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lax china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5초

환경오염(環境汚染)에 의한 울산지역(蔚山地域)의 삼림생태학적(森林生態學的)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cological Changes of the Forest Community by the Pollution at a Ulsan District)

  • 김태욱;박인협;이경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60-69
    • /
    • 1982
  • 환경오염(環境汚染)에 따른 삼림(森林)의 생태변화(生態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울산공단(蔚山工團)의 오염원(汚染源)에서부터 거리에 따른 조사지역(調査地域) 5곳을 설정(設定)하여, 각(各) 조사지역간(調査地域間)의 삼림군집구조(森林群集構造)를 비교(比較)하였다. 공단내(工團內)의 삼림군집(森林群集)에서의 출현수목종수(出現樹木種數)는 3종(種)이고, 7km 떨어진 피해(被害)가 거의 없는 삼림(森林)에서는 20종(種)이었다. 대기오염원(大氣汚染源)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출현종수(出現種數), 개체수(個體數), 종다양도(種多樣度), 균재도(均在度)가 증가(增加)되며,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는 감소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삼림식생중(森林植生中)에서 오염(汚染)에 강(强)한 수종(樹種)은 청미래덩굴, 아까시나무 등이고, 오염(汚染)에 민감한 수종(樹種)은 굴참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자귀나무 등이었다.

  • PDF

도시공원녹지의 입지환경과 토양특성이 식생구조와 수목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ree Vitality of Urban Park and Green Open Space)

  • 김석규;박승범;남정칠;김승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30-44
    • /
    • 2002
  •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 of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effect on the condition of urban forest in Urban Park and Green Ope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allows; 1. Soil acidity is indicated pH 3.88 in Sasang park, pH 4.38 in Hwaji park, pH 4.40 in Daeyeon park, pH 4.68 in Sanseong amusement park, pH 5.15 in Molundae amusement park. 2.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indicated Sasang park 0.9932, Hwaji park 1.1975, Daeyeon park 1.2160, Sanseong amusement park 1.3080, Molundae amusement park 1.3233 is due to location and soil environment in addition to air pollution effects. 3. The vitality of Pinus thunbergii 27.5ER in Sasang park, 24.9ER in Hwaji park, 24.5ER in Daeyeon park, 23.6ER in Sanseong amusement park, 21.0ER in Molundae park. This shows that tree vitality are impacted by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result above, vegetation devices are suggested : 1) Robinica pseudo-acacia management, 2) removing the hazard plants; Smilax china, Humulus japonicus, Pueraria thungergiana, 3) improving soil hardness and soil acidity.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식생형과 종다양성 패턴 (Vegetation Types and Diversity Pattern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outh Korea)

  • 조현제;이창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118-123
    • /
    • 2011
  •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잔존하고 있는 소나무림 315개소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와 TWINSPAN 집락분석 및 DCA ordination 분석을 통하여 식생유형을 구분하고, 식생유형별 식물상 및 종조성 특성 그리고 종다양성 패턴 등을 분석하였다. 식생형은 크게 신갈나무형과 졸참나무형 등 2개의 상위단위와 8개 그룹의 하위단위로 유형화되었다. 식물상 조성에 있어서 종 및 속 수준에서의 풍부도는 국화과(21속, 45종)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백합과(18속, 34종), 장미과(17속, 34종), 콩과(15속, 25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종풍부도, 다양성 및 균등도 등의 다양성 패턴은 식생형 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해발고도에 따라 종풍부도는 일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종균등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편백인공림(人工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ructure of Vegetation in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s)

  • 구관효;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93-407
    • /
    • 1991
  • 우리나라 남부지역(南部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편백에 대(對)한 효과적(效率的)인 조림(造林), 무육(撫育) 및 갱신방법(更新方法)을 적용(適用)하기위한 기초적(基礎的)인 자료(資料)를 얻고자 상층(上層)편백과 중(中), 하층(下層)편백의 밀도(密度), 출현종조성(出現種組成), 그리고 식생구조(植生構造)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을 용약(要杓)하면 다음과 같다. 1. 편백임내(林內)에서 중요도비율(重要度比率)이 높은 수종(樹種)은 사스레피나무, 개옻나무, 편백, 비목, 서어나무, 때죽나무, 가막살나무, 초피나무, 청미레덩굴 등(等)이었으며, 편백치수(稚樹)의 중요도비율(重要度比率)은 하층(下層)에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중층(中層)에서는 그 값이 점차 감소(減少)하였다. 2. 상층(上層)편백의 기저면적(基底面積)과 중(中), 하층(下層)의 편백천연치수(天然雉樹)의 밀도간(密度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어 상층(上層)편백의 피도(被度)가 하층(下層) 편백의 밀도(密度)에 유의적(有意的)인 영향(影響)을 주었다. 3. Raunkiaer의 빈도분포(頻度分布)는 하층(下層)보다 중층식생(中層植生)에서 A급(級)과 B급(級)의 비율(比率)이 높았다. 4. Morisita 지수(指數)에 의(依)하면 편백, 개옻나무, 비목, 청미레덩굴, 작살나무, 생강나무는 하층(下層)에서 임의분포(任意分布) 하지만 중층(中層)에서는 집중분포(集中分布)하였으며, 사스레피나무, 가막살나무는 중(中), 하층(下層) 모두에서 임의분포(任意分布)하고 있었고 서어나무, 초피나무, 소태나무는 집중분포(集中分布)하고 있었다. 5. 출현종수(出現種數)와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는 동부지역(東部地域) 조사구(調査區)보다 서부지역(西部地域) 조사구(調査區)에서 증가(增加)되였다. 6. 종다양도(種多樣度) 지수(指數)는 중층(中層)보다 하층(下層)이 높은 값을 나타내어 하층(下層)이 중층식생(中層植生)보다 출현종간(出現種間) 개체수(個體數)가 균일(均一)하게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7. 유사도(類似度) 지수(指數)를 사용(使用)한 cluster 분석(分析)에서 내륙지역(內陸地域) 조사구(調査區)와 해안지역(海岸地域) 조사구(調査區)로 구분(區分)되었다. 8. 상이도(相異度) 지수(指數)를 이용(利用)한 ordination 분석(分析)에서 중층(中層)과 하층식생(下層植生)으로 분리(分離)되었고, 중층(中層)보다는 하층식생(下層植生)이 더 진행(進行)된 천이상태(遷移狀態)를 보였다. 9. 편백임분내(林分內)에서 사스레피나무는 쇠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노각나무, 팥배나무, 대패집나무, 천선과나무, 마삭줄 등(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고, 초피나무, 서어나무, 담쟁이덩굴과는 부(負)의 상관(相關) 보였다. 10. 편백림(林)의 생산성추정(生産性推定)에서 SC와 VP값은 상층(上層)편백이 94.51%, 99.63% 이었으며, 중층식생(中層植生)은 5.49%, 0.37%를 나타내었는데 그 중(中)에서 사스레피나무, 비목, 개옻나무, 서어나무, 때죽나무 순(順)으로 물질생산성(物質生産性)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 서해안의 내염성 및 내조성 자생수종 (Native Tree Species of Tolerance to Saline Soil and Salt Spray Drift at the Coastal Forests in the West-Sea, Korea)

  • 김도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9-221
    • /
    • 2010
  • 본 연구는 해안 염해지 수목 식재를 위한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을 선발하고자 한국 서해안 해안림의 식생조사와 토양염분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지의 토양염분은 전체 평균 $EC_{1:5}$ 0.11dS$m^{-1}$이었고, 최저 0.00dS$m^{-1}$, 최고 0.68dS$m^{-1}$이었다. 토양염분($EC_{1:5}$)은 해안 정선으로 부터 내륙 방향으로 갈수록 낮았으며, Ⅰ지대>Ⅱ지대>Ⅲ지대>Ⅳ 지대 순으로 각각 $EC_{1:5}$ 0.14dS$m^{-1}$, 0.11dS$m^{-1}$, 0.10dS$m^{-1}$, 0.08dS$m^{-1}$이었다. 출현한 자생식물은 52과 104속 24변종 157종 총 181분류군이었다. 토양염분이 가장 높은 단계인 $EC_{1:5}$ 0.51dS$m^{-1}$를 초과하는 곳에서 EC의 특이값 또는 이상치의 수준으로 여러 번 출현하는 수종은 곰솔, 청미래덩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이었다. $EC_{1:5}$ 0.41~0.50dS$m^{-1}$에서는 $EC_{1:5}$ 0.40dS$m^{-1}$ 이하에 속하는 식물들 이외에도 왕자귀나무, 멀구슬나무, 계요등으로 출현빈도가 매우 낮았다. 전체 지대에 출현하는 수종은 리기다소나무, 소나무, 곰솔, 노간주나무 등 이었고, 중요도가 높은 수종은 소나무, 곰솔, 이대, 청미래덩굴, 굴피나무 등이었다. 이러한 수종은 조사지의 자생 수종들 중에서 다른 수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조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길도(甫吉島) 붉가시나무림(林)의 군락생태학적(群落生態學的) 연구(硏究) (Community Ecological Study on the Quercus acuta Forests in Bogildo-Island)

  • 김종영;이정석;오광인;장석기;박진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18-629
    • /
    • 2000
  • 난대림(暖帶林) 육림(育林)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提供)하고자 붉가시나무군락(群落)이 가장 발달되어 있는 보길도(甫吉島)에서 1998년 7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붉가시나무가 우점(擾古)하는 임분(林分)을 대상으로 군락생태(群落生態)를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硏究)에 의해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붉가시나무군락지(群落地)의 종구성(種構成)은 54과(科) 91속(屬) 113종(種) 9변종(變種) 1품종(品種) 등 모두 123종류(種類)가 출현(出現)하였고, 이중 상록성(常綠性) 식물종(植物種)은 모두 45종(種)이었으며, 모든 조사구(調査區)에서 공통(共通)으로 출현(出現)한 종(種)으로는 동백나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청미래덩굴, 마삭줄 및 그늘사초의 6종(種)이었고, 생달나무, 자금우, 보춘화, 족제비고사리, 덜꿩나무 등 5종(種)의 출현빈도(出現頻度)가 80%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임관(林冠) 상층(上層)의 교목층(喬木層) 식피율(植被率)은 85% 이상으로 붉가시나무, 잣밤나무류(類), 참가시나무, 곰솔, 산벚나무의 순(順)으로, 아교목층(亞喬木層)에서는 동백나무, 광나무, 붉가시나무, 사스레피나무, 잣밤나무류(類)의 순(順)으로, 하층(下層)의 관목층(灌木層) 식피율(植被率)은 20% 내외로 동백나무, 광나무, 청미래덩굴, 생달나무, 덜꿩나무의 순(順)으로, 초본층(草本層)에서는 마삭줄, 자금우, 그늘사초, 동백나무(치수(稚樹)), 붉가시나무(치수(稚樹))의 순(順)으로 각각 중요치(重要値)가 높게 나타났다. 3. 붉가시나무군락(群落)은 평균(平均) 토양산도(土壤酸度)(pH) 5.00, 평균(平均)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6.42%인 토양환경에서 군락이 발달하고 있었으며, 본(本) 도(島)의 남사면(南斜面), 서사면(西斜面), 북사면(北斜面) 및 동사면(東斜面)의 분포(分布) 순(順)으로 생장(生長)이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양수(陽樹)의 특성(特性)을 갖고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4. 임내(林內)의 평균(平均) 상대조도(相對照度)(RI)는 0.89%로서 미명(未明)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붉가시나무의 엽면적(葉面積)이 다른 상록활엽수(常綠闊葉樹)들에 비해 크고, 분지(分技)된 맹아(萌芽)의 발달로 임관(林冠) 상층(上層)의 피복율(被覆率) 높아짐에 따라 임내(林內) 수광량(受光量)이 현저히 낮아져 나타난 결과이며, 지표층(地表層) 식생(植生)의 분포(分布)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要因)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5. 군락(群落) 내(內) 붉가시나무의 흉고직경(胸高直徑) 분포(分布)를 분석한 결과 교목층(喬木層), 아교목층(亞喬木層)모두 역J자형(逆J字形)의 분포(分布)를 보이고 있어 군락의 유지가능성(維持可能性)이 불투명(不透明)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6. 붉가시나무의 연륜폭(年輪幅)을 분석한 결과 년평균(年平均) 직경생장량(直徑生長量)은 2.44mm로, 맹아지(萌芽枝)의 발생초기(發生初期)인 1~12년 사이에는 완만하게 생장(2.04mm)하다 맹아지가 임관(林冠) 상층(上層)에 도달하는 13년 이후부터 22년까지 가장 높은 생장량(2.95mm)을 기록하였고, 이후부터는 생장량이 완만하게 감소(減少)하거나 정체(停滯)되는 경향(2.41mm)을 나타냈다.

  • PDF

백두대간 도로 절토비탈면의 녹화수종 선정 (Selection of Replantation Species in Roadside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 송호경;전기성;김남춘;박관수;권혜진;이지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2-59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roadside. In the cutting-slope area and upper forest area of the cutting-slope area, sample plots of 46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We found total 90 species in the 46 plots. We found Festuca arundinacea in 27 plots of the 46 plots. We also found Lespedeza bicolor in 26 plots, Eragrostis curvula in 22 plot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n 19 plots, Erigeron annuus and Pinus densiflora in 15 plots,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in 14 plots, Miscanthus sinensis in 13 plots, Oenothera odorata, Commelina communis, and Humulus japonicus in 11 plots, Lespedeza cuneata in 10 plots, Salix koreensis and Salix hulteni in 9 plots, Festuca rubra, Youngia denticulata, Aster scaber, and Festuca arundinacea in 8 plot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in 7 plots, Patrinia villosa and Erigeron canadensis in 6 plots, and Setaria viridis, Digitaria sanguinalis, and Dactylis glomerata in 5 plots.The dominancy of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Lespedeza bicolor, Miscanthus sinensis, Pinus densiflora, Festuca arundinacea, Festuca rubr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rigeron annuus, Lespedeza cuneata, Dactylis glomerata, Salix koreensis, Alnus hirsuta, Pueraria thunbergiana, Medicago sativa,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and Digitaria sanguinalis were 13.41% 11.87%, 4.88%, 4.56%, 3.38%, 2.29%, 2.14%, 2.14%, 1.99%, 1.95%, 1.54%, 1.47%, 1.44%, 1.37%, 1.15%, 1.13%, 1.07% in the roadside cutting-slope, respectively. The dominancy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Lindera obtusiloba, Rhus trichocarpa, Quercus mongolica, Lespedeza bicolo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Quercus serrata 22.15%, 13.36%, 13.14%, 12.03%, 11.74%, 11.20%, and 11.14% in shrub layer of the upper forest area, respectively. The specie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Lindera obtusiloba, Rhus trichocarp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Zanthoxylum schinifolium, Weigela subsessilis, Stephanandra incisa, Rhamnus davurica, Ligustrum obtusifolium, Lindera erythrocarpa, Rosa multiflora, Rubus coreanus,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Smilax china, Prunus sargentii, and Staphylea bumalda may be more helpful in stabilizing of the cutting-slope area and making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forest area.

토복령알코홀추출물의 항진균작용 (Effects of Chinae Rhizoma Extracts on the Growth of the Dermatophytes)

  • 이종화;송병숙;조선희;김정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9-45
    • /
    • 1973
  • The majority of drugs used in the treatment of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has limited values due to its low efficacy or development of resistance.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efficacious agent on the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induced by dermatophytes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malicious one, authors examined whether Chinae Rhizoma Extracts have significant on it. Extracts from Smilax china Linne used for the study are water extract (CRWE), ethanol extract (CREE) and methanol extract (CRME). In in vitro studies, the spores of the dermatophytes were inoculated on Sabouraud's glucose agar media which contained three extracts of Chinae Rhizoma in each concentration of $500\;{\mu}g/ml$, $1,000\;{\mu}g/ml$ and $5,000\;{\mu}g/ml$ respectively, and also $1,000\;{\mu}g/ml$ of salicylic acid and undecylenic acid $1,000\;{\mu}g/ml$ as comparable drugs. The growth of the dermatophytes were observed for 3 weeks. The species of the dermatophyt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Epidermophyton floccosum, Microsporum canis, Microsporum cookei, Microsporum gypseum, Microsporum nan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tonsurans and Trichophyton verrucosum distributed from The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in Belgium. The results of the studies were as follows: 1.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ere slightly inhibited in CRWE $1,000\;{\mu}g/ml$ and CRWE $5,000\;{\mu}g/ml$, and only slight inhibition on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and M. gypseum were observed in CRWE $5,000\;{\mu}g/ml$. 2. Complete inhibition of T. rubrum, moderate inhibition of M. nanum & T. tonsurans, and slight inhibition of E. floccosunl, M. canis, M. cookei & T. mentagrophytes in growth were observed in concentration of CREE $500\;{\mu}g/ml$. The growth of M. gypseum was slightly inhibited, moderate inhibition on the growth of M. canis, M. cookei & T. mentagrophytes, and complete inhibition of E. floccosum, M. nanum, T. rubrum & T. tonsurans in growth were observeed by CREE $1,000\;{\mu}g/ml$. With $5,000\;{\mu}g/ml$ of CREE,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M. cookei, M. gypse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ere completely inhibited except T. verrucosum being showed slight inhibition. 3. In CRME $500\;{\mu}g/ml$, slight inhibition of T. verrucosum, moderate inhibition of M. gypseum and complete inhibition of E. floccosum, M. canis, M. cookei,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in growth were observed.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M. cookei, M. gypseum,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ere completely inhibited except T. verrucosum being showed moderate inhibition in both CRME $1,000\;{\mu}g/ml$ and CRME $5,000\;{\mu}g/ml$. 4. In $1,000\;{\mu}g/ml$ of undecylenic acid, slight inhibition of T. verrucosum and complete inhibition of E, floccosum, M. canis, M. cookei, M. gypseum,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in growth were observed.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Chinas Rhizoma Alcoholic Extracts(CREE & CRME) exert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y, and their effects were probably derived from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riterpenoidal saponin and steroidal saponin.

  • PDF

In vitro 검출 시스템을 이용한 한약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남성호르몬 유사활성 검출 (Detection of Testosterone-like Activities of Hydrothermal and Ethanol Extracts of Oriental Medicines Using an in Vitro Detection System)

  • 이동근;조정권;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50-55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시험관내 TCD (테스토스테론 화합물 검출) 시스템으로 8개 한약재의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검색하는 것이었다. 녹각상, 백수오, 야관문, 홍삼, 토령, 민들레, 남가세, 호로파의 열수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을 5, 50, 500 ㎍/ml의 농도로 in vitro TCD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80% 에탄올 추출물의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은 일반적으로 농도에 비례하였고, 음성대조군보다 0.9 내지 5.0 배 더 높았다. 호로파와 야관문은 동일한 농도에서 우수한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보였으며 민들레와 홍삼이 그 뒤를 이었다. 토령과 남가세는 낮은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보였으며 녹각상과 백수오는 매우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양성대조군 5α-DHT의 활성과 비교하면, 호로파 및 야관문의 80% 에탄올 추출물은 500 ㎍/ml에서 10-8 M 5α-DHT보다 높은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나타냈다. 열수 추출물은 80% 에탄올 추출물보다 낮은 테스토스테론 유사 활성을 보였고, 농도에 따른 활성의 증가도 에탄올 추출물보다 낮았다. 호로파, 야관문 및 민들레 등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테스토스테론 관련 유전자의 전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필요한 건강 기능성 식품 재료 또는 의약 재료를 개발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주지역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양상 (Investigation of Weed Flora in Pastures in Jeju Island)

  • 이인용;김창석;이정란;황경준;김경훈;김미선;송희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0-17
    • /
    • 2015
  • 제주도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목초지 문제 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5월과 7월에 2회 실시하였다. 제주지역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49과 207초종으로 일년생잡초가 전체의 32%를 차지하는 67종, 월년생잡초가 19%로 39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49%로 101종이었다. 그리고 과별로 보면, 국화과 17%, 화본과 15%, 마디풀과 8%, 장미과 7%, 콩과 6%, 석죽과, 십자화과, 꿀풀과 각각 3%순으로 발생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돌소리쟁이, 토끼풀, 쑥, 질경이, 가락지나물, 애기수영 등의 순이었다. 외래잡초는 22과 68초종으로 전체 32.9%를 차지하였으며, 이 중에서 돌소리쟁이, 토끼풀, 애기수영, 점나도나물 등은 향후 제주도 목초지에서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목초지와 산지와의 경계부분에서 청미래덩굴, 뱀딸기, 용가시 등의 목본식물도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