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Finance

검색결과 805건 처리시간 0.03초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ccess to Financ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Vietnam

  • Luc, Phan T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1호
    • /
    • pp.63-72
    • /
    • 2018
  • Social entrepreneurship is increasingly gaining interest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great benefits of society. In Vietnam, the concept of social entrepreneurship is still quite new.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regarded as a useful and practi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actual entrepreneurial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integrated model based on planned behavior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access to finance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confirm factor analysis to study the latent constructs underlying determinants of planned behavioral theory, perceived access to finance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n, it applies the techniqu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latent constructs.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ccess to finance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Perceived access to finance only indirectly increa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attitude towards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al.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ceptual factor of financial access that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study does not cover other in-depth issues of social entrepreneurship such as decision making, leadership, personality traits,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To establish an environment with a strong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a focus on developing perceived access to finance is an extremely important factor.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ttitude towards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al have a strong impact to social entrepreneurship.

Theoretical Foundations Of Election Campaign Research: Problems, Approaches And Methods

  • Dreshpak, Valerii;Pavlenko, Evgen;Babachenko, Nataliia;Prokopenko, liudmyla;Senkevych, Hennadii;Marchuk, Mykol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9호
    • /
    • pp.113-117
    • /
    • 2021
  • The article defines the basic concepts: "election campaign", "social capital", "conversion of social capital";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research of social capital conversion in election campaigns are studied; the process of using social capital in politics is defined; ways of converting social capital into politics are considered; the possibilities of converting social capital in election campaigns are described. Election campaigns have been found to be a successful form of social capital conversion. The ability to use social capital in the election campaign speaks of its high potential. Election campaigns are not an effective use of social capital.

유럽지역의 사회적기업 조직체계 및 재원확보 방안의 비교와 한국에의 시사점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ystems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 Finance in Europe and Suggestions)

  • 정인서;최갑열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1호
    • /
    • pp.219-240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기업이 바람직한 조직체계와 재원확보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유럽지역의 사회적기업 조직체계와 재원확보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럽에서의 사회적기업의 조직체계는 협동조합, 협회, 재단 등 전통적인 조직구조 속에서 유한회사와 주식회사의 특성을 포괄하고 있다. 다만 사회적기업은 협동조합에 비해 이해당사자를 구성원으로 참여시키며 전체 지역사회의 이익을 더 지향한다는 점이다. 또한 재원확보에 있어서는 대부분 국가가 국가보조금과 같은 공공기금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점차로 판매수익의 비중이 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우리에게 있어서 사회적기업 조직체계는 단시일 내에 정부와 학계에서 사회적 일자리를 확충하기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정책적으로 도입되었다. 이러다보니 재정자립도에 있어서도 수익활동보다는 정부지원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우리의 사회적기업의 조직체계는 한국적인 전통이나 사회적인 합의라는 사전 노력이 필요하다. 더욱이 우리 사회적기업들은 정부지원과 함께 자립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 개발과 기증, 기부 등의 사회문화적 접근을 통한 안정적인 재원확보가 중요하다.

기초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재정 분석 - 서울시 구로구 예산서(2000년~2007년) 사례 -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Social Welfare Finance - A case study of GuRoGu budget(2000~2007) -)

  • 정원오;김성기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3-58
    • /
    • 2009
  • 본 연구 목적은 기초 지방정부 사회복지예산의 구조적 특성과 그것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시 구로구의 8개년도 예산서(2000년-2007년)를 사례로 선정하였고, 원 예산서를 사회복지의 내재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재분류할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원 예산서 사회복지비를 '대상', '성질', '재원츨처'에 따라 분류한 분석틀은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시계열분석, 교차분석을 통해 다양한 특성이 기술분석 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주장되었던 중앙정부 정책 요인뿐만 아니라 광역정부 요인도 지방정부 사회복지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선행연구에서 주장되었던 점증주의 요인, 재정자립도 요인의 영향은 분명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위정부가 미치는 영향력은 타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만, 지방정부 자체 요인은 미흡하다. 본 연구는 비록 사례연구로서 일반화의 한계를 갖고 있지만, 지방정부 사회복지 예산서를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고, 그것을 기반으로 다양한 후속 연구로 발전될 수 있는 지평을 확장하였다.

7차교육과정의 초.중.고등학교 금융소비자교육 내용분석 - 실업과와 사회과를 중심으로 - (Contents Analysis of Personal Finance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Focusing on the Curricular of Home Economics & Social Science -)

  • 최은진;최현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29-14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solution of problems originated from financial illiteracy. To accomplish this task, the content which supposed to be taught in the area of personal finance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r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n, the personal finance content taught in public education system were analyzed rising content analysis of over 100 text books related to Personal finance education, such as Home Economics, Social Science, Economics, and Human Life Sciences, etc.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s were concluded. In spite of the fact that only few personal financial education topics were included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many topics taught in the subject of Social Science were duplicated in the Home Economics Curricular. To accomplish the ultimate goal of personal financial education, an introduction of the new course(Personal Finance) in the regular curriculum like U.S. is strongly recommended.

노무현 정부의 복지재정분권정책에 따른 지방정부 사회복지재정 실태 분석 및 정책적 개선방안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Welfare Finance Caused by Welfare Finance Decentralization of Roh Moo-Hyun Government)

  • 박병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1호
    • /
    • pp.159-18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노무현 정부의 복지재정분권정책에 따른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재정의 실태를 분석하고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노무현 정부 기간 동안 지방정부 재정에서 차지하는 사회복지지출이 크게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지방자치단체에서 부담해야 하는 사회복지지출 또한 크게 늘어났다. 지방재정에서 사회복지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난 이유는 중앙정부가 사회복지정책을 크게 확장하면서 지방정부의 부담도 같은 수준으로 늘어난 것과, 재정분권을 추진하면서 신설한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교부되는 분권교부세가 너무 낮게 책정되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변화는 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 부담이 늘어나면서 자치구 간에 수평적 재정불균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재정관계를 재정비하고, 급증하는 지방의 사회복지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지방교부세 제도의 복지기능을 강화하고, 2010년에 보통교부세로 전환되는 분권교부세도 보완될 필요가 있다.

  • PDF

Social Welfare Analysis of Policy-based Finance with Support for Corporate Loan Interest

  • NAM, CHANGWO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3권4호
    • /
    • pp.45-67
    • /
    • 2021
  • We analyze the social welfare effect when a policy-based financial system (PFS) enters a decentralized financial market. Particularly, the PFS in this case supports the interest spread for corporate loans held by firms with heterogeneous bankruptcy decisions under an imperfect information structure. Although support for capital costs through the PFS expands the economy consistently, the optimal level of PFS out of the corporate loan market is estimated to be 8.6% by a simulation model considering social welfare adjusted by the disutility of labor. This result is much lower than the recent level of PFS in the Korean financial sector.

Green Fi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Case of China

  • LEE, Jung 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7호
    • /
    • pp.577-586
    • /
    • 2020
  • The paper seeks to explore the role of green finance in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rough the case of China, and address some issues of sustainable finance and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concerns of green finance by introducing the episodes of green finance in China. This paper aims to provide some viewpoints about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 latest trends in green finance? 2) What are the main challenges to the development of green finance? 3) What ar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reen finance? 4) What are the roles of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promoting green finance? This paper identifies the mainstream to sustainable bonds, diversification of green finance, transition of corporates' business models, transparency and disclosure, and harmonizing taxonomy and measurement of green finance for the emerging trends of green finance. As the results, this paper recommends some policy measures for the private sector such as greening the banking system, greening the bond market, and greening institutional investors. This paper also suggests some policy initiatives for the public sector such as developing policies and capacity, promoting market transparency and governance, and promoting private-public partnership for diversifying resources of green finance.

지속가능한 BSC를 사용한 그린 IT 전략 실행과제들의 평가 (Evaluating Green IT Initiatives Using the Sustainability Balanced Scorecard)

  • 박정선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1-87
    • /
    • 2017
  • Performance evaluation has been done using financial indices which are generally regarded as inappropriate for the organizations which are innovative and progressive. Thus, the Balanced Scorecard(BSC) was developed considering long term performance and invisible performance. This BSC has four perspectives of finance, customer, internal operation, and learning. Based on the BSC, a new BSC has been derived with a fifth view of environmental and social perspective, which is now called as a Sustainability BSC. In this study, we evaluated Green IT initiatives using the Sustainability BSC. The initiatives are categorized as RFID, telepresence, paperless office, logistics management etc. The initiatives were evaluated from the view of five perspectives, resulting in high cor relationships among finance, internal operation, and environmental and social perspectives. Namely, good initiatives from the view of environmental/social perspective are also evaluated as good from the view of finance and internal operation perspectives. In this study, we recommend organizations to introduce Green IT initiatives by showing how Green IT initiatives have contributed to the organizations.

사회성과연계채권(Social Impact Bond) 운영구조의 유형화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ocial Impact Bond)

  • 노혜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333-360
    • /
    • 2016
  • 본 연구는 전세계 42개 SIB 사업의 운영구조를 검토하고, 주요 단계별 핵심기준을 중심으로 유형화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SIB의 향후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IB의 기획은 중앙정부의 부처가 기획한 경우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투자자 구성은 2-3개 조직이 공동투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는데, 이 때 사회적금융조직이 투자자로 포함된 경우가 54.8%로 가장 많았지만, 민간 투자은행이나 고액 투자자가 참여하는 경우도 33.3%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의 제공은 단일조직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전체 분석사례 중 73.8%였고, 제공되는 서비스 중에서 74%가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셋째, 성과평가는 특정기준에 도달할 경우 성과를 지급하는 방식인 '성과표' 방식이 전체 사례 중 64.3%로 가장 많았지만, 유사한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성과를 평가하는 경우도 23.8%나 존재했다. 넷째, 유형화 분석 결과 세 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첫번째로 도출된 유형은 '중앙정부-사회적 금융 결합형'으로서 중앙정부가 기획하고 사회적 금융조직이 주요한 투자자가 되면서 성과표를 중심으로 성과급을 지급하는 형태이다. 두 번째로 도출된 유형은 '복합참여형'으로서, SIB의 단계별로 참여하는 주체들이 가장 다양할 뿐만 아니라, 성과평가 과정에서도 가장 체계적인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서비스는 주로 단일 기관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비교집단을 통한 유사실험설계를 활용한 성과평가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 유형은 '서비스기관 다수형'으로서, 유형의 고유한 특이점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복수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SIB에 대한 통계적 유형화를 처음으로 시도한 본 연구는 운영구조에 대한 개괄적 설명이나 단순나열식 비교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SIB 관련 연구를 보다 체계화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SIB를 기획하는데 있어 주요 단계별 고려해야 하는 이슈 및 쟁점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지방정부나 민간조직이 SIB를 기획하는 경우에는 투자자 구성이나 참여하는 주체의 만족을 위하여 성과평가 및 관리와 관련된 방안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임을 제안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SIB의 등장 배경인 다양한 주체간 협치와 네트워크가 보다 활발하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기획자나 투자자 구성이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