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ity Industrie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심형 제약연구&생산시설 및 주거복합 계획안을 통해 바라본 뭄바이 다라비 재개발계획 (Dharavi Redevelopment Plan through Urban Pharmaceutical Production & Research Facilities, and Residential Complex in Mumbai)

  • 임재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45-158
    • /
    • 2020
  • 인도 뭄바이에 위치한 다라비(Dharavi)는 70만 명이 넘는 수의 사람들이 한 지역에 밀집하여 살아가는 지상 최대의 슬럼가이다. 주정부는 다라비의 재개발을 함께 추진할 민간 사업자를 선정하고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게다가 인도정부는 2015년 3가지 도시개발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인도 전국적 차원의 도시개발과 기존 도시의 재개발사업 및 빈민가 주택공급 사업 등을 병행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도의 DMIC 산업회랑과 스마트 도시건설 등의 현행 사업들을 인도가 타산업 대비 비교우위를 가진 제약산업과의 연계를 통하여, 다리비 내의 특정한 대지에 거주하는 기존주민들을 대상으로 신규 주택의 공급이 가능한 도심형 제약연구&생산시설 및 주거복합 계획안을 제안하여 재개발 방향들 중 가능한 하나의 프로토타입(prototype)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그린 관련 산업의 정책동향과 입지패턴 변화 연구 (A Study on Policy Trends and Location Pattern Changes in Smart Green-Related Industries)

  • 이영선;김선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8-52
    • /
    • 2024
  • 산업생산 전반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디지털전환 산업과 함께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스마트그린 산업이 미래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 논문은 스마트그린 산업의 성장 동인과 입지패턴 변화 분석을 통해 미래산업 혁신생태계에서의 동 산업의 위상 및 역할 모색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동 산업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든 지역에서 증가세를 보이며, 비수도권 비도시 지역에서도 뚜렷한 산업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그린 산단 시범사업, 광주전남 혁신도시 조성,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 등으로 호남권 및 충남 해안지역의 핵심 집적지(HH형) 부상, 경상권 지역에 고립 중심지(HL형) 형성 등 비수도권 지역에서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업의 집적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그린 산업은 정책적 요인이 성장 촉발 요인이며, 다극형 허브(Hub)-스포크(Spoke)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미래산업 혁신생태계에서 비도시지역의 다양한 특성화 소거점(Spoke) 형성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빅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관광 도시 사례 분석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관광객 데이터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Smart Tourism City Using Big Data: Focusing on Tourists Visiting Jeju Province)

  • 문준환;김성현;노희섭;구철모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27
    • /
    • 2019
  •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한 관광서비스가 가능해졌는데, 관광산업이 기존 산업 범위를 벗어나 다른 산업과 융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지속적으로 창출되기 위해서는 관광객들의 소비유형, 서비스 이용패턴 등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빅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 스마트 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제주도를 방문한 국내외 관광객의 카드사용 데이터와 위치기반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광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드의 영향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제주도 방문율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소비현황분석 결과, 공항과 면세점이 위치한 북부지역에서 중국인 관광객 소비 대부분이 발생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의 중국인 관광객 소비수준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제주시 구도심 및 서귀포시 지역 경제는 전반적인 정체를 보이며, 정책 변화가 없는 한, 현재 지역 특성에 따른 소비트렌드 및 성장성이 유지될 전망이다. 셋째, 젊은 관광객의 고객 수뿐만 아니라 소비금액 비중도 증가하는 추세로, 젊은 세대들이 한 공간에서 먹고, 마시고, 쇼핑할 수 있는 제주도 복합쇼핑몰 설립으로 지속적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제주도의 와이파이 경로 분석을 통해, 관광객의 이동경로를 파악하여 날씨, 쇼핑, 편의시설, 교통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주 관광객의 관광 행동을 이해하고 활성화 방안을 위한 공공정책과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동북아 물류중심국가를 향한 초고속 해상수송체계 구축연구 (A Development Plan for High Speed Container Carriers System to Attain the Logistic Hub-Center on the Far-Eastern Pacific)

  • 김훈철;나도백;오위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18-534
    • /
    • 2003
  • A strategic planning to attain a Marine Logistic Transportation Center on the Far-Eastern Pacific is investigated and is being reviewed at the NTRM Vision IV. Utilizing high speed super-sized container carriers, 15,000TEU and 35knots, between the two hub-ports, a western coast city of the United States and Kwangyang/Busan of South Korea, are motivated by now highly successful shipbuilding and maritime industries. SMART, 330MW thermal power plant under planning, will greatly expedite the transfer of cargoes across the Pacific. A sizable effort is required to achieve the goal, but the reward will also be very great, technically, economically, socially and geo-politically.

  • PDF

우리나라 재난안전분야의 제조업 고용 공간패턴 분석 (Analyzing Spatial Patterns of Manufacturing Employment of the Disaster Safety Sector in South Korea)

  • 김근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51-363
    • /
    • 2022
  • 연구목적: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난안전분야의 제조업 고용 클러스터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분석기법이 2019년 한국표준산업분류와 재난안전산업 특수 분류기준에 의해 구축된 229개 지자체의 고용 데이터에 적용되었다. LISA기법은 해당 산업들의 공간 클러스터와 고용의 공간적 종속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우리나라 재난안전산업의 고용은 전체 제조업의 약 6%를 점유하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둘째, 재난안전 산업의 고용 클러스터는 수도권 서부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셋째, 산업재해 방지 산업안전용품 제조업은 중화학 공업과 산업단지가 있는 부산, 울산, 경남창원,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결론: 해당 지역들을 재난안전산업의 제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는 투자와 유성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재난안전산업에 형성되어 있는 제조업 클러스터들의 산업발전과 고용육성 정책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국의 대(對)스페인 교역성과와 시장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s Trade Performance in Spain and its Strategies for Entry into Spanish Market)

  • 손수석
    • 무역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9-81
    • /
    • 2021
  • This paper aims to analyze Korea's trade and investment performance in Spain and the business environment of Spain, and to find efficient strategies for entering into the Spanish market.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five chapters. To begin with, it explains an overview of the Spanish economy and the current status of its major industries. Then, it analyzes Korea's trade and investment performance in Spain, the structure of comparative advantage and the trade trends of major import and export items, since 2011 when the Korea-EU FTA went into effect.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Korea's strategies for entering into the Spanish market are derived. The strategie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entering startups in the Spanish market through CVC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in large tech forums, (2) linking the Spanish interest in K-Culture to consumer goods exports, (3) promoting cooperation in the IT industry in response to the Spanish government's 'Connected Industry 4.0', (4) building a new Korean-Spanish value chain in response to the mobility revolution, (5) advancing jointly into a third country by combining the strengths of both Korea and Spain, (6) cooperating with the Spanish government to establish a sustainable energy policy, (7) promoting jointly with the Spanish government through smart city strategies and project exchanges, and (8) building a European logistics hub in Spain in preparation for post-Brexit.

스마트가든의 인식경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mart Garden)

  • 우경숙;서주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1-60
    • /
    • 2021
  • 현대사회는 인간, 사물, 네트워크가 관계를 형성하는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정보화, 지능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식물 재배 시 온도, 습도, 일광량, 수분공급 등 식물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원 관련 시스템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가든의 개념 및 인식경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가든의 특성은 기술의 발전 및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실내·외 공간에서 IoT기술과 정원이 융합한 새로운 정원형태 혹은 여가의 유형 중 하나이다. 기술의 발전과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인간과 자연이 융합되는 생활공간의 요구로 스마트가든이 현실화되고 보편화되고 있다. 스마트가든의 등장으로 정원 관련 산업의 변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 정원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재 스마트가든과 관련된 연구 및 이용자의 경험에서 공통적으로 스마트가든의 기술적인 측면에 관심이 가장 높다. 사람들은 스마트가든이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하고 쾌적하며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능 및 기술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며, 개인의 취향 및 디지털 기기의 이용능력에 따라 주체적인 이용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스마트가든의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주로 가정 및 실내공간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재배하고 있는 추세이다.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기후변화, 식량위기 등에 대한 우려로 먹거리와 관련된 식물 재배를 선호하고 있지만, 화훼류 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기술 및 매뉴얼로 이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어 정원기능의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가든의 형태를 새롭고 세련된 형태라고 느끼고 있어 스마트가든의 디자인이 이용자의 가치를 만족시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스마트가든은 기술적인 차원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가든의 주요 구성 요인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일 것이다. 단순하게 화분과 스마트기기를 연결하여 식물을 편하게 기르는데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등 다양한 도시서비스와 연계성을 강화하고, 스마트가든이 과학기술에 의해서만 자연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조경가와 상호작용하여 정원의 기능 및 이용자의 니즈를 포함한 디자인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내뿐만이 아니라, 도시공원 및 공공시설에서 시민에게 제공하여 연령 및 디지털 기기·정보의 격차로 인하여 '스마트'한 서비스를 향유하지 못하는 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정원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조경공간으로 잠재성을 갖고 있다.

수도권 권역별 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ng the Influenc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Migration of Popul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김희재;김근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79-492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도권을 대상으로 권역별 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의 66개 기초지자체는 2010~2016년 인구이동자료 분석을 통해 3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단계적 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여 권역 내부의 인구이동 결정요인과 권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분석결과로 수도권 전 지역에서의 인구이동에서는 지역의 아파트 수 증가율, 단독·다세대주택 증가율, 고용자 수 증가율, 제조업체 증가율, 지식·문화·여가산업 증가율, GRDP증가율, 지하철역 신규개통이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아파트 수 증가율, 지식·문화·여가산업 증가율, GRDP 증가율, 지하철 역 신규개통은 인구유입을 늘리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결론: 권역별로 지식·문화·여가산업 증가율이 1권역의 인구유입에 크게 기여했으며, 2권역에서는 지하철역 신규개통과 GRDP증가율이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수 증가율과 지하철역 증가율은 3권역에서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SWAP 지수를 활용한 한강유역의 가뭄-홍수 급변사상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drought-flood abrupt alternation events using SWAP index in the Han River basin)

  • 손호준;이진영;유지영;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925-932
    • /
    • 2021
  • 가뭄-홍수 급변사상은 가뭄과 홍수가 중첩된 사상으로, 생태계뿐만 아니라 산업과 농업 그리고 사회경제까지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뭄이나 홍수의 개별 사상보다 대처하기 어렵다. 하지만 국내의 가뭄-홍수 급변사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가중평균강수(SWAP) 지수를 사용하여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SWAP 지수는 일강수량에 시간 가중치를 적용한 가중평균강수(WAP) 지수를 표준화 것으로, 한강유역의 중권역별 면적평균강수량(1966-2018년)을 사용해 산정하였다. SWAP 지수는 가뭄·홍수의 단일사상 분석 뿐 아니라 가뭄-홍수 급변사상을 분석하는데 용이하고, 시간의 척도 측면에서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심각도 K를 사용해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상대적인 심각도를 지역별로 분석할 수 있다. 연구 결과, 한강유역 30개의 중권역 중 20개의 중권역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심각도가 상승하는 추세가 확인되었고, 중권역별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발생 빈도와 심각도 등을 고려하여 위험지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한강유역 내 가뭄-홍수 급변사상으로 인한 위험지역은 남한강상류(#1001) 유역으로 나타났다.

공공분야 융합 서비스 개발 Framework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스마트교통카드 서비스와 싱가포르 CFC 사례를 중심으로 (A Framework of the Convergent Service Development Process in the Public Sector : The Smart Transportation Card Service of Seoul City and the Call for Collaboration Case in Singapore)

  • 이진휘;이석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87-410
    • /
    • 2013
  •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Convergence and Creative Economy became hot issues. For example, products become more intelligent and services are likely to be connected and integrated around core services or provided as bundle solution. Meanwhile products and services are integrated in the context of mutual supplementation, which leads to Servitization of Products and Productization of Services in many industries. Previous studies have addressed Convergence with different terms and definitions such as Convergent, Multicategory Multifunctional Product, Clouding Service, Bundle and so on from one perspective such as consumers, suppliers or technology according to a wide range of academic approache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most typical convergence products released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and categorize those products. Furthermore, this study has pointed out the problems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Framework discussed in the studies on marketing by taking the situation of the public sector into account and then suggested "New Service Development Framework in the Public Sector" that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e-Gov. approach basically and will enable the government to create public information service and provide them to enterprises or citizens. It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usiness Conceptualization Stage in the framework; argued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an integrativ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on the basis of the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and Policy such as a study of consumer behaviors, design and marketing channel and Policy Integr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dissipation; and furthermore suggested the cases-the development/Diffusion of Transportation Card Service in Seoul and CFC (Call for Collaboration) in Singapore-in order to verify the framework.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New Service Development Framework so it is able to reflec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ector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and be used as practical guidelines for SI (System Integration) business to shift into IT Service business. Last but not the least,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