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interactions

검색결과 730건 처리시간 0.031초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한 고령층의 키오스크 사용성 연구 (Study on the Elder's Kiosk Usability Using Eye Tracking Technique)

  • 김현민;남장현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5권3호
    • /
    • pp.483-493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the usability of kiosks among the elderly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high, medium, and low digital literacy groups, and their performance in usability metrics such as time to first fixation, fixation duration, and task completion time was compared. The goal was to uncover how digital literacy influenced elderly users' interactions with kiosks and to provide insights for targeted educational interven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 An experimental approach was employed, utilizing eye-tracking technology to assess the usability of a standardized kiosk interface among elderly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digital literacy groups based on a survey, and their performance across various usability metrics was recorded and analyzed. The study aim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visual attention and task performance that were linked to digital literacy levels. Findings - The study found that higher digital literacy levels were correlated with better performance in kiosk usability metrics. Participants with higher digital literacy had shorter times to first fixation, reduced fixation durations, and faster task completion times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literacy levels. These resul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n facilitating more efficient use of kiosks by the elderl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provided new insights into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n improving the usability of digital interfaces for older adults. By employing eye-tracking technology, it offered objective data on how digital literacy influenced visual attention and task performance. The findings suggested the need for comprehensive digital literacy programs tailored to the elderly, which could have helped bridge the digital divide and enhance their social inclusion.

국내외 연안구역관리 지표체계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and Domestic Coastal Zone Management Indicator System)

  • 남광우;오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85-892
    • /
    • 2012
  • 연안구역 관리지표는 연안통합관리의 정책수립 이행과정에 중요한 의사결정수단으로 활용되며, 통합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부문별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이에 대부분의 국제사회기구와 선진 연안국들은 현 연안환경과 사회 경제적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연안구역관리정책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안구역관리 지표체계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연안구역관리 지표체계를 크게 자연 환경적측면, 사회 경제적 측면, 네트워크 측면으로 구분해 각 차원별 연안구역관리 지표체계의 장 단점을 파악하고 비교 분석해 연안구역관리 지표체계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연안구역관리의 실현을 위한 관리수단,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과학적 의사결정수단, 연안통합관리의 실효성 평가수단, 연안구역관리 지표체계의 이원화 등을 선진사례의 공통된 특성으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내외 연안구역관리 지표체계에서 나타난 공통의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차원에서 국내 연안구역관리 지표의 올바른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Impact of Educational Status on 10-Year (2004-2014) Cardiovascular Disease Prognosis and All-cause Mortality Among Acute Coronary Syndrome Patients in the Greek Acute Coronary Syndrome (GREECS) Longitudinal Study

  • Notara, Venetia;Panagiotakos, Demosthenes B.;Kogias, Yannis;Stravopodis, Petros;Antonoulas, Antonis;Zombolos, Spyros;Mantas, Yannis;Pitsavos, Christos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9권4호
    • /
    • pp.220-229
    • /
    • 2016
  • Objectives: Th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al status and 10-year risk for acute coronary syndrome (ACS) and all-cause mortality was evaluated. Methods: From October 2003 to September 2004, 2172 consecutive ACS patients from six Greek hospitals were enrolled. In 2013 to 2014, a 10-year follow-up (2004-2014) assessment was performed for 1918 participants (participation rate, 88%). Each patient's educational status was classified as low (<9 years of school), intermediate (9 to 14 years), or high (>14 years). Results: Overall all-cause mortality was almost twofold higher in the low-education group than in the intermediate-education and high-education groups (40% vs. 22% and 19%, respectively, p<0.001). Additionally, 10-year recurrent ACS events (fatal and non-fatal) were more common in the low-education group than in the intermediate-education and high-education groups (42% vs. 30% and 35%, p<0.001), and no interactions between sex and education on the investigated outcomes were observed. Moreover, patients in the high-education group were more physically active, had a better financial status, and were less likely to have hypertension, diabetes, or ACS than the participants with the least education (p<0.001); however, when those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habits were accounted for, no moderating effec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status with all-cause mortality and ACS events were observed. Conclusions: A U-shaped association may be propos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CS prognosis and educational status, with participants in the low-education and high-education groups being negatively affected by other factors (e.g., job stress, depression, or loneliness). Public health policies should be aimed at specific social groups to reduce the overall burden of cardiovascular disease morbidity.

얼굴 매력도와 신뢰성 평가에서 시각적 주의의 차이 (Difference in visual attention during the assessment of facial attractiveness and trustworthiness)

  • 성영신;조경진;김도연;김학진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533-540
    • /
    • 2010
  •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필수적인 얼굴 인상형성 과정 중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매력도와 신뢰성을 평가할 때 시각적 주의에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이 얼굴 신뢰성과 매력도를 평가하는 동안 안구추적기(eye-tracker)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시선움직임을 측정하고, 이 후 히트맵(heatmap) 분석을 통해 평가과제 간 차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은 매력도를 평가할 때와 비교하여 신뢰성을 평가할 때, 얼굴의 주요요소라 할 수 있는 눈과 코 부위에서 더 많은 시선응시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실험 2에서는 참가자들이 실험 1과 동일한 얼굴 평가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얼굴의 각 요소에 단어를 짧게 제시하였다. 실험종료 후 실시된 회상검사 결과, 신뢰성 평가과제 시 코부위에 제시되었던 단어의 회상률이 매력도 평가과제 시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얼굴 신뢰성 판단은 시각적인 주의적 자원(attentional resources)의 할당과 관련된 측면에서 얼굴 매력도와는 구분되는 정보처리과정을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서울시 등질지역과 기능지역의 구조 분석 (The Homogeneous Regions and Functional Region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Seoul)

  • 손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62-58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B.J.L. Berry가 제시한 ‘공간행동의 일반적 장이론’에 의거하여 등질지역적 관점과 기능지역적 관점에서 거대도시 서울의 다차원적이고 입체적인 지역구조의 해명을 시도하였다. 도시구성요소의 배열상태인 등질지역구조를 추출하기 위하여 각 지구의 사회 경제적 속성을 반영해주는 변수를 이용하여 지역구조에 내재하고 있는 주요 인자를 추출한 결과, 과거에 비해 서울의 지역구조가 점차 복잡하고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울의 등질지역은 구시가지가 지배적으로 입지한 한강 이북과 신시가지가 입지한 한강 이남에서 상이한 패턴으로 전개되었으며, 중앙의 중심업무지역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동심원 배열과 선형 배열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거주자의 사회계층 분포특성이 생활환경의 공간적 불균형 패턴과 일치함으로써, 사회계층간 격차에 의한 신시가지와 구시가지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구유동의 공간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동패턴에 대한 분석에서는 통행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해 온 도심 중심의 통행권이 최상위에 자리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서울의 도시구조가 다핵화 분산화해가는 과정에서 도심을 중심으로 하는 일극집 중도가 완화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유동패턴을 토대로 형성된 기능지역은 각기 권역적 중복에 의한 중층적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행동의 일반적 장이론에 입각하여 실시한 등질지역과 기능지역간의 상호의존관계 분석을 통해, 도시를 구성하는 하위지역간의 공간상호작용은 각 지역이 가지는 속성과 기능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명확해졌다. 이는 곧 등질지역적 속성과 기능지역적 속성이 상호의존적이며 이종동형(isomorphic)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한옥의 건강특성과 요소에 대한 언론보도 연구 : 1960년 이후 4대 일간지 기사 내용분석 (A research on the 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elements of Han-Ok : Contents analysis of articles of the four daily newspapers since 1960)

  • 이민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5호
    • /
    • pp.25-3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changes of the 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elements of Han-Ok appeared in the articles of the daily newspaper,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applying to the healthy housing for the public living in modern society and furthermore the various facilities for healing. For the study, the relevant articles of 4 daily newspapers published from 1st of January in 1960 to 28th of February in 2010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icles about the 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elements of Han-Ok have rapidly grown since the year of 2000. Especially, the residents' interviews, case reports and actual living condition of Han-Ok recently tend to increase. Second, the health characteristics of Han-Ok in the recent articles were focused more on the mental and social health than on the physical health. The physical health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of hazard environments, the offer of good quality environments, and the enhancements of residents' health. The mental health consisted of the psychological comfort, the sensory satisfaction and the emotional growth. There have been improvements of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interactions with neighbors i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health since 2000. Third, the health elements of Han-Ok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were the structure, space, material, doors & windows, furniture & props, nature, and villages. The material elements were more stressed before 2000, but the spaces and the nature elements were highly focused after 2000 and the structure elements were steadily high regardless of years. Fourth, of the health elements, the structure and the material had the high effects on the physical health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 spaces and the nature influenced more on the mental health. On-dol, Ma-dang, Dae-cheong, Ma-ru, soil, wood, Changhoji, natural environments, and doors & windows were the detail health elements which had high effects on the health characteristics of Han-Ok. For the future study, the experience based in-depth studies of the residents living in Han-Ok are suggested to grasp the actual effects of Han-Ok on the health. The professional consultations are also needed for the extracts of the health characteristics of Han-Ok and the functional element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buildings.

미국 주립기록관 페이스북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Participation in Facebook of the U.S. State Archives)

  • 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3-84
    • /
    • 2016
  • 본 연구는 미국 주립기록관 페이스북에 게시된 이용자 댓글을 분석하여 이용자 참여도와 게시물에 대한 이용자 반응의 유형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27개 주립기록관에서 2016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 사이에 생성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용자 댓글 수, 개별 이용자 수 및 게시물 당 평균 댓글 수를 토대로 이용자의 참여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용자 참여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위 10개의 주립기록관을 선정하였다. 이들 중 최상위인 오하이오 주립기록관과 5위권의 플로리다 주립기록관, 10위권의 아칸소 주립기록관 페이스북에서 이용자 댓글 687개와 댓글이 달린 게시물 132개를 수집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자의 감성적 의견판단, 게시물에 대한 설명 추가 및 개인이야기 공유와 관련된 댓글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질문을 통한 이용자 간 또는 이용자와 아키비스트 간 상호작용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게시물의 경우 소장자료와 관련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유형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기록관에서 이용자의 삶과 연결되는 역사적 사실 및 관련 기록물을 발굴하여 제시하고 소셜 미디어에서 이용자와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며 온라인 이용자 커뮤니티를 구축 유지하여 소셜 미디어를 통한 기록관 홍보 및 확장 서비스를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Analysis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Interactive Science Inquiry Experiment)

  • 이현영;장상실;성숙경;이상권;강성주;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60-670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을 실시하여 학생-학생 상호작용의 유형을 분류하고, 인지수준에 따른 모둠별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수준이 이질적인 모둠과 동질적인 모둠을 각각 2모둠씩 선정하여 활동지를 해결하는 과정을 녹음, 녹화하였다. 학생들의 상호작용 유형을 크게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나누어 인지적 측면은 "질문", "응답", "의견제시", "의견 받기"로 구분하여 각 범주를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에 따라 세분하였다. 정의적인 측면은 "활동참여도", "분위기관련", "의견에 대한 반응"으로 나누었다. 동질, 이질 모둠의 인지적, 정의적 상호작용의 빈돌르 비교하여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는 동질 모둠이 이질 모둠에 비해 상호작용의 빈도가 더 높았고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교사 의존도나 모둠에 대한 불만 등 동질 모둠에서 부정적인 태도를 더 많이 보였으나, 동료의 의견에 '수용'과 '반대'를 표현하는 빈도는 동질 모둠이 더 많아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었는 토론분위기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CES-D로 측정한 우울증상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탐색 -GMM을 활용한 한국복지패널 데이터의 재분석- (Exploring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Change in Depression Measured Using CES-D)

  • 허만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307-331
    • /
    • 2014
  • 본 연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종단자료를 구축한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증상의 종단적 변화궤적이 상이한 잠재계층(latent trajectory class)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19세 이상 성인 남녀 8,900명을 최종 샘플로 선정하여 Growth Mixture Modeling(GMM) 분석을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복지패널에 나타난 우리국민의 우울증상 변화 궤적에는 5개의 하위 집단이 존재한다. 둘째, 전체 사례를 일반가구와 빈곤가구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각의 분석에서 성별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가구에서는 4개의 잠재 우울변화 집단이 나타났고 빈곤가구에서는 3개의 잠재 우울변화 집단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 될 수 있다. 첫째, 우울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우울수준이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지만,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전체 연구대상 중에서 약 12.1% 사람들의 우울 수준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기존의 연구에서 우울이 감소하고 있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보여준 두 가지 우울변화패턴(낮은 우울 수준 유지 집단, 우울감소 집단)의 결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우울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우울증상의 이질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또한 우울, 연령, 빈곤상태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기업의 규모와 산업이 장애인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 1인 이상 의무고용기업체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erprise Size and Industry on the Employment Rat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Enterprises with Disability Employment Obligation That Hire at Least One Person with Disabilities-)

  • 권기돈;김호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251-276
    • /
    • 2014
  • 연구는 기업 규모가 클수록 장애인 고용률이 하락한다는 장애인 고용계의 상식을 상세히 재검토한다. 이러한 상식은 기업 규모와 산업 유형의 교호작용에 대한 고려 없이, 통상적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형성되었다. 이 연구는 기업규모별 장애인 고용률이 통상적 회귀분석의 가정인 자료의 선형성과 등분산성을 위반한다는 사실을 밝힌 후, 일반 선형회귀모형, 가중회귀모형,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설명하는 데 적합한 모형을 찾고자 했다. 또한 경로모형 분석을 통해 고용률에 대한 기업 규모의 직간접적 효과가 산업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 규모와 산업 유형의 교호작용을 모형에 추가할 경우,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의 기업에 대해 규모는 장애인 고용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업무 환경, 장애인 고용으로 인한 도움, 장애에 대한 배려, 제도/정책에 대한 인지와 같은 요인들이 기업의 규모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의 장애인 고용 연구와 정책 이행에서는 기업의 규모 못지않게 산업 및 방금 열거한 요인들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