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Addiction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 수면의 질, 주의력 조절 및 자기조절학습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attention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최동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29-437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에 따른 신체활동량, 수면, 주의력 조절 및 자기조절학습과의 차이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6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할수록 성적과 자가통제력은 낮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었다.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신체활동량, 수면의 질 및 주의력 조절능력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신체활동량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수면의 질이 낮은 경향이 있었고, 주의력 조절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으로 일상적 건강과 학습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차원에서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 학업 무기력,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다중매개효과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cademic Helpless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Grit of Adolescents)

  • 김도희;김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43-45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그릿 간의 관계에서 우울, 학업 무기력,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KCYPS) 2018의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1,375명과 여학생 1,166명의 자료이다. 다중매개모형은 SPSS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그릿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었고, 자아존중감과 그릿은 우울, 학업 무기력,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그릿 간의 관계는 우울, 학업 무기력,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의해 각각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나아가 순차적으로 거쳐서 매개하는 모든 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된 요즘 날의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중독에서 벗어나서 특정 목표에 대한 흥미를 개발하고 노력을 지속하도록 돕기 위한 방안으로 자아존중감과 우울, 학업 무기력을 고려한 교육과 중재가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가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of Smart Phone upon Reading and Self-regulated Reading)

  • 김태용;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3-442
    • /
    • 2014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가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과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라서는 독서량, 독서시간, 자기조절 읽기에 영향을 미쳤으나, 스마트폰 이용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 방법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학교 및 가정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스마트 시대에 적절한 독서 지도방안 등도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주영;박성은;박민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18-22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스마트폰 중독 중재와 대학생활 적응 교육 및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 4년제 일 간호대학의 1, 2학년생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고위험군 47명, 잠재적 위험군 29명, 일반군 97명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군별 대학생활 적응 평균은 중독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스마트폰 중독군별 사회적지지 평균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r=-.34,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지지(r=.38,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적지지는 스마트폰 중독(r=-.17, p=.02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게 나타났으며(F=5.29, p=.023), 대학생활적응도 낮게 나타났다(F=20.01, p<.001). 스마트폰 중독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1), 이 때 스마트폰 중독의 ${\beta}$값 -.264(B값 -.178)이 매개변수를 거치지 않았을 때의 ${\beta}$값 -.327(B값 -.221) 보다 작아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le test 결과에서 사회적 지지는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였다(Z=-2.11, p=.034). 이에 대한 설명력은 21.5%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지지 관련 대학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음악의 정서안정 효과에 대한 분석 -청소년기 스마트 폰 과다 사용으로 인한 공격적 성향 완화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for emotion stability though music - In prioirty of relieve the adolescent's aggression from smartphone overuse)

  • 김관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37-244
    • /
    • 2017
  • 본 연구는 이용자들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해주는 반면 정신적, 신체적 장애는 물론 학습능력 저하, 사회 부적응, 충동적 행동 등을 유발하는 스마트 폰 사용에 의한 병리현상과 그 예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폰 중독 요인을 살펴보고 요인간의 분석을 통해 신체적, 언어적 공격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 22.0 통계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연구 대상자들에 대하여 빈도분석, 주성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희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스마트 폰 사용 시간에 따라 '가상지향', '일상장애', '내성', '금단' 증상으로 판별 요인이 요약되었으며, '적대감', '언어적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적공격성 r=.668, 언어적공격성 r=.704, 적대감 r=.481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한 공격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함 이였으며 청소년들의 정서함양에 음악이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근거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향후 스마트 폰 과다 사용에 따르는 병리현상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예방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청소년들의 안정적인 정서에 도움이 되는 연구의 기초적 이론을 제공하기 위함 이다.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에 관한 내용분석: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Applications: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 이숙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2-2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는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을 통한 자기결정적 조절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이 청소년 이용자의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한 기본심리욕구, 즉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지지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26개의 중독방지 앱을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8개는 자녀폰 연동 부모관리형 앱, 18개는 자기관리형 앱이었다. 내용분석 결과, 분석된 앱 중에서 오직 3개의 앱만이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지지하는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자기관리형 앱의 경우, 대부분이 차단 제한 잠금 등 이용환경을 자율적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등 자율성 지지 속성들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상 행동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능성과 관계성 속성은 매우 낮았다. 자녀폰 연동 부모관리형 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속성이 모두 낮았으며, 자기결정적 동기를 저해하는 통제성이 상당히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유통되고 있는 중독방지 앱이 청소년 이용자의 자기결정적 조절동기를 촉진시키는 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용자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를 고려한 중독방지 앱 개발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과 학업 성취도의 영향요인;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Factor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es: A Mediation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 현일선;이소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43-34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 능력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에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G시의 일개 간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으며,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최종 16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대인관계능력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었으며, 대인관계능력과 학업성취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의 관리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증진을 위해 의사소통능력 향상의 중요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리를 위한 교육 전략의 개발과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Neural activity during simple visual imagery compared with mental rotation imagery in young adults with smartphone overuse

  • Hwang, Sujin;Lee, Jeong-Weon;Ahn, Si-Na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4호
    • /
    • pp.164-169
    • /
    • 2017
  • Objectiv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ple visual imagery and mental rotation imagery on neural activity of adults who are at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by measuring their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irty people with a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was selected and then were evaluated for their neural activation patterns using EEG after reminding them about simple visual imagery and mental rotation imagery. A simple visual image was applied for 20 seconds using a smartphone. This was followed by a resting period of 20 seconds. Mental rotation imagery was applied for 20 seconds. During mental rotation imagery, the rotational angle was selected at random. We compared activ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analyzed EEG with hemisphere reminding them about imagery. Results: On the EEG, theta rhythm from the left hemisphere parietal area increased when the subjects were reminded of mental rotation imagery, and sensorimotor rhythm from close to the left hemisphere area increased when the subjects were reminded of simple visual imagery. Conclusions: Neural activation from the left hemisphere occurs for motor imagery in adults who are at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identify a neural mechanism of adults who a have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which may provid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tor rehabilitation for smartphone users.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위험 분석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Status and Risk among Elementary Students)

  • 이수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03-212
    • /
    • 2014
  • 최근 증대한 성인 및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다소 소홀히 다루어졌던 초등 고학년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를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는 경기도 소재 학교의 4~6학년생 157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조사 결과, 첫째, 스마트폰 평균보유율은 약 66%이었다. 둘째, 약 1%의 학생들이 고위험 사용자군에 속하였고, 잠재위험군 5.7%, 일반 사용자군은 93.3%이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요소에서 학년, 학업성적 각각과 중독 사용자군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즉, 부진한 성적일수록, 또는 학년이 오를수록 중독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넷째, 잠재위험군과 일반군 학생들 모두 대도시, 남학생, 6학년, 맞벌이 부모의 경우에 더욱 중독 점수가 높았다. 반대로 가정경제와 학업성적 측면에서는 잠재위험군은 풍족한 가정과 우수한 성적인 경우 중독성이 더욱 높았으나, 일반군은 빈곤 기정, 부진한 성적인 경우에 더욱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방사선학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대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by University Students of Radiological Science on School Life)

  • 정홍량;황율흔;최지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5호
    • /
    • pp.387-392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of 431 students of radiological science in six regions. The results showed that 89.6% of students are the general user group, 6.3% the high risk group and 4.2% the potential risk group. Adaptability to school life was found to be social adaptability 3.71, righteous adaptability 3.17 and academic adaptability 2.95. Academic adaptability was 3.06 for male students and 2.79 for female students. And righteous adaptability was 3.26 for male students and 3.03 for female students. As a result, male students were more adaptable than female students in academic adaptability and righteous adaptabilit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ocial adaptability was 3.73 for female students and 3.68 for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01). Adaptability to school life by smartphone addiction level was found to be the general user group 3.19, the potential risk group 3.05 and the high risk group 2.81. The difference of righteous adaptability between the general user group and the high risk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ocial and academic adaptability of the general user group and the high risk group was no significant(p<.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