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etal Problem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사회문제 해결과 과학기술혁신' 연구의 현황과 과제 (A Review on the Studies of the Societal Challeng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송위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4호
    • /
    • pp.17-45
    • /
    • 2017
  • 이 글에서는 사회문제 해결과 과학기술혁신에 대한 국내 연구들을 리뷰한다.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은 산업혁신과 비교할 때 혁신의 목표, 추진 방식, 생태계가 다른 새로운 접근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문제 해결과 과학기술혁신을 논의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의 발전 방향을 다룬다.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혁신을 특정 분야에 한정된 논의가 아니라 혁신이론과 정책을 파악하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취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의 특성, 혁신 거버넌스, 혁신주체들의 역할과 생태계, 사회문제 해결형 정책과 다른 정책들간의 관계에 대한 주요 연구 이슈를 제시한다.

지속가능한 전환의 관점에서 본 출연(연)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의 현황과 과제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Societal Challenge-driven Innovation in GRIs and Sustainability Transition : Focus Group Interview)

  • 송위진;성지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7
    • /
    • 2019
  • 이 연구는 '사회적 도전과제 대응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하는 출연(연)으로의 전환'의 관점에서 출연(연)의 변화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출연(연)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을 전환실험으로 파악하여 그것의 진행과정을 살펴본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식을 활용해서 시스템 전환의 틀에서 출연(연)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에 대한 인식, 연구개발의 진행과정, 그 문제점과 대응방향을 검토했다. 인터뷰 결과를 요약하면, 현재 전환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전환실험이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기존 틀에서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다.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출연(연) 내부로부터 진행되는 전환실험과 비전 형성작업이 필요하다.

한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R&D programs for societal challenges)

  • 박인용;성지은;한규영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91-227
    • /
    • 2015
  • 기존 혁신정책의 대안이자 사회문제의 새로운 대응책으로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시도되고 있다. 사회문제는 문제가 발생하는 사회적 맥락, 특히 문제에 직면하는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사회문제와 사용자의 수요를 발굴하고, 개발 및 실증과정에서 연구자와 사용자의 협업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시민연구사업과 일본 사회기술연구개발센터 사업의 두 사례를 들어 각각의 배경, 기본 구성, 추진 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두 사례에서는 사회문제 해결 목표와 사용자 참여 방안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사업 성격과 추진 과정 측면에서는 일본 사례가 더 넓은 시각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에서는 기술개발 중심의 기존 연구개발체계가 그대로 유지되는 가운데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과의 정합성이 떨어진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공급중심 시각 탈피, 사용자 참여의 내실화, 법제도 사업화 등 기술 외적 부문의 발달을 위한 지원 수단을 마련하여 기존 연구개발체계에서 비롯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Blog Citations as Indicators of the Societal Impact of Research: Content Analysis of Social Sciences Blogs

  • Jamali, Hamid R.;Alimohammadi, Darius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15-32
    • /
    • 2015
  • This article analyzes motivations behind social sciences blog posts citing journal article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blog citations are good indicators for the societal impact or benefits of research. A random sample of 300 social sciences blog posts (out of 1,233 blog posts) from ResearchBlogging.org published between 01/01/2012 to 18/06/2014 were subjected to content analysis. The 300 blog posts had 472 references including 424 journal articles from 269 different journals. Sixty-one (22.68%) of all cited journals were from the social sciences and most of the journals with high frequency were highly cited general science journals such as PNAS and Science. Seventy-five percent of all journals were referenced only once. The average age of articles cited at the time of citation was 5.8 years. Discussion and criticism were the two main categories of motivations. Overall, the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blog citations as an altmetric measure and as a proxy for assessing the research impact. A considerable number of citation motivations in blogs such as disputing a belief, suggesting policies, providing a solution to a problem, reacting to media, criticism and the like seemed to support gaining societal benefits. Societal benefits are considered as helping stimulate new approaches to social issues, or informing public debate and policymaking. Lower self-citation (compared to some other altmetric measures such as tweets) and the fact that blogging involves generating content (i.e. an intellectual process) give them an advantage for altmetrics. However, limitations and contextual issues such as disciplinary differences and low uptake of altmetrics, in general, in scholarly communication should not be ignored when using blogs as a data source for altmetrics.

사회 안전망을 위한 위기관리시스템 설계 (Design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for Societal Security Network)

  • 김윤호;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79-884
    • /
    • 2012
  • 산업화가 고도화 되면서 인류는 자연재해는 물론이고 기술적 실수, 금융문제 등, 다양한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국제표준에 근거한 위기관리 시스템 설계는 조직이 예방, 대비 및 대응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기본 틀을 제공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안전망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위기관리 시스템 설계를 소개하였다. 먼저 ISO/TC223의 역할과 현재 진행 중인 표준화 이슈들을 정리하였고 잠재적 위험을 저감시키며 조직의 회복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위기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ETRI AI 실행전략 6: 산업·공공 AI 활용기술 연구개발 및 적용 (ETRI AI Strategy #6: Developing and Utilizing of AI Technology for Industries and Public Sector)

  • 김태완;연승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7호
    • /
    • pp.56-66
    • /
    • 2020
  • As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spreads to various industrial sectors, diversity in AI utilization rapidly increases, creating rich user experience. In addition, AI is required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through the use of public data. The spread of AI utilization across all sectors will continue, covering such industrial and public demands. This article examine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in AI utilization technologies and establishes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which is highly consistent with Korea's AI policy. ETRI, which leads AI's national R&D, has used its experience to establish AI R&D implementation strategies as well as technology roadmaps for the utilization of AI to improve individual quality of life, continuous growth in society, industrial innovation, and the solutions to public societal problems. In addition, it has derived task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developing AI utilization technologies in 10 major areas including medical services.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Transition Experiment and Socially-oriented R&D Program)

  • 송위진;성지은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4호
    • /
    • pp.89-116
    • /
    • 2014
  • 과학적 산업적 목표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사회적 목표를 내세우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등장하고 있다. 사회문제는 여러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난제인 경우가 많다. 한 번의 사업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장기적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대증적 접근이 아니라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전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시스템 전환의 관점에 서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방향을 다룬다. 이를 위해 '전환실험화'라는 개념을 토대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전환실험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전환 거버넌스 구축', '전환비전 형성과 전환실험 기획'을 연구개발사업의 전환실험화를 위한 핵심 과정으로 설정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살펴보았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보는 세 가지 관점 (Three Frames of Societal Challenge-driven Innovation)

  • 송위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33-267
    • /
    • 2018
  • 이 글에서는 최근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바라보는 관점들을 검토한다. 현재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에 대한 논의가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여러 관점들이 병존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을 다루는 전문가와 시민사회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과정에서 형성하는 관계에 따라 1) 전문가 중심 관점, 2) 시민 중심의 관점, 3) 전문가-시민의 협업 관점으로 나누어서 논의를 전개한다. 이 3개의 관점을 정리한 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정책의 발전방향을 논의한다.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을 혁신정책 전환을 위한 전략적 니치로 파악하고 향후 전개 방향을 1) 협업적 관점의 심화, 2) 시스템 전환론의 도입, 3)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론에 입각한 혁신정책의 재구성으로 제시한다.

국내 공동주택의 지하공간 방수설계 및 시방기준 (Domestic Below-Grade Waterproofing Design and Specification Standard for Residential Apartments)

  • 이정훈;최은규;송제영;김수연;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5-186
    • /
    • 2018
  • Leakage problems in underground spaces of domestic apartments is becoming more serious and legal disputes related to leakage problem have become more commonplace. In this regard, leakage problem is not only a problem in construction, but is also a concern from a societal aspec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tails of a below-grade waterproofing design and specification standards of specific areas and sections of residential apartment buildings, and propose that a detailed examination of positive-side waterproofing methods is required.

  • PDF

The Rise of Korean Innovation Policy for Social Problem-Solving: A Policy Niche for Transition?

  • Seong, Jieun;Song, Wichin;Lim, Hongtak
    • STI Policy Review
    • /
    • 제7권1호
    • /
    • pp.1-16
    • /
    • 2016
  • Technology supply has been the main thrust of the Korean government's science & technology polic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of new technology in line with the catching-up strategy of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new social or societal problems have become major government policy issues, heralding new innovation policy aimed to address them. Such new policy initiatives for social problem-solving present a niche where the existing system of government innovation policy process is challenged, including such processes as goal-setting, planning, implementation, project management, and evaluation. The rigidity of the existing institu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policy, however, still shapes the content and progression of innovation policy for social problem-solving. This study reviews Korean innovation policy for social problem-solving as a policy niche, and aims to clarify it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t uses a system transition framework to explain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the innovation policy niche in Korea. The main research question is to what extent and in what aspect the existing innovation policy regime shaped innovation policy for social problem-solving. The study examines the inertia of the current paradigm of innovation policies and R&D programs, and sheds light on the search for a distinctive identity for innovation policies that tackles soci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