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aking test method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1초

소금 스트레스 방법으로 처리한 이스트를 사용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Using the Salt-Stressed Yeast Method)

  • 이준열;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6-276
    • /
    • 2012
  • 본 연구는 이스트의 소금 스트레스 시간이 반죽의 발효와 제품의 특성에 미치는 결과를 분석하여 산업적으로 이용하고자 이루어졌다. 반죽의 가스 생성율과 발효율, pH, 부피, 비용적, TPA, crumScan, 색도와 관능검사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반죽의 가스 생성율과 발효율을 살펴본 결과 침지시간이 45분일 때 가장 가스 보유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침지시간이 15분, 30분, 45분의 pH 값이 5.74로 빵을 만들기에 가장 적절한 값이었다. 부피와 비용적은 45분이 가장 좋았으며, 조직감 분석결과 대조구의 경도가 가장 낮고 부드러웠으며, 탄력성은 크게 차이가 없었다. CrumScan결과 기공의 조밀도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기공의 찌그러짐 정도는 45분이 가장적었다. 색도 분석 결과는 L값은 75분, a값과 b값은 15분이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에서는 질감, 향, 식감, 맛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은 침지시간 45분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역시 가장 선호되었다.

  • PDF

토기의 복원재료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제거 연구 (The Removal Study of Restoration Materials for the Ceramics)

  • 김효윤;박대우;남병직;장성윤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61-74
    • /
    • 2011
  • 국내에서 토기 복원에 주로 사용하는 접착제 3종: Cemedine C, Loctite$^{(R)}$ 401$^{TM}$, Araldite Rapid Type와 메움제 3종: 석고, CDKI 520 A+B, Araldit$^{(R)}$ SV 427-2+HV 427-1의 제거효과에 대해 연구했다. 1차 실험에서 각각의 재료들을 여러 용제에 침적해 연화의 정도(Soften level)를 비교하고, 2차 실험은 연질토기 시료와 경질토기 시료에 재료들로 복원하여 침적법과 증기법의 효과를 비교했다. 1차 실험 결과 Cemedine C와 Loctite는 아세톤에 쉽게 녹았고, Plaster(석고)는 인산나트륨에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Araldite Rapid Type와 CDKI 520과 SV427은 Dichloromethan, Tetrahydrofuran, DMX (Dichloromethan + Methanol + Xylene)에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2차 연구는 1차 연구를 토대로 제거에 효과적이라 판단되는 용제를 각각 침적법과 증기법으로 제거하였다.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된 재료들은 침적법으로 10분 이내에, 증기법으로는 약 24시간 후에 제거되었다.

  • PDF

두류의 Quick Cooking방법 개발과 이것이 제품 품질에 미치는 영향 (Improved Cooking Methods for Dry Bean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Cooked Products)

  • 이영춘;신동빈;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7-313
    • /
    • 1983
  • 건조 두류의 시료로 선정한 대두와 동부의 cooking time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두와 동부를 몇가지 선정된 soaking 및 cooking 방법으로 처리하여 cooking time을 비교하고, 이런 처리가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oaking방법중 대두를 3%SBC 용액에, 동부를 $0.5{\sim}1%SBC$ 용액에 침지한 후 $95{\sim}100^{\circ}C$의 물에서 cooking했을 때 cooking time은 각각 40 분과 10분이였다 이는 control에 비하여 80%의 cooking time 단축에 해당한다. 2. 대두의 cooking방법중 $121^{\circ}C$에서 steam cooking 하는 것이 cooking time 단축에 가장 효과적 이었고 (15분), 동부의 cooking시간은 1%SBC 용액에서 6분, $121^{\circ}C$ steam에서 5분이었다. 3. 최적 텍스쳐에 도달한 각 시료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121^{\circ}C$에서 steam cooking 한 젓이 제일 좋았고, 염용액에서 침지한 시료는 control과 대등했으며, 염용액에서 cooking 한 것은 control 보다 좋지 않았다. 4.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두류를 단 시간에 cooking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두는 가압 steam cooking $(121^{\circ}C)$ 또는 3%SBC 용액에서 침지하는 것이 효과적 이었으며, 동부의 경우 $0.5{\sim}1%SBC$ 용액에 침지 또는 가압 steam cooking$(121^{\circ}C)$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PDF

전역방출방식 CO2 소화설비의 설계농도 및 유지시간 검증을 위한 직접방사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 Discharge Test for Verifying Design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for CO2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Total Flooding)

  • 이세명;문성웅;유상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5-23
    • /
    • 2012
  • $CO_2$ 소화설비의 소화성능 시험방법에는 직접시험방법이 가장 좋지만, 고비용과 환경문제 그리고 시험절차의 어려움으로 간접시험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석유화학플랜트나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국가 중요위험시설은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직접방사시험을 통해 소화성능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가 중요위험시설에 설치된 전역방출방식의 $CO_2$ 소화설비 중에서 표면화재 방호구역과 심부화재 방호구역을 각각 선정하여 $CO_2$ 소화설비의 소화성능을 검증해 보았다. 소화성능은 방호구역 내에 방사된 $CO_2$의 농도가 설계농도기준(NFSC 및 NFPA)에 만족해야 그 성능을 인정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설계농도는 $CO_2$ 소화약제가 화염을 제어할 수 있는 소화농도에 여유율 20 %를 감안한 농도를 의미한다. 시험결과 표면화재와 심부화재 방호구역 모두 $CO_2$ 설계농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심부화재의 경우에는 20분 이상 설계농도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 중요위험시설에 대한 직접방사시험 방법 및 판정방법을 소개하였고 향후 이와 같은 국가 중요위험시설에는 직접방사시험을 통해 소화설비의 신뢰성을 검증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초음파 자극이 현미발아 촉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ltrasound Stimuli on Acceleration of Brown Rice Germination)

  • 이준;임기택;홍지향;이양봉;이종욱;정종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1권6호
    • /
    • pp.506-513
    • /
    • 2006
  • The effects of ultrasound stimuli on the germination and sprout growth of brown rice were investigated. Ultrasound was applied to brown rice at the frequencies of 28, 40, and 60 kHz before germination test and it was germinated in three methods (Type I, II and III). Type I was to soak brown rice into water for 60 hours. Type II was to expose brown rice to air for 48 hours after soaking them into water for 12 hours. Type III was a repetitive method of water-soaking and air exposure for 12 hours respectively.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germination was Type III without ultrasound. However, Type I was a best method after ultrasound treatment. As power of ultrasound increased, sprouts grew faster after brown rice were treated in 40%, 70%, and 100% power (0.137, 0.241, and 0.344 $W/cm^2$) at 40 kHz. The good treatments for fast sprout growth of brown rice at each frequency were the 28 kHz-10min group, the 40 kHz-5min group, and the 60 kHz-20min group of Type I. The best effective treatment was the 40 kHz-5min group at 0.344 $W/cm^2$ and at that condition the time required for sprout growth of 2.5 m was 51.9 hours. The ultrasound stimuli was very effective in the beginning of the rice germination, and the germination ratio was more than 95% in all ultrasound treatments.

푸른 방울토마토로 제조한 저염 장아찌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of Immature Green Cherry Tomato Pickl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Soy Sauce and Soaking Temperature During Storage)

  • 김진아;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5-307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standardize a preparation method for low-sodium tomato jangachi (traditional Korean pickle) via short-term fermentation with immature green cherry tomatoe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ferred concentrations of soy sauce and soaking temperatures of immature cherry tomato pickles in different stages of storag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and also performed a preference test on samples of immature green cherry tomato pickles. Immature cherry tomatoes were prepared in three different soy sauce concentrations --20, 40, and 60%-- and three different soaking temperatures --60, 80, and 100$^{\circ}C$-- and then stored for 28 days at 5$^{\circ}C$. As a result, the p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s in the amount of soy in the dipping solution (p<0.05). The saltiness was maintained at levels of approximately $0.17{\sim}0.28%$ (20% group), $0.32{\sim}0.67%$% (40%group), $0.48{\sim}1.00%$ (60% group) during storage period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altiness of immature cherry tomato pickles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pickles.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and light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oy dipping solution.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of the tomato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oy sauce. Additionally, the lower the concentration of soy sauce used, the more rapidly the hardness of the immature cherry tomato pickles was reduced at 100$^{\circ}C$. PME activity moved within a narrow range, and then stabilized during the storage period.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the consumer preference test, 20%-100$^{\circ}C$ was the most preferred condition overall, 40%-80$^{\circ}C$ was the condition in which the texture was most preferred, and 40%-80$^{\circ}C$ was the condition that yielded the highest color scores.

건자재활용을 위한 축열용 다공성 미립자 상변환 물질 흡착 특성 (Charateristics on the PCM absorbed porous media as thermal storage applicable for construction material)

  • 이효진
    • KIEAE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07-112
    • /
    • 2017
  • Purpose: Both silica gel and activated carbon black particles were adopted for use as PCM absorbed porous media applicable as construction materials. To investigate usable methods for absorbing PCM into the media, they were soaked into PCM and also tested for enhancement of PCM absorption into them. Method: To test PCM absorption into some porous media such as both ${\varphi}1{\sim}2mm$ and $10{\mu}m$ silica gels, and $50{\mu}m$ activated carbon black, $43^{\circ}C$ PCM was used as a laten heat material. The method, soaking into PCM was applied to this study, and the media were moderately rotated by centrifuge to have the extra PCM flow out. DSC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lting and solidifying of the PCM absorbed into the porous media. Result: It was found that PCM was absorbed into the porous media by over 85 wt% of all particles.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the ultrasonic vibrator was accelerating the PCM absorption into the particles to three times higher speed than simple soaking. Centrifuge was adopted to remove extra PCM sticking on the particle surfaces and extra PCM was moderately removed from the surfaces of the particles. DS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atent heat of the absorbed PCM particles was 160 J/g, and the melting temperature was approximately $40^{\circ}C{\sim}50^{\circ}C$.

화학세척제를 이용한 도자기의 철산화물 제거 특성 연구 (Chemical Cleaning of Iron Stains on Ceramics)

  • 박대우;장성윤;남병직;함철희;임성태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5-356
    • /
    • 2011
  • 금속산화물에 오염된 도자기 유물을 보존처리 하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화학적 세척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세척과정을 침적법과 습포법으로 구분하여, 침적법에서는 옥살산과 구연산의 농도에 따른 철산화물 제거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앞선 침적법의 결과를 토대로 spot 테스트를 거친 후, 태안 마도에서 출토된 도자기 유물에 습포법을 적용하여 철산화물을 제거하였다. 옥살산에 60시간 침적시 도자기 빙렬 내의 철산화물은 제거되었지만, 육안관찰에서 침적 3시간 이후부터 철산화물이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보존처리현장에서는 유물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0.25M 이하의 옥살산에 1~3시간동안 침적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연산에서는 60시간 침적시 철산화물은 제거되지 않았다. 이는 옥살산과의 분자량 차이 및 산도(acidity) 등에 의한 것으로, 빙렬 내에 침투한 철산화물을 제거할 때에는 구연산보다 옥살산이 좀 더 효과적이었다. 옥살산을 용제로 제작한 습포팩(벤토나이트, 세피올라이트, 활성탄소섬유, 셀라이트)을 오염된 백자태토에 10시간동안 도포 처리하여 철산화물은 제거되었지만, 유물적용성은 벤토나이트와 세피올라이트가 뛰어났다. 그래서 앞선 침적법의 결과를 토대로, 0.25M의 옥살산과 세피올라이트를 습포 팩으로 제조하여 태안 마도 출토 청자 및 백자에 적용하였다. 습포팩 1회 처리로 유물표면의 철산화물은 대부분 제거되었으나 오염물의 형태에 따라 적용횟수는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세피올라이트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도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이크로파 가열건조법에 의한 압축 구조용 목재의 방염 및 내구성 (Flame Resistance and Durability of Compressed Structural Wood through Microwave Heat Drying Method)

  • 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2-170
    • /
    • 2011
  • 침엽수 구조재인 S.P.F 수종을 마이크로파로 단시간에 급속 건조시켜 액상의 인산염계 방염약제에 시간별로 침지시킨 후 2차 마이크로파 가열을 한 다음 3.8cm의 두께에서 1cm를 압축시켜 방염 후 처리물품 시험과 내구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1차 마이크로파 적정 가열시간은 5kW에서 7분 동안 가열할 경우 목표 함수율(4~5%)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염계 방염약제에 침지, 건조 후 3kW로 9분 동안 가열시켜 연화된 상태에서 압축된 목재의 함수율 측정결과 시험편 모두 외부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인 12~14%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압축된 목재의 방염후 처리물품 시험을 통한 방염성능은 방염약제에 30분간 침지된 시험편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된 목재의 성능 시험 결과 경도, 못뽑기 저항, 압축, 휨강도, 전단 강도 모두 약 2~3배 이상 역학적 특성이 향상되었다.

효과적인 효소 소화율을 위한 볏짚 전처리 (Pretreatment of Rice Straw for Efficient Enzyme Digestibility)

  • 김성봉;김준석;이상준;이자현;강성우;김승욱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3-253
    • /
    • 2010
  • Rice straw was pretreated with aqueous ammonia in order to enhance enzyme digestibility. Soaking in ammonia aqueous (SAA) was conducted with 15% ammonia, at $60^{\circ}C$. for 24 h. Optimization of both saccharification conditions and enzyme loading of SAA rice straw was carried out. Especially enzyme loading test was performed using statistical method. Moreover proton beam irradiation (PBI) was also performed to overcome the problem which inhibit the enzyme digestibility at 1-25 kGy doses with 45 MeV of beam energy. Optimal condition for enzymatic saccharification was follows; pH 4.8, $50^{\circ}C$, 60 FPU of enzyme activity, 1:4 ratio of celluase and ${\beta}$-glucosidase. Also, optimal doses of PBI on rice straw and SAA-treated rice straw for efficient sugar recovery were found to be 3 kGy, respectively. When saccharification was performed with optimal condition, glucose conversion yield was 89% of theocratical maximum in 48 h, and 3 kGy of PBI was applied to SAA-treated rice straw, approximately 90% of the theoretical glucose yield was obtained in 12 h. The results of X-ray diffractometry (XRD) support the effect of both SAA and PBI on sugar recover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s unveiled the physical change of the rice straw surface since rugged rice straw surface was ob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