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ldering fir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Smoldering 연소로 인한 화재사고 조사보고 소개 및 이론적 해석 (Investigation and Theoretical Analysis of a Fire Accident Caused by Smoldering Combustion)

  • 김연승;변영철;황정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17
    • /
    • 1999
  • 산호제의 양이 충분치 못한 밀폐된 공간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기대를 깨고, 다공성 물질내부에서 공극안에 있는 산화제를 이용하여 서서히 연소되는 smoldering 반응을 통하여 대형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실제 화재 사건을 화재 조사 방법에 의하여 기술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여 smoldering 연소가 화재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예시하였으며, 예시된 사고의 smoldering 연소를 강제대류에 의한 하향식 역방향 smoldering으로 모델링하였다. 화학반응으로는 열분해가 없는 1 단계 반응이 채택되어, 온도 및 산화제의 공간적 분포와 smoldering의 전파속도를 수치적으로 모사하였다. 수치결과로서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과 연료의 공극률이 반응지역의 전파속도를 결정하는 가장 우세한 인자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smoldering 에 의한 화재 발생시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과 연료의 공극률과의 관계를 알고 있다면 주어진 연료의 공극률에 대하여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불길로의 천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뒷불 특성에 관한 실험방법 연구 (The Study on Experimental Method of Smoldering Ground Fire in Forest Fire)

  • 김동현;김장환;김응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6
    • /
    • 2010
  • 산불 형태 중에서 뒷불은 지표층 내부의 발화점 이상 온도가 분해층에서 부식층으로 전이되어 뒷불이 발생 할 수 있는 형태로 잠재적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뒷불의 현장과 유사한 지표층 구조로 설정하여 실험을 통해 뒷불의 잠재적 위험성과 연소특성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시료는 침엽수종 소나무 낙엽층과 활엽수종 굴참나무 낙엽층으로, 실제 산림내의 지표층 구조인 낙엽층, 분해층, 부식층로 구분하여 재현하였다. 8개의 열전대(K-type)를 층별 경계면과 그 사이에 배치하여 전이온도, 지속시간, 전파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F-H층으로 전이되는 경우와 전이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는 L층과 F층 경계면의 발화조건이며, 유기물층의 뒷불 전이 임계습도는 35~44% 사이에 존재하며, 온도는 $350^{\circ}C$ 이상시 뒷불 전이가 일어날 확률이 아주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구조의 뒷불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훈소의 층간 전이현상, 함수율에 따른 발화여부, 전파속도 및 시간에 따른 경계면의 온도변화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뒷불의 연소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확립하였다.

목재 가연물의 두께에 따른 화염연소와 훈소상태에서의 화재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Flaming and Smoldering Combustion of Wood Combustibles Considering Thickness)

  • 김성찬;남동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67-72
    • /
    • 2015
  • 본 연구는 콘칼로리미터 실험을 통해 건축물 마감재와 가구소재로 널리 적용되는 목재 가공품의 화염연소와 훈소시 화재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시험대상 목재 가연물은 MDF, 합판, 칩보드이며 $50kW/m^2$의 복사열유속을 시편에 가하여 점화를 유도하였다. 실험과정에서 화재특성을 나타내는 발열량, 연소가스 생성율, 유효연소율 등의 주요 인자를 가연물의 두께에 따라 정량화하였다. 실험결과 초기 평면방향의 화염전파와 후기 시편의 관통에 의한 화재확대로 인해 단위면적당 발열량에 대한 두 개의 피크점이 관측되었다. 화염연소시의 질량감소율이 훈소시에 비해 5배 이상 높게 나타난 반면에 훈소과정에서 CO 생성율은 화염연소에 비해 10배 이상 높게 측정되어 훈소시 높은 독성가스 생성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목재 가연물의 화재성상을 이해하고 화재해석을 위한 물성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ARTICLE SIZE EFFECT ON COMBUSTION BEHAVIOR OF CELLULOSE INSULATION

  • Choi, Jeong-Hwa;Kim, Hong;Ryu, Kyong-Ok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185-192
    • /
    • 1997
  • The combustion of cellulose insulation treated with Borax, Boric acid and Aluminum Sulfate as combustion retardants is examined by candle type combustion tester. The cellulose fibers in cellulose insulation are classified by diameter as less than 0.2mm, 0.2mm-0.5mm, 0.5mm-2mm and more than 2mm. The burning behavior of cellulose insulation are studied by LOI (Limit Oxygen Index: Beginning point of smoldering), L- point (Lower point of combustion transition from smoldering- flaming to flaming combustion), LOI, L-point and H-point rise with the increasing particle size of cellulose fibers because thermal decomposition rate of cellulose fiber decreases. The phenomena of combustion transition from smoldering to flaming combustion are determined by the generating rate of combustible gas and the formation rate of combustible gas mixture within the zone of cellulose fiber heated.

  • PDF

전분 분진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tarch)

  • 김정환;현성호;이창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
    • /
    • 2001
  • 전분 분말의 온도에 따른 열적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빛 열중량 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발열개시 온도, 발열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자연발화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료량에 따른 전분 분말의 연소특성을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연소개시시간 및 연소시 상승하는 온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육안으로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한편 자연발화 시험기 내부의 공기흐름에 따른 연소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송풍과 무풍 상태에서의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선분 분말의 열분석 결과 승온속도가 증가할 수록 발열개시온도가 저온부로 이동하고 있으며, 발열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자연발화 실험결과 전분의 양이 증가할수록 훈소 개시온도가 낮아지고, 연소형태는 모두 훈소였다. 자연발화 시험기 내부가 송풍상태일 때 보다 무풍상태로 실험하였을 경우 훈소 개시시간이 다소 빨라지고 있으며, 발열최고온도도 크게 나타났다.

  • PDF

담뱃불에 의한 훈소화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ouldering Fire by Cigarette Fires)

  • 황태연;이창우;최돈묵
    • 한국화재조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12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담뱃불 화재 연소특성에 대한 사례분석, 대기 중에서 담뱃불이 연소되는 시간, 담뱃불이 연소될 때 온도측정, 훈소가 가능한 물질의 연소실험, 담뱃불 화재재현실험을 통해 담뱃불화재 특성을 파악하여 담뱃불화재 감식기법 도출하였다. 담뱃불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기 위해서는 산소공급, 가연물 조건 등을 충족할 때 화재로 진전됨을 알 수 있었으며, 반대로 그런 조건이 부합되지 않을 때는 쉽게 화재로 전이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쌀겨 분진의 훈소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oldering hazard of Rice bran dust.)

  • 이창우;김정환;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2-17
    • /
    • 1999
  • 쌀겨분진의 훈소위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연발화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료의 입도분포 및 시료량에 따른 쌀겨분진의 연소특성을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또한 자연발화 시험기 내부의 공기흐름에 따른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자연발화시험기 내부를 송풍과 무풍 상태로 하여 연소상태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쌀겨분진의 연소에 따른 발열개시온도는 약 18$0^{\circ}C$~219$^{\circ}C$ 범위에 있으며, 시료입도에 따른 훈소 개시온도의 차이가 크지는 않으나, 시료량이 증가함에 따라 훈소 개시온도가 다소 낮아지고 있었다. 또한 시료의 양이 증가할수록 훈소시 시료 내부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시료의 입도가 미세할수록 훈소시 시료 내부의 온도차는 다소 증가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한편, 시험기 내부가 송풍상태일 때 보다 무풍상태로 실험하였을 경우 훈소 개시시간이 다소 빨라지고 있으며, 발열온도도 크게 나타났다.

  • PDF

이온화식 연기감지기의 기류응답특성 연구 (A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ionization Smoke Detector Influenced by Air Stream)

  • 이복영;정길순;이병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9
    • /
    • 2003
  • 공조설비에 의한 실내기류 유동특성은 정상해석에 의해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의 예상 응답특성과 다른 기류 유동특성을 나타내어 기류변화에 따른 이온화식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지연을 규명, 성능위주의 화재감지설비 설계를 위한 기반기술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일정한 연기농도를 가진 기류의 풍속을 변화시켜 이온화식 연기감지기의 기류응답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결과 이온화식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은 기류속도와 반비례적인 관계가 있으며 기류속도가 60 cm/s 이상인 경우 응답특성이 예민하게 나타났다. 또한, 석유화학제품의 연소에 의한 연기에 비해 종이류의 훈소화재에 예민한 응답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Intelligent Fire Detection Algorithm for Fire Detector

  • Hong, Sung-Ho;Choi, Moon-Su
    •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 /
    • 제11권1호
    • /
    • pp.6-10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analysis for reducing the number of false alarms in fire detection system. In order to intelligent algorithm fuzzy logic is adopted in developing fire detection system to reduce false alarm. The intelligent fire detection algorithm compared and analyzed the fire and non-fire signatures measured in circuits simulating flame fire and smoldering fire. The algorithm has input variables obtained by fire experiment with K-type thermocouple and optical smoke sensor. Also triangular membership function is used for inference rules. And the antecedent part of inference rules consists of temperature and smoke density, and the consequent part consists of fire probability. A fire-experiment is conducted with paper, plastic, and n-heptane to simulate actual fire situ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lligent fire detection algorithm suggested in this study can more effectively discriminate signatures between fire and similar fire.

천연섬유분진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iton Properties of Natural Fiber Dust)

  • 이창우;김정환;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10
    • /
    • 1999
  • 천연섬유분진의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국내 방적공장의 집진기에서 직접 포집된 천연섬유분진을 열시차 및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분해 특성을 조사하였고, 자연발화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료의 입도분포 및 시료량에 따른 천연섬유의 연소특성을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또한 자연발화 시험기 내부의 공기흐름에 따른 연소특성을 조사하고자 송풍과 무풍 상태에서의 자연발화 또는 훈소특성을 조사하였다. 열분석 결과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발열개시온도가 현저히 낮았고 발열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천연섬유 분진은 시료량과 입도가 증가할수록 발열개시온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연소형태는 모두 훈소 상태를 보였다. 시험기 내부가 송풍상태일 때 보다 무풍상태로 실험하였을 때 발열개시온도가 약간 낮으며, 발열량도 크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