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Ecological Study on the Quercus acuta Forests in Bogildo-Island

보길도(甫吉島) 붉가시나무림(林)의 군락생태학적(群落生態學的) 연구(硏究)

  • Received : 2000.07.27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cological niche of Quercus acuta communities in Bogildo-island from July to October, 1998. This island is occupied by a subtropical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The study on community ecology of Q. acuta, mostly dominant species of subtropical forests, is very important for successful forest management. Sampling areas were selected in 16 quadrats, dominated by Q. acuta to examine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plant identification, D.B.H.) and environmental elements (microtopography, altitude, slope degree, aspect, illumination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basis of data from field surveys, importance values were calculated for the dominance of Q. acuta and volume growth was analyzed by tree ring width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lists of vascular plants in the investigations were identified as 54 families, 91 genera, 113 species, 9 varieties, 1 formae. It appeared that 45 kinds were evergreen, 6 kinds(Camellia japonica, Ligustrum japonicum, Eurya japonica, Smilax china,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Carex lanceolata) were commonly observed in all plots and 5 species(Cinnamomum japonicum, Ardisia japonica, Cymbidium goeringii, Dryopteris bissetiana, Viburnum erosum) were most highly observed in all plots(over 80%). 2. The dominating species per strata were, Quercus acuta, Castanopsis cuspidata sp. Quercus salicina, Pinus thunbergii, Prunus sargentii in tree layer, Camellia Japonica, Ligustrum japonicum, Quercus acuta, Eury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sp. in subtree layer, Camellia japonica, Ligustrum japonicum, Smilax china, Cinnamomum japonicum, Viburnum erosum in shrub layer and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Ardisia japonica, Carex lanceolata, Camellia japonica(seedlings), Quercus acuta(seedlings) in herb layer, all in descending orders. 3. Quercus acuta could be suggested as shade intolerant tree,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in southern, western, nothern and eastern slopes in the descending orders. 4. Mean relative illumination in the forest is 0.89 % and it is relatively low in brightness. 5. Sustainment of Quercus acuta community couldn't be confirmed by judging from their reverse J curve in even-aged forest, as shown in D.B.H. distribution analysis. 6. The result of annual ring width analysis(mean ; 2.44 mm) showed three stages, such as a gentle increasing(1~12 year ; 2.04 mm), a relatively steep increasing(13~22 year ; 2.95 mm) and decreasing or stagnating(23 year after ; 2.41 mm).

난대림(暖帶林) 육림(育林)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提供)하고자 붉가시나무군락(群落)이 가장 발달되어 있는 보길도(甫吉島)에서 1998년 7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붉가시나무가 우점(擾古)하는 임분(林分)을 대상으로 군락생태(群落生態)를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硏究)에 의해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붉가시나무군락지(群落地)의 종구성(種構成)은 54과(科) 91속(屬) 113종(種) 9변종(變種) 1품종(品種) 등 모두 123종류(種類)가 출현(出現)하였고, 이중 상록성(常綠性) 식물종(植物種)은 모두 45종(種)이었으며, 모든 조사구(調査區)에서 공통(共通)으로 출현(出現)한 종(種)으로는 동백나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청미래덩굴, 마삭줄 및 그늘사초의 6종(種)이었고, 생달나무, 자금우, 보춘화, 족제비고사리, 덜꿩나무 등 5종(種)의 출현빈도(出現頻度)가 80%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임관(林冠) 상층(上層)의 교목층(喬木層) 식피율(植被率)은 85% 이상으로 붉가시나무, 잣밤나무류(類), 참가시나무, 곰솔, 산벚나무의 순(順)으로, 아교목층(亞喬木層)에서는 동백나무, 광나무, 붉가시나무, 사스레피나무, 잣밤나무류(類)의 순(順)으로, 하층(下層)의 관목층(灌木層) 식피율(植被率)은 20% 내외로 동백나무, 광나무, 청미래덩굴, 생달나무, 덜꿩나무의 순(順)으로, 초본층(草本層)에서는 마삭줄, 자금우, 그늘사초, 동백나무(치수(稚樹)), 붉가시나무(치수(稚樹))의 순(順)으로 각각 중요치(重要値)가 높게 나타났다. 3. 붉가시나무군락(群落)은 평균(平均) 토양산도(土壤酸度)(pH) 5.00, 평균(平均)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6.42%인 토양환경에서 군락이 발달하고 있었으며, 본(本) 도(島)의 남사면(南斜面), 서사면(西斜面), 북사면(北斜面) 및 동사면(東斜面)의 분포(分布) 순(順)으로 생장(生長)이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양수(陽樹)의 특성(特性)을 갖고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4. 임내(林內)의 평균(平均) 상대조도(相對照度)(RI)는 0.89%로서 미명(未明)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붉가시나무의 엽면적(葉面積)이 다른 상록활엽수(常綠闊葉樹)들에 비해 크고, 분지(分技)된 맹아(萌芽)의 발달로 임관(林冠) 상층(上層)의 피복율(被覆率) 높아짐에 따라 임내(林內) 수광량(受光量)이 현저히 낮아져 나타난 결과이며, 지표층(地表層) 식생(植生)의 분포(分布)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要因)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5. 군락(群落) 내(內) 붉가시나무의 흉고직경(胸高直徑) 분포(分布)를 분석한 결과 교목층(喬木層), 아교목층(亞喬木層)모두 역J자형(逆J字形)의 분포(分布)를 보이고 있어 군락의 유지가능성(維持可能性)이 불투명(不透明)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6. 붉가시나무의 연륜폭(年輪幅)을 분석한 결과 년평균(年平均) 직경생장량(直徑生長量)은 2.44mm로, 맹아지(萌芽枝)의 발생초기(發生初期)인 1~12년 사이에는 완만하게 생장(2.04mm)하다 맹아지가 임관(林冠) 상층(上層)에 도달하는 13년 이후부터 22년까지 가장 높은 생장량(2.95mm)을 기록하였고, 이후부터는 생장량이 완만하게 감소(減少)하거나 정체(停滯)되는 경향(2.41mm)을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