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 densit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2초

공기흡입형 연기감지장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ir Sampling Smoke Detector)

  • 이복영;이병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86-91
    • /
    • 2003
  • 공기조화설비가 설치된 감시공간에서의 화재 시 열$.$연기기류의 유동형상은 정상 유동해석과 다른 기류 유동형상을 나타내어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지연 해결 및 연기감지농도를 향상, 화재초기에 경보를 발생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성능위주의 화재감지장치 개발을 위한 필요성에 의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높은 연기응답특성을 가지며 공기순환에 의한 응답특성지연에 영향을 받지 않는 능동형태의 연기감지장치로서 감시공간의 공기를 공기흡입관을 통하여 연기농도 분석장치로 흡입하여 연기를 감지하는 공기흡입형 광전식 연기감지장치 개발에 필요한 연기농도 분석기술 및 공기흡입관을 통한 균등 공기흡입기술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기흡입배관에 설치된 흡입구를 통한 공기흡입이 균등하게 이루어져 균일한 감도특성을 나타내어 공기순환에 의한 연기감지의 지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연기감지성능은 수동형태의 연기감지기보다 우수한 응답특성을 나타내었다.

졸-겔법으로 제조된 방염제졸의 연기밀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moke Density Characteristics of Flame Retardant Sol Manufactured by a Sol-gel Method)

  • 조경래;이춘하;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11-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내에 사용되는 실내장식물의 가연성으로 인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무기물의 실리케이트와 유기물의 실란커플링제를 졸-겔법으로 합성하여 방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비할로겐 방식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염제졸을 새롭게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염제졸의 성능확인을 위해 방염성능기준에 의거한 연기밀도 측정기준인 ASTM E 662의 시험장치 및 절차에 따라 훈소모드 실험 및 불꽃모드 실험을 진행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방염제졸은 기존의 방염제의 물성과 내열성능을 높여 화재 시 연기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실내장식물에서도 확대적용 함으로써 연기에 의한 피해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된다.

Desalting of papermaking tobacco sheet extract using selective electrodialysis

  • Li, Chuanrun;Ge, Shaolin;Li, Wei;Zhang, Zhao;She, Shike;Huang, Lan;Wang, Yaoming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8권4호
    • /
    • pp.381-393
    • /
    • 2017
  • The inorganic components in tobacco sheet extrac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nsory taste of the cigars and the harmful component delivery in cigarette smoke. To identify the contributions of the divalent inorganic components on harmful components delivery in cigarette smoke, a self-made selective electrodialysis was assembled with monovalent ion-selective ion exchange membranes. The influences of current density and extract content on the desalination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Result indicates that the majorities chloride, nitrate, and sulfate ions were removed, comparing with 50-60% of potassium and only less than 10% of magnesium and calcium ions removed in the investigated current density. The permselectivity of the tested cations across the Selemion CSO cation exchange membranes follows the order: $K^+>Ca^{2+}>Mg^{2+}$. A current density of $15mA/cm^2$ is an optional choice by considering both the energy consumption and separation efficiency. When the extract contents are in the range of 7%-20%, the removal ratios the potassium ions are kept around 60%, while the removal ratios of the calcium and magnesium ions fluctuate in the range of 16-27% and 8-14%, respectively. The tobacco smoke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divalent metal ions have dual roles for the harmful component delivery in cigarette smoke. The divalent potassium and calcium ions were unfavorable for the total particulate matter emission but beneficial to decrease the HCN delivery in the mainstream cigarette smoke. The selective electrodialysis is a robust technology to decrease the harmful component delivery in cigarette smoke.

지하철 본선터널 제연성능 실물 실험 (Full-Scale Test of Smoke-Control Performance of a Subway Tunnel)

  • 박원희;이덕희;정우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94-102
    • /
    • 2011
  • 지하철 본선터널에서 고온 연기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온의 화재연기를 모사하기 위하여 약 1.0MW의 알콜트레이 및 연기발생장치를 이용하였다. 화재발생후 9분 후에 터널내에 설치된 팬이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화재 연기가 제어되는지를 확인하였다. 터널내의 주요 위치에서의 풍속, 풍향, 온도 및 연기농도 등을 측정하여 이를 화재안전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화재 인근의 천장부분의 풍속 측정값으로 연기의 속도를 구하였으며, 위치별 제연기류가 형성되는 시간이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계측된 풍속분포를 이용하여 지하철 본선터널 제연설비 성능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의 경계값 및 비교결과로 활용될 것이다.

지하철터널 환기변환모드에 따른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evaluation by changing smoke ventilation mode in subway tunnels)

  • 이동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389-400
    • /
    • 2003
  • 본 연구는 지하철방재대책의 일환으로 터널구간에 설치된 환기기의 제연절환 운전모드 및 승강장 선로부 환기장치를 포함한 6종류의 제연운전모드를 대상으로 승강장에 정차된 열차화재 시나리오에 따라 3차원 실시간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제연방식별 열 및 연기전파특성을 규명함으로서, 승강장에서 열차 화재 발생시, 승객이 안전하게 최적 대피가 가능한 환기기의 제연절환 조합운전의 도출을 목표로 한다.

  • PDF

Enthalpy Equation을 이용한 고층 건물의 제연해석 (Numerical Analysis of Smoke Control for high-rise Building Considering with the Enthalpy Equation)

  • 배승용;노경철;고권현;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27-32
    • /
    • 2010
  • 최근 도시 중심의 산업화에 의한 도시 내 인구 밀도의 증가는 생활환경의 고밀화, 집적화를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도시 내에는 다수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고층 건축물이 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고층 건물은 건물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화재발생 시 수직적 통로를 통한 연기확산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높은 인명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고층건물의 제연해석을 위해 개발된 ASCO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엔탈피 보존방정식을 추가하여 에너지 전달을 고려한 제연해석 프로그램(CAU_ESCAP)을 개발하였다. CAU_ESCAP는 ASCOS의 제연해석결과와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을 하였으며, 건물 내 화재 발생에 대해 적용하여 건물 내 제연 특성을 분석하였다.

절차적 함수를 이용한 연기 모델링 및 렌더링 기법 (Smoke Modeling and Rendering Techniques using Procedural Functions)

  • 박상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905-912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가상현실은 오큘러스로 대표되는 저가의 웨어러블 장치의 보급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현실적인 위험성 문제로 실질적인 훈련이 거의 불가능한 재난 대피 훈련의 경우 가상현실은 효과적인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대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로 구현되는 화재 대피 훈련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는 연기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화재 발생 시 연기는 통로를 따라 확산되고 시간에 따라 연기의 밀도가 변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산한 연기의 밀도값을 실시간으로 모델에 반영할 수 있는 절차적 함수를 적용하여 연기를 모델링한다. 공장을 배경으로 구현한 결과를 보면 제안하는 방법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연기의 변화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산불화재 감식을 위한 연소생성물의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Combustion Products for Forest Fire Investigation)

  • 박영주;이해평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1-119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applicable to fire investiga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combustion products and propose vulnerability of combustibles through analysis of $CO_2$ emiss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products such as smoke release rate of each part(raw leaves, branches and barks), $CO_2$ emission and ash production were considered targeting on 6 oak species(Quercus variabilis Blume, Quercus aliena Blume, Quercus serrata, Quercus mongolica Fisch, Quercus dentata Sapling and Quercus acutissima) using cone calorimeter and smoke density test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aw leaves release smoke more relatively than branches and barks, when they burn, and that Quercus variabilis Blume has the highest smoke density. Also, Quercus acutissima released CO and $CO_2$ which are respectively, 6.67 times and 1.43 times more than Quercus variabilis Blume with low $CO_2$ emission. In addition, branches released CO and $CO_2$ more relatively.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ash production among raw leaves(3.1 g), branches(10.5 g) and barks(16.43 g). It was identified that Quercus serrata produces ashes which are nearly 9.95 times more than Quercus variabilis Blume. It demonstrates that Quercus serrata contains relatively higher minerals and that Quercus variabilis Blume can leave lots of traces like stain and carbonization, as it releases smoke a lot and it's difficult to predict visibility, when a forest fire breaks out in its community area. It is also considered that smoke particles containing oil in the air leave strain on the surface of a tree, and that CO and $CO_2$ emission increases, when crown fire to burn branches breaks out.

PCA를 이용한 연기 영상의 가시도 측정 (Measurement of the Visibility of the Smoke Images using PCA)

  • 유영중;문상호;박성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474-1480
    • /
    • 2018
  •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다양한 대피 통로가 존재하며 각 대피 통로의 안전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고층 빌딩 화재 시 거주자들에게 신속히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 파악을 위해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대피 통로의 가시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영상에서 연기를 검출한 후 검출된 연기의 밀도를 알 수 있다면 가시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지만, 연기 검출이나 연기 밀도 측정에 관한 적절한 방법이 없어 이러한 접근법을 사용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배경 영상을 추출하고 이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주성분 분석 학습을 한다. 이후 입력으로 주어지는 영상에서 배경 영상과 연기 영상을 추출하고 학습된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새로운 특징 공간으로 사상한 후 변화량을 계산하여 연기로 인한 가시도를 측정한다.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each Coating Thickness of Fire Retardant Paints)

  • 김홍;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6-4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구 및 트레이에 설치된 케이블의 화재시 화염전파를 막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기밀도(ASTM E 662)와 산소지수 (ASTM D 2863) 시험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난연도료의 연소특성은 다음과 같다. (a) 난연도료의 최적 두께는 수성계의 경우 1.5∼2mm, 유성계의 경우 0.2mm 것으로 나타났다. (b) 연기밀도는 Non-flaming방식보다 Flaming방식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c) 연기밀도와 산소지수를 측정한 결과 수성계 난연도료가 유성계 난연도료 보다 연소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d)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산소지수가 규격(30이상)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