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home

검색결과 1,063건 처리시간 0.026초

경량 작업증명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홈 접근제어 연구 (A Study on a Smart Home Access Control using Lightweight Proof of Work)

  • 김대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931-941
    • /
    • 2020
  • 기계학습을 이용한 자연어처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SHNS (Smart Home Network Service)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SHNS는 구성 기기의 다양성과 사용자의 가변성 등으로 인하여 표준화된 인증 시스템 적용이 어렵다. 블록체인은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 인증을 위한 기술로 제안되고 있지만, 작업증명시스템 구현 시 요구되는 계산 오버헤드 때문에 SHNS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량화된 작업증명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경량화된 작업증명시스템은 기기의 작업 권한을 제어함으로써 블록 생성을 관리하도록 제안되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SHNS의 접근통제 방안을 제안한다.

광대역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홈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Broadband Power Line Communication(BPLC))

  • 양현창;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5권 제2호
    • /
    • pp.87-90
    • /
    • 2005
  • The Intelligent Home provides convenient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performing automatic control, heating and air-conditioning, ventilation, home appliances control, home robot control, energy management, visitor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internet, heath state monitoring, etc. through wired/ wireless network and device in the household. Along with the presentation of the features of economical broadband power line communication in the network configuration for new and old houses, its improvement method is proposed.

  • PDF

위치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Location-aware Service)

  • 박우출;윤명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12-314
    • /
    • 2005
  • We have implement indoor positioning system to supply orientation information, We have used ultrasound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for distance and orientation measurements, then propose a set of methods to calculate orientation from an array of well placed ultrasonic sensors operating in 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We have design and implement a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nd demonstrate end-to-end functionality of the system, We have implement ZigBee based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location-aware System.

  • PDF

HRI 엔터테인먼트 애완 로봇 (A Human-Robot Interaction Entertainment Pet Robot)

  • 이희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79-185
    • /
    • 2014
  • 본 논문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엔터테인먼트 4족 애완 로봇과 스마트폰에서 로봇 조종이 가능한 로봇제어기 및 로봇에서 제공하는 센서 정보들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가정용 기기들을 제어하는 홈스마트제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로봇은 20 자유도를 가지면서 Microsoft사의 키넥트 센서, 적외선거리 센서, 3축 모션 센서, 그래픽 LCD, 온습도 및 가스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로봇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보행 알고리즘,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모션 및 음성인식 알고리즘, 감정표현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로봇을 조종할 수 있는 스마트폰 로봇제어 알고리즘 및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는 홈스마트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들은 구현한 로봇과 컴퓨터 및 스마트폰에 적용하여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ANSI C12.22 국제 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된 스마트미터 개발 (Development of a Smart meter Applying the ANSI C12.22 International Communication Protocols)

  • 이상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952-295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국제 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된 스마트미터를 개발하였다. 스마트미터는 전력 공급 사업자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양방향 통신 및 제어 기술, 전기 기기의 등록 및 해제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스마트미터의 통신 프로토콜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스마트미터의 통신 프로토콜은 북미방식인 ANSI C12.22 표준을 채택하여 적용하였다. 스마트미터는 또한 전력 사용자에게도 실시간으로 소비 전력 정보와 요금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사용자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하게 수요반응을 할 수 있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미터에서 측정되는 전력량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도 보고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IHD(In Home Display)를 윈도우즈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여 개발된 스마트미터와의 연동을 실현하였다.

RNN NARX Model Based Demand Management for Smart Grid

  • Lee, Sang-Hyun;Park, Dae-Won;Moon, Kyung-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11-14
    • /
    • 2014
  • In the smart grid, it will be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nsumers for the purposes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ir power consumption without disturbing their business or comfort. This will bring easier administration capabilities for the utilities.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ill require more advanced home automation tools which can be implemented by using advanced sensor technologies. For instance, consumers may need to adapt thei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ynamically varying electricity prices which necessitates home automation tools. This paper tries to combine neural network and nonlinear autoregressive with exogenous variable (NARX) class for next week electric load forecasting.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is illustrated through an application to electric load consumption data. The suggested system provides a useful and suitable tool especially for the load forecasting.

태양광발전 및 ESS 기반 전기차 충전인프라용 블랙박스 개발 (Development of Black Box for EV Charging Infra based on Solar Power Generation and ESS)

  • 김동완;박지호;안영주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7권3호
    • /
    • pp.160-167
    • /
    • 2018
  • In this paper, a black box, which is provided the reliability and user safety of hom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connected with solar energy generation, is developed. In the developed scheme, a status and diagnosis data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power conditioning system, solar energy generation and grid is measured. This status and diagnosis data is stored and displayed in the developed black box. In addition, this status and diagnosis data is stored and displayed in a monitoring system and a smart phone of user. A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eveloped black box is carried out using emulator of hom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connected with solar energy generation. Consequently, the developed black box is proved its superiority of the reliability and user safety.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Smart Home System with Remote Control)

  • 박차훈;문민기;서지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91-292
    • /
    • 2018
  • 오늘 날 4차 산업은 매우 각광 받는 산업으로 이목을 이끌고 있는 가운데, 특히 스마트 시스템을 이용한 기술은 많은 부분에서 편리함을 제공한다. 하지만 기존의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는 집안의 전등을 켜고 끈다던지, 가스밸브의 잠금 여부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등의 최소한의 기능만을 제공할 뿐이다. 이러한 점을 좀 더 보안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본 과제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만을 추구했던 기존의 방식을 넘어 보다 폭 넓게 시스템 자체에 능동성과 자율성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제어 가능하고 응급/범죄 상황에서도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똑똑한 홈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레거시 가전 기기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Prototyping of Legacy Home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s)

  • 구본현;최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55-56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레거시 웨어러블 기기들을 활용한 CE기기들의 제어 방법을 분석하고 개선 필요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추가적인 웨어러블 형태의 기기들을 착용해야만하고, 제어 명령 전송 등을 위한 특정 공간으로 이동해야만 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스마트와치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웨어러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홈 서비스와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조와 제안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 실험 결과를 소개하도록 한다.

LabVIEW와 PDA를 이용한 스마트 홈 제어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Control using LabVIEW and PDA)

  • 백상민;장경배;심일주;박귀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453-2456
    • /
    • 2004
  • People want to control various facilities regardless location in ubiquitous era. Therefore we have a various devices embedded wireless functions.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control program in a PDA that used Wireless LAN among wireless protocols.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he first, to make a control program in server and a wireless client (PDA) using WLAN. The second, to implement smart home model. The third, to propose useful functions in home contro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