간자기상관의 필터링은 기존의 모델에서는 잔차에 남아있던 공간자기상관 요소를 설명하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추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경제적 궁핍과 범죄의 기회가 주거범죄율을 추정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이었다.

  • PDF

The Impact of Microfinance on Households' Socioeconomic Performance: A Proposed Mediation Model

  • ABDULLAH, W Muhammad Zainuddin B Wan;ZAINUDIN, Wan Nur Rahini Aznie Bt;ISMAIL, Sarina Binti;HAAT, Mohd Hassan Che;ZIA-UL-HAQ, Hafiz Muhamma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821-832
    • /
    • 2021
  • Economic deprivation of households remains a significant economic issue in the world. Researchers have shown great concern in identifying crucial factors to enhance poor households' socio-economic performanc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new conceptual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microfinance services on households' socioeconomic performance using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of various crucial factors. Focus-group interviews with managements of the microfinance institution, i.e. Amanah Ikhtiar Malaysia (AIM), an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and a new framework for the future study has been developed. The result from focus-group interviews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ropose microfinance financial services, training programs, and business coaching as independent factors, whereas household socioeconomic performance as a dependent factor in the proposed model. Specifically, this study provides the direction to scholars to empirically tes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services and household socioeconomic performance and th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programs, business coaching, and household socioeconomic performance. Further, microfinance institutions' service efficiency is also included as a moderator that can strengthen microfinance services' effectiveness. The study also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financial institutions, households, micro-enterprises, and researchers to better understand microfinance interventions and household economic mechanisms.

포용적 생활 SOC 정책 추진을 위한 공원결핍지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Index of Park Derivation to Promote Inclusive Living SOC Policy)

  • 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40
    • /
    • 2019
  • 지역 및 인구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생활 SOC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용도시 정책에 대한 논의가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추진을 위한 대안적 지표로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제안하고, 이를 7대 광역시에 적용해 공원 정책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도시와 공원기능에 대한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개념을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폭염 미세먼지 등의 환경 재난 재해 취약계층 등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위가 낮은 지역 및 인구집단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양질의 공원서비스를 공급 관리하는 정책"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했다. 둘째, 공원서비스 수준, 인구구조 특성, 경제 및 교육 수준, 건강 수준, 환경적 취약성 등 5개 부문의 17개 변수를 종합하여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개발했다. 공원결핍지수를 구성하는 변수들은 체육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공공도서관 등 공원 외의 생활 SOC 정책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7대 광역시 1,148개 읍면동 지역에 공원결핍지수를 적용한 결과 광역시별 공원서비스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들이 도출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1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1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울산광역시 북구 농소3동이 지역별 공원 정책필요도 1순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지자체가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통계 및 지리정보 데이터에 기반해 포용적 도시 공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대안적 지표를 제안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청년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Youth using Random Forests)

  • 이성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9-17
    • /
    • 2023
  • 이 연구는 청년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청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21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2021년 기준 만 18세~34세 청년 2,04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청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탐색하기 위해 랜덤 포레스트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변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정서를 포함하는 요인으로 총 21개이다.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청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에 투입된 요인 21개의 예측변수는 모두 청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 삶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가치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적효능감', '기성세대인식'과 같이 청년들의 사회에 대한 인식도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설명하고 논의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