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ing crav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성인기 흡연유형과 흡연영향변인 (Types of Smoking in Adult Smokers and Influential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 장성옥;송준아;이수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7-90
    • /
    • 2008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influential variables on types of smoking in adult smokers, which have been derived from Q-stud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28 adult smokers at community settings in Seoul, South Korea from April 2006 to July 2006. To identify the influential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variables from the Trans-theoretical model(i.e., self-efficacy for smoking abstinence, smoking temptation, proces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pros and cons)) and nicotine dependency were analysed by ANOVA. Post-comparison tests were also done. Results: The scores of nicotine dependency and smoking temptation were higher in habitual craving types than any other types, while the scores of self-liberation and self-efficacy for smoking abstinence were higher in self control types than any other types. Conclusion: Specific smoking intervention methods for each of the smoking types needs to be developed, based on how different groups of individuals gets into a decisions to quit smoking within their contexts.

  • PDF

A Medicinal Herbal Tea Increases Success Rate and Reduces Withdraw Symptoms of Smoking Cessation in Men

  • Lee, Ho-Jae;Hur, Sung-Ho;Hur, Min-Soo;Lee, Yang-B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72-376
    • /
    • 2003
  • The efficacy of a medicinal herb tea (MHT) for assisting smoking cessation and for reducing withdrawal symptoms was evaluated by a placebo controlled subjective test in 100 male smokers. The MHT group experienced less craving for the taste of tobacco, and was more successful at quitting smoking. Among the subjects continuing to the final stage, 23 subjects (38.3 %) who took the MHT and 2 subjects (10.0 %) who took the placebo tea succeeded in quitting smoking. In the group taking MHT,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 increased during the first 2 weeks and then greatly decreased from weeks 2 to 4. The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 in the MHT group at week 0 was 38.6 mol/L but decreased to 24.5 mol/L by the end of week 4. MHT also reduced withdrawal symptoms, a frequent reason for failure in reducing or quitting smoking. The effects of the herbal tea on smoking cessation and withdrawal symptoms may be attributed to increased metabolism of nicotine and other effects of unidentified components of the herbal ingredients.

Smoking Initiation and Continuation - A Qualitative Study among Bruneian Male Adolescents

  • Talip, Tajidah;Kifli, Nurolaini;Murang, Zaidah;Naing, 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533-3540
    • /
    • 2016
  • Background: Cigarette smoking is one of the leading global causes of premature and preventable death. In Brunei Darussalam, smoking-related diseases have been a primary cause of mortality for the past three decades. Despite the increasing efforts that have been made in recent years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tobacco products in Brunei, the prevalence of adolescent smoking cigarette, however has risen alarmingly, from 8.9% in 2013 to 11.4% in 2014, with a higher prevalence found in males (17.8%) than in females (4.8%). In response to the need for more effective smoking prevention programmes in Brunei,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factors that influence Bruneian male adolescents to start and continue smoking. Materials and Methods: A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 discussions (FGDs) a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5. A total of 43 studentss, comprising 31 smokers and 12 non-smokers, aged 13-17 years, from two government secondary schools in Bandar Seri Begawan, participated in six FGDs. Discussions were recorded and translated. Transcripts were entered into NVivo10, before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We identified three themes under the core construct of 'factors influencing smoking initiation' ('family as teachers', 'overt pressure from peers' and 'perceived smoking has many advantages') and three themes under the core construct of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ontinuation' ('craving and addiction', 'smoking as a 'social activity' and 'easy accessibility of cigarette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prevention activities should be embedded in a comprehensive approach, involving all stakeholders within a community, and should be focused towards bringing a change in smoking and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social norms within the culture towards all population levels, and at strengthening the existing non-smoking policies in schools and other public places where young people congregate.

중년흡연남성의 금연단계에 따른 흡연유혹, 니코틴의존도 (Analysis of Smoking Temptation, Nicotine Dependency, Perceived Health Status corresponding to Stage of Change in Smoking Cessation in Middle Aged Men)

  • 장성옥;박창승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9-80
    • /
    • 2001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smoking temptation, stage of change in smoking cessation, nicotine dependen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middle aged men. Convenience samples of 176 subjects who were either smoked or used to smoke, aged between 30 to 64, living in Seoul and Kyungi province area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 1999 to June 30, 2000. The research instrument were Stage of Change of Smoking Cessation Measure (DiClemente et al. 1991). Smoking Temptation Measure (Velicer, DiClemente, Rossi, Prochaska. 1990), Perceived Health Status Measure (McDowell & Newell, 1996), and Nicotine Dependency Scale (FTQ: Fagerstrom, 1978).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comparison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he three sub-factors of smoking temptation; 'positive affect situation (F=12.64, p=.0001)', 'negative affect situation (F=16.01, p=.0001)', 'habitual craving situation (F=14.43, p=.0001)' and nicotine dependency (F=4.12, p=.0033) The mean score for smoking temptation for the subjects who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outweighed the mean score for smoking temptation for subjects who were in the maintenance stage. 2.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negative affect situ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f the smoking temptation sub-factors which can be used to discriminate stage of change. 3. The analysis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nicotine dependency and negative affect situation of smoking cessation((r=0.2182, p=0.0045) a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nicotine dependen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r=-0.2115, p=0.0059).

  • PDF

금연실천단계의 영향변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Stages of Change in Smoking Cessation)

  • 장성옥;박창승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91-401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ables that influence smoking cessa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Methods: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tages of change in smoking cessation were selected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176 men aged 30-64 who smoked, Data collection was done in community settings in Seoul and vicinity, Korea between December, 1999 and June, 2000.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analysis using the pc-SAS program. Results: According to the logit model, the influence of significant variables on stage of change for smoking cessation suggest that ; When the scores for Pros in decision making for smoking cessation are high,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s are in the action,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stage of change will be lower than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s are in the maintenance stage of change. When the scores of habitual craving in smoking temptation is high,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s are in the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stage of change will be higher than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s are in the maintenance stage of change. When the scores of smoking temptation in negative affect situations are high,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s are in the contemplation stage of change will be higher than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s are in the maintenance stage of change. When the scores of cognitive process in the process of change are high,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s are in the contemplation stage of change will be higher than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s are in the maintenance stage of change. Conclusions : Th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on smoking are main barriers to smoking cessation.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based on stage that focus on increasing motivation and intention for smoking cessation need to be developed.

  • PDF

지역금연지원센터 등록 남자 대학생의 니코틴 의존도 관련요인 (Factors Influencing Nicotine Dependence of Male College Students Registered at A Smoking Cessation Supportive Center)

  • 허혜경;김기연;송희영;고상백;천주영;김기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68-379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icotine dependence among male college students intending to quit smoking on the basis of the PRECEDE model.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of smokers, enrolled at the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 in W city in Korea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2015 and December 2016.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bivariate analys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nicotine dependence was determined to be 2.9. Tobacco craving (β =.34, p<.001), social smoking (β =-.23, p=.004), allowance (β =.22, p=.010) and age of smoking initiation (β =-.20, p=.022) were factors that predicted nicotine dependence of male college students. The final model explained 28.3% of the variation in nicotine dependence (adjusted R2=.28), and was significant (F=7.22, p<.001). Conclusions: We determined that to support smoking cess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ti-smoking programs that consider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f male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ir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흡연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 증상 및 혈청 Prolactin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Clinical Symptoms and Level of Serum Prolactin in Schizophrenic Patients)

  • 우행원;임원정;연규월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2호
    • /
    • pp.143-150
    • /
    • 1997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흡연성향 및 흡연이 임상양상이나 증상, 혈청 prolactin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군과 비흡연군의 연령, 발병연령, 이환기간, 복용하는 항정신병 약물 및 항파킨슨 약물의 용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기호 식품인 커피를 매일 한잔이상 마신다고 답한 경우가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2) 흡연 이유는 긴장 완화(85.7%), 권태로움을 피하고 싶어서(45.2%), 습관(38.1%),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어서나 또는 친구를 모방(23.8%)하여 담배를 피운다고 응답했다. 80.1%가 금연을 시도했었으나, 94%에서 craving때문에 금연에 실패하였다. 금단증상으로 불안감(52.9%), 정신과적 증상의 악화(23.5%), 환청의 악화(8.8%), 약물부작용의 악화(14.7%), 졸리움의 증가(47.1%)등이 있었다. 3) BPRS 총점수는 흡연군과 비흡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불안척도가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HAM-D에 의한 우울증상 및 SCL-90-R의 대인관계 민감도 항목과 공포증 항목이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PANSS. AIMS는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흡연군에서는 혈청 prolactin이 비흡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p<0.01) 공변량분석결과 흡연이 혈청 prolactin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정신 분열병 환자에서 금연 유도시 적절한 항불안 약물이나 항우울 약물의 일시적인 병합치료로서 금단증상을 최소화 시켜야 하며, 환자들의 낮은 자존심 및 높은 의존심을 충족시키는 정신치료가 병행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hromatography를 반복(反復)하여 stilbene 계열(系列)의 화합물(化合物)인 Rhapontigenin (Compound 1)과 Rhaponticin (Compound 2)을 얻었다. S. aureus SG 511에 대(對)해 Rhapontigenin은 50 mg/ml 이상(以上) 농도(濃度)에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고, Rhaponticin은 $200\;mg/m{\el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으며, B. subtilis ATCC 6633에 대(對)해 Rhapontigenin은 50 mg/ml 이상(以上) 농도(濃度)에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고, Rhaponticin은 200 mg/ml 농도(濃度)에서 우수(優秀)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으며, 100 mg/m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또한 E. coli 055에 대(對)해서는 Rhapontigenin과 Rhaponticin 모두 200 mg/m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의 항균(抗菌) 효능(效能)은 군약(君藥)인 대황(大黃)의 성분(成分) 중(中)의 하나인 stilbene 계열(系列)의 화합물(化合物)인 Rhapontig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主)로 작용(作用)하는 약물(藥物)이라는 것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사료(思料)된다.

  • PDF

남자 중.고생의 흡연과 음주습관이 영양소 섭취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oking and Drinking Habits on the Nutrient Intakes and Health of Middle and High School Boy Students)

  • 신경옥;안창훈;황효정;최경순;정근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94-70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남자 중 고생을 대상으로 흡연과 음주 현황을 조사하여 흡연 유무에 따라 비흡연군 (199명), 흡연군(11명), 흡연 음주군(52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흡연과 음주습관, 식생활 관련사항 및 영양섭취상태 등을 조사하여 흡연과 음주습관이 식생활 습관, 영양소 섭취상태 및 건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신장 및 체중은 각각 $173.5{\pm}6.8\;kg$, $64.83{\pm}11.8\;cm$로 신장은 한국인 체위 기준치에 비해 1.5 cm 이상 더 컸으며, 체중은 1.0 kg 정도 높게 조사되었고, 전체 조사대상자의 체질량지수의 평균값은 $21.4{\pm}3.7\;kg/m^2$정도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89% 이상이 건강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3.5%의 청소년이 자신만의 건강유지 비결로 규칙적인 운동을 가장 많이 손꼽았다. 또한 66.0%의 청소년이 실제로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일주일에 평균 3번 정도한다고 답한 전체 응답자는 37.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1회 운동 시 평균 운동시간은 30분${\sim}$1시간 정도가 가장 많은 비율(46.3%)을 차지하였다. 흡연자 63명 중 음주를 하는 학생이 52명 82.5%이었으며, 11명 17.5%만은 흡연만 하여 본 연구결과에서 보면, 흡연을 하는 경우 음주를 동시에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5.6%의 남자 중 고생은 중학교 때 흡연을 시작하였으며, 흡연 동기는 38.1%가 호기심으로 시작했다고 답하였다. 특히 배고플 때 흡연욕구를 강하게 느꼈으며, 흡연 장소로는 화장실이라고 답하였다. 흡연기간은 6개월에서 1년 사이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하루 흡연량은 하루에 $5{\sim}10$개피를 핀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금연을 하기 위해 시도했던 방법으로는 그냥 참은 경우가 69.0%였으며, 금연에 실패한 이유로는 의지부족이 44.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금연의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87.1%가 금연을 하고 싶다고 답하였으나, 금연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참여하겠느냐는 질문에는 단지 56.7%만이 참여하길 원하였다. 흡연 음주군에서 음주 시작 시기는 50.0%가 고등학교 때 시작하였으며, 사교적 필요성에 의해서 음주를 시작하였다고 답하였다. 음주는 주로 지정된 장소에서 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반 이상의 남자 중 고생이 한 번에 마시는 술의 양은 소주 한 병이하라고 답하였다. 음주의 욕구를 강하게 느낄 때는 친구가 술을 먹을 때라고 답하였으며, 금주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단지 40.4%만이 금주를 하겠다고 답하였다. 34.4%의 아동이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아침식사를 전혀 하지 않는 결식률도 16.4%나 되었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이유로는 47.0%가 '아침시간이 바빠 시간이 없어서'라고 답하였으며, 건강상의 문제를 고려해 볼 때 결식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사료된다. 과식을 하는 이유로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52.5%가 좋아하는 음식이 많아서 과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흡연 음주군에서 과식을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간식의 경우 하루에 $1{\sim}2$회 한다는 전체 청소년의 비율이 72.6%를 차지하였으며, 간식으로 섭취하는 식품으로는 비흡연군에서는 빵류 및 감자 40.2%, 패스트푸드 및 튀김식품을 30.7%로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며(p<0.05), 흡연군에서는 탄산음료 및 빙과류를 간식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36.4%나 되었고, 흡연 음주군에서는 과일류(38.5%)와 패스트푸드 및 튀김식품(26.9%)을 간식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자 중 고생이 주식으로 섭취하는 탄수화물 식품의 섭취비율 중 비흡연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해 잡곡과 현미를 각각 45.7%와 36.2%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흡연 음주군에서는 과일을 자주 섭취하는 비율이 9.6%로 매우 낮았으며(p<0.05), 50.0%가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활 평가에서는 흡연군에서 삼겹살, 갈비 등 지방이 많은 육류를 주 2회 이상 먹는 비율이 높았으며, 아이스크림이나 과자, 탄산음료를 주 2회 이상 간식으로 자주 먹는 비율도 54.3%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전체적인 영양소 섭취상태는 $15{\sim}19$세 청소년의 영양섭취기준에 제시한 기준치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열량 섭취의 경우 비흡연군에 비해 흡연군과 음주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특히 흡연 음주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해 인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5), 콜레스테롤(p<0.05)과 소디움(p<0.05) 섭취량은 흡연군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들이 흡연과 음주를 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친구나 학교 선 후배 등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충동적인 호기심에 의해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 흡연과 음주가 건강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또한 흡연을 하는 경우 음주를 동시에 하는 남자 중 고생이 82%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의 흡연과 음주 실태는 심각한 사회 문제라 할 수 있으며, 식생활 습관도 음주 흡연군에서는 과일 섭취가 낮은 반면 고열량 식품 선호 및 과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흡연군에서는 육류 및 가공식품등의 섭취가 높았다. 따라서 선행연구(6)에서도 지적했듯이 친구들의 흡연과 음주의 권유를 단호하게 거절할 수 있는 대처방법을 습득시키거나 흡연과 음주의 욕구를 느낄 때의 실질적인 대처 수단 및 금연을 하는 구체적인 방법 등의 현실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흡연과 음주로 인해 발생되는 편식이나 과식 등의 잘못된 식습관을 바로 잡아 청소년의 성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균형적인 영양섭취가 중요하며, 영양적인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교육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 시기에 먹거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건강에 유익하고, 안전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감각을 습득시키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