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bel's test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9초

지방의료원 중간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of Middl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with the Staf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t the Local Medical Center)

  • 김혜진;홍성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15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of middl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with the staf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t the Local Medical Center.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73 staff from the four Local Medical Centers in Chungnam Province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23.0 program.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obel test. Results : Middl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staff. Additionally, psychological empowerment showe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among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 To promote staf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effective strategies to develop middl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and to promote empowering programs for the staff.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tress and smartphone overuse)

  • 강경아;박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10-218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전북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0일부터 5월 10일까지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학생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스마트폰 과다사용 정도는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다사용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정은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이용하였으며,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활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더라도 대상자의 내적 통제력인 자기효능감이 증진되면 스마트폰에 의존하거나 과다 사용하는 경향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학교 신입생일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하루에 4시간 이상, 특히 6시간 이상일수록 스마트폰 과다사용 위험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을 예방하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김주연;김민경;조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69-678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C 지역의 3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137명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이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은 총 5점 중 각각 평균 $3.09{\pm}0.43$점, $3.54{\pm}0.45$점이었고, 극복력은 총 7점 중 평균 $4.93{\pm}0.66$점이었다. 임상실습스트레스와 극복력 간(r=-.24, p=.005),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 간(r=-.21, p=.012)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극복력과 임상수행능력 간(r=.59, p<.001)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극복력은 두 변수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Sobel test을 통해 확인한 결과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3.02, p=.003). 즉,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극복력이 투입된 후 더 이상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교육은 간호학과 교과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반드시 수료해야 하는 교과과정이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직면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 내 외 과정에 극복력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병원 간호사의 의료진 간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in the Medical team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 손현미;성경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00-309
    • /
    • 2017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진 간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 두 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correlation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 & Kenny의 3단계절차를 이용한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여 Sobel test로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간에 부적상관(r=-.22, p=.001)이 있었으며,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정적상관(r=.61, p<.001), 자기효능감과 이직의도 간에는 부적상관(r=-.25, <.001)이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1단계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지만(${\beta}=-0.22$, p<.001), 3단계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beta}=-0.11$, p=.194)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완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z=-2.15, p=.032). 따라서 본 연구결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표준화환자 활용 정신간호학 융합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만족도가 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on Motivation to Transfer in the Practicum of Psychiatric Nursing Convergence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learning)

  • 오현주;김미자;박경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75-383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실무에 접하기 전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융합 시뮬레이션 실습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습 만족도와 전이동기와의 관계에서 학습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144명의 3학년 간호학생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을 하였고, Baron & Kenny의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만족도와 학습자기효능감(r=.686, p<.001), 학습만족도와 전이 동기(r=.633, p<.001), 학습자기효능감과 전이동기(r=.804, p<.001)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습자기효능감은 학습만족도와 전이동기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7.63, p<.001). 교육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실무에 적용하고자 하는 전이동기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학습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결혼 및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of a College Student on Marriage and Childbirth Intention -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Mediating Effect)

  • 이연숙;이경희;오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253-26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과 결혼 및 출산의도와의 관계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일개 대학의 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SPSS 22.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Fisher's exact 검정,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위하여 Sobel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정폭력 경험 학생이 미경험 학생에 비하여 출산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044),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도 낮았다(p≦.000, p=.001). 자기효능감은 가정폭력을 경험한 학생과 경험하지 않은 학생 모두의 결혼의도와 출산의도와 관련이 있었다(p=.001, p≦.000). 결혼 및 출산의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발견하기 어려웠다. 대학생의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가정폭력을 낮추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역량과 감성지능 매개효과 중심 (The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of Wee Counseling Specialis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ompeten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임정혜;김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67-676
    • /
    • 2023
  • 본 연구는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역량, 감성지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역량,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도 지역의 Wee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상담전문인력 104명으로, 2023년 2월부터 4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회귀분석,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역량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역량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설명력은 45.6%이었다(Z=2.96, p=.003).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44.8%이었으며,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는 Wee업무 상담전문인력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역량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키는 중재가 소진감소에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직무스트레스 감소 중재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중재가 반드시 포함되는 체계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제안한다.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Internet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 Social Cognitive Theory-Driven Focus on the Mediating Influence of Social Support

  • Yang, Sun-Y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357-365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net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with internet addi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19 middle school students in J city. The measurements included a self-efficacy scale, a self-control scale, a social support scale, and the Internet Addiction Scale for Youth.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or Mann-Whitney U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2.0.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by the Sobel test and Baron and Kenny's hierarchical analysis technique. Resul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internet addiction. Social suppor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net addiction, as well 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internet addition.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internet addiction, the promotion of interactions among peers, which is a component of social support, is particularly important. It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face-to-face activities that can strengthen relationship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tensifying social support may help reduce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지역사회 중년의 당뇨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사이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cus on Gender Differentiation)

  • 홍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09-51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diabetes knowledg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middle-aged people. Method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4, a convenience sample of 264 subjects was recruited from B city and G province.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chi}^2$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Diabetes knowledge was $11.3{\pm}3.63$ in men and $12.7{\pm}3.74$ in women. The average levels of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ubjects were similar with other middle-aged individuals. Diabetes knowledg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both men and women.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 Sobel test was performed and Z-scores of 3.698(p<.001) in men and 2.748(p=.006) in women were obtained. Conclusion: Diabetes prevention education is recommended for the middle-aged community. When developing diabetes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aged people, such programs should consider self-efficacy, especially in women.

Gender Difference in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for the Prevention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STD) among College Students' STD Knowledge, Susceptibility, and Sexual Autonomy

  • Park, Mijeong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2-49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elf-efficacy in the prevention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STD), knowledge of and susceptibility to STD, and the role of gender in sexual autonom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67 college student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uring the period from the first to the twentieth of June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x^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ith the PASW/WIN 20.0 program.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In male students, self-efficacy for STD prevention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D susceptibility and sexual autonomy (${\beta}$=-.08, p=.370). But in female students, i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a}$=-.25, p=.001). And self-efficacy for STD preventio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STD and sexual autonomy in the both male (${\beta}$=.25, p=.005) and female students (${\beta}$=.33, p<.001). Conclusion: To enhance college students' sexual autonomy, it may be useful to build effective strategies enhancing students' knowledge about and susceptibility to STD and to develop a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