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area variation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29초

경항문 내시경 수술 도구에서의 최적 활동 반경 개선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 (Computer Simulation of the Transanal Endoscopic Microsurgery for the Improvement of Optimal Operation Range)

  • 김형태;김광기;남경원;김현호;손대경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82-488
    • /
    • 2009
  • Conventional devices for transanal endoscopic microsurgery that are currently used clinically for intestine or rectal cancer patients have 40 mm external diameter of rectoscope tube - induces anal damage and long-term postoperative pain for small-sized patients. In this paper, we designed rectum and rectoscope models and calculated the changing trends of operation area of the surgical tools in accordance with the step-by-step variation of design parameters of the rectoscope tube - external diameter, axial length, and distal angle. Using the results of computer simulation, we suggested an optimal set of design parameters that minimizes external diameter of the rectoscope tub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similar operation area of the surgical tools compared with commercialized devices (${\geq}\;4274.7mm^2$).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howed that the optimal design parameters were 35 mm external diameter, 100 mm axial length, and $45^{\circ}$ distal angle of the rectoscope tube. This result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endoscopic microsurgery device that can minimize side effects to the intestine or rectal cancer patients.

GPS 반복관측에 따른 캄로 단층의 최근 지각변동 평가 (The Estimation of Recent Crustal Movement along the Cam Lo fault from repeated GPS data)

  • Hai, Vy-Quoc;Lee, Young-Wook;Kang, Joon-Mook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3
    • /
    • 2000
  • 1990년 이래로, GPS 기술은 지각 움직임 연구에 적용되어 왔으며 본 논문은 반복된 GPS 관측으로부터 (1995-1998) Cam Lo 단층(Quang Tri province, Vietnam)의 지각 운동에 대한 연구 결과를 설명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위도 N 16 40' 10", 경도 E 106 58' 40"의 Vietnam 중앙부에 위치하며 그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다. GPS네트워크는 6개의 관측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선거리는 3-11 km이고, 3개의 tectonic 지역에 위치한다. GPS 데이터 획득은 1995년 5월과 1998년 3월에 두 개의 캠패인으로 모든 관측점들에서 수행되어졌다. 연구결과, 좌표 변화와 표준편차를 고려할 때 대상지역이 움직이고 있었고, 수평 변화보다는 수직 변화가 더 크게 발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지질 전문가에 Cam Lo 단층지역의 지구물리 해석에 흥미로운 자료를 제공할 것이고 베트남의 단층 활동 연구를 고무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맑은 날 한낮의 사면 기온분포와 일사 수광량 간 관계 (Distribution of Midday Air Temperature and the Solar Irradiance Over Sloping Surfaces under Cloudless Condition)

  • 김수옥;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1-297
    • /
    • 2013
  • 소규모 집수역에서 한낮 기온의 분포와 일사수광량 간 관계를 관찰하기 위해 고도 50m급 3곳, 100m급 3곳, 300m급 3곳 등 9지점의 사면에 경사향을 달리하여 무인기상관측기를 설치하고 1년간 매일 1500 기온과 직전 4시간(1100-1500) 일사량자료를 수집하였다. 운량이 0인 맑은 날에 한정하여 각 지점의 사면 일사수광량을 계산하고 1500 기온과 비교하였다. 이때 각 지점의 경사도(slope)와 경사향(aspect)은 $30{\times}30$ m 격자를 기준으로 반경이 5, 10, 15, 20, 25, 30개 격자로 평활화 하여 사용하였다. 1500 기온에 미치는 직전 4시간 일사수광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회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반경 25개 격자(750m)로 평활화한 경우 사면 기온변이의 54%를 설명할 수 있었다(y = 0.8309x + 0.0438, $r^2$ = 0.5444).

Evaluation of a Crank-type Walking Cultivator for Upland Farming

  • Kwon, Tae Hyeong;Ashtiani-Araghi, Alireza;Lee, Chungu;Kang, Tae Gyoung;Lee, Byeong-Mo;Rhee, Joong-Yo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1호
    • /
    • pp.1-10
    • /
    • 2014
  •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feasibility of a crank-type walking cultivators for weeding in furrowed upland. Methods: A walking cultivator developed by RDA was selected and evaluated with its working speed (S), cultivation depth (CD) and weeding performance (WP).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in upland field on July and August, 2012. Also kinematic analysis of the machine was performed to draw out design improvements. Results: S in flat, uphill and downhill were about 0.11 m $s^{-1}$, 0.11 m $s^{-1}$, and 0.13 m $s^{-1}$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S had a low relevance with user conditions. The CD was 35 ~ 40 mm which was satisfied with the RDA guide for weeding machine. A wide variation was observed in values of WP depending on the growth stages of weeds and field conditions. The cultivator showed low performance in eliminating the well-grown weeds. Kinematic simulation revealed that high forward speed caused a high ratio of un-weeded area. Conclusions: The weeding performance of the cultivator was satisfactory for weeds in early growth stage but it showed difficulties in handling on up-slope and in entering up-land. Specifically, the weight of the cultivator was judged as overweight for female workers. The crank-hoe type cultivator was judged as unsuitable for small walking type machine due to weight of the four-bar linkage system. Kinema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ratio of crank speed to the ground speed must be 850 rpm s $m^{-1}$ (255 rpm based on 0.3 m $s^{-1}$) or greater to avoid uncultivated area. Selection of forward speed is a decisive factor in designing the weeding cultivator.

Presence of Thrombectomy-capable Stroke Centers Within Hospital Service Areas Explains Regional Variation in the Case Fatality Rate of Acute Ischemic Stroke in Korea

  • Park, Eun Hye;Gil, Yong Jin;Kim, Chanki;Kim, Beom Joon;Hwang, Seung-si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6호
    • /
    • pp.385-394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atus of regional variations in acute ischemic stroke (AIS) treatment and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a thrombectomy-capable stroke center (TSC) and the case fatality rate (CFR) of AIS within hospital service areas (HSAs). Methods: This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study analyzed acute stroke quality assessment program data from 262 hospitals between 2013 and 2016. TSCs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Joint Commission. In total, 64 HSA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ddresses of hospitals. We analyzed the effects of structure factors, process factors, and the presence of a TSC on the CFR of AIS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mong 262 hospitals, 31 hospitals met the definition of a TSC. Of the 64 HSAs, only 20 had a TSC. At hospitals, the presence of a stroke unit, the presence of stroke specialists, and the rate of endovascular thrombectomy (EVT) treatment were associated with reductions in the CFR. In HSAs, the rate of EVT treatment (odds ratio [OR], 0.98; 95% confidence interval [CI], 0.97 to 0.99) and the presence of a TSC (OR, 0.93; 95% CI, 0.88 to 0.99) significantly reduced the CFR of AIS. Conclusions: The presence of a TSC within an HSA, corresponding to structure and process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car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lowering the CFR of AIS. The CFR also declined as the rate of treatment increased.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SCs in the development of an acute stroke care system in Korea.

광양만 대도 주변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변화 (Change in Fish Assemblage Inhabiting Around Dae Island in Gwangyang Bay, Korea)

  • 곽석남;허성회;김하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5-184
    • /
    • 2012
  • 광양만 대도주변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소형 빔트롤을 이용하였으며, 동일 해역에서 실시된 이전 연구결과(1990~1991, 1995~1996)와 비교, 고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74종, 8,133개체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주둥치, 보구치, 점줄망둑, 청보리멸, 열동가리돔, 풀반지, 돛양태, 베도라치, 도다리, 쥐노래미, 문치가자미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11어종은 전체 개체수의 89.5%, 총 생체량의 58.9%를 차지하였다. 우점종이었던 개체들은 주로 작은 크기의 어종과 대형 어류의 치어였다. 종조성 및 출현량은 계절에 따라서 크게 변하였다. 2009년 5월과 10월에 가장 많은 종수가 출현하였으며, 2009년 5월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가장 높았다. 출현 개체수 및 생체량은 모두 2010년 1월과 2월에 가장 낮았다. 어류군집의 계절변동은 수온변화와 연관이 있었다.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단위면적당 전체 개체수와 생체량은 더 높았으며, 주둥치의 출현량은 급격히 증가한 반면에 꼼치의 출현량은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어류군집의 종조성 변화는 광양만내의 전반적인 해양환경 특성의 연간변화에 기인하였다.

여수광양항 해상교통량의 장기변동 및 통항 특성 (Analysis of Long-Term Variation in Marine Traffic Volume and Characteristics of Ship Traffic Routes in Yeosu Gwangyang Port)

  • 김대진;신형호;장덕종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38
    • /
    • 2020
  • 지난 22년 동안의 선박 통항자료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매년 72시간씩 실시간 선박 통항량 조사를 통해 여수광양항의 해상교통량의 장기변동과 출입항로에 대한 통항특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도 기준으로, 여수광양항의 선박 통항척수는 약 66,000척이며, 선복량은 약 804,564천톤으로 1996년도 189,906천톤에 비해 400 % 이상 증가하였고 위험화물 물동량은 140,000천톤으로 1996년에 비해 250 %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선박 통항량 조사결과, 1일 평균 통항 선박은 357척이며 통항로 이용율은 낙포해역이 28.1 %, 특정해역이 43.8 %, 연안통항로와 돌산연안 및 금오도 수역이 6.8 %로 동일하였다. 다수의 항로가 만나는 낙포해역은 선박간의 병항 및 교차항행이 가장 빈번했으며, 특정해역도 주변의 연안통항로에서 소형 작업선들이 다수 진출입하여 대형 선박과 교차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화물선박의 묘박지 투묘 대기율은 약 24 % 정도였으며, 케미컬선, 유조선 등의 위험화물 선박의 야간 통항율은 약 20 %에 달하였다. 여수광양항의 선박 통항량은 매년 증가하지만 선박 통항로는 과거와 큰 차이가 없기에 사고의 위험이 상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항로가 중첩되어 통항 선박간의 사고 위험이 높은 제1항로 ~ 제4항로의 준설 및 항로 확장, 항로 부근 암초 제거, 항로표지 보강 등 항로 여건을 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험성이 높은 항만의 진출입 시간과 위험화물 선박의 통항시간을 일부 제한할 수 있도록 항행규칙을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연안통항로를 이용하는 소형 선박들의 통항관리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VTS체계의 고도화가 요구된다.

AFLP 마커를 이용한 소규모 사시나무림의 공간적 유전구조 구명 (Fine-scale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a Small Natural Stand of Populus davidiana in South Korea using AFLP markers)

  • 이민우;홍경낙;박유진;이제완;임효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09-314
    • /
    • 2016
  • 변화하는 자연환경에서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전다양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지역적응성을 갖추어야 세대를 성공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 만약 유전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면 집단이 쇠퇴하고 소멸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본 연구는 주변 집단으로 부터 화분이나 종자의 유입이 어려운 소규모 사시나무 집단의 유전구조를 구명하였다. 월악산 미륵리의 사시나무림은 전체 분포면적 $14,000m^2$에 성목은 350개체로 추정되며, 임분내에 설정한 $70m{\times}70m$ 조사구에 출현하는 123개체 중 61개체를 대상으로 AFLP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변이를 분석하였다. 조사구내 사시나무의 수령은 평균 16년 최고 32년생이었으며, 개체의 공간적 분포는 약한 밀집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AFLP primer 6조합에서 196개 증폭산물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151개는 다형성을 보였다. primer 조합당 평균 유전자좌수는 32.7(표준편차=7.2), 이형접합도 기대치($H_e$)는 0.154, Shannon의 다양성 지수(S.I.)는 0.254로 나타나서, 월악산 사시나무는 우리나라 사시나무 집단 평균에 비하여 매우 낮은 유전다양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유전구조는 24 m 이내에서 분포하는 개체들 간에 유전적 유사성이 나타났으며, 소규모 면적과 고립된 분포지 특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작은 유전군락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 츠꾸이 선상지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오염에 대한 수문지구화학적 연구 (Hydrogeochemical Environmental Research in Nitrate Contamination in Alluvial Fan Area Groundwater in Tsukui, Central Japan)

  • Okazaki, Masanori;Ham, Young-Sik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431-435
    • /
    • 2004
  • 이 연구는 일본의 카나가와현 츠꾸이에 위치하고 있는 선상지에서 지하수 수질을 조절하는 요인들을 평가하기 위해 질산성 질소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를 수문지구화학적으로 조사하였다. 2003년 월별 지하수의 수위는 강우에 의해 크게 증감하였지만, 지하수 내의 질산성 질소 농도는 약간의 변화만을 보여주었다. 뿐만아니라 년중 대부분 지하수 수질 기준의 최고 오염 수준 $10mgL^{-1}$을 초과하였다. 2003년 1년간 지하수의 재충전량은 1,730mm(지하수 수위의 일 증가의 년간 총합인 20,056mm와 일별 감소량의 년간 총합인 18,326mm의 차이)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하수 수위의 일별 증가량의 년간 총합(20,056mm)은 년간 강우량보다 약 10배 이상 높았다. 더욱이 일별 감소량의 년간 총합(18,326mm)은 많은 양의 지하수가 질산성 질소 오염과 함께 방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상당히 높은 질산성 질소를 보유한 강우가 있은 후, 선상지를 통해 많은 양의 지하수 유출입이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산림지대를 포함한 이 선상지에서는 '질소 과잉' 또는 '질소 포화' 라고 하는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 많은 양의 지하수 방출은 지표수에서 질산성 질소의 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수문지구화학적 자료가 수질관리에 유용하길 기대한다.

강우기 및 비강우기 경안천 수체흐름에 의한 팔당호 수질변동 비교 평가 (Water Quality Fluctuation Study of Paldang Reservoir Affected by Gyeongan Stream Inflow according to Rainfall)

  • 허성남;노혜란;양희정;정동일;김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39권2호통권116호
    • /
    • pp.236-244
    • /
    • 2006
  • 경안천 유입부(G 1)부터 팔당댐 앞 (P)까지의 2002년도 수질변동을 팔당호 전체 수질분포및 강우시기 등과 연동하여 평가하였다. 연평균 COD, 총인 및 총질소 농도는 경안천 유입부에서 댐 쪽으로 갈수록 농도가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경안천 유입하천의 높은 오염도가 직접 댐 앞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시기 및 지점별 COD, 총인 및 총질소 농도는 강우기 (8, 9월)가 다른 조사시기에 비해 지점 간 차이가 적고, 초기농도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클로로필 a 농도는 강우기 이후(10 ${\sim}$ 12월)보다는 이전(3${\sim}$6월)에 각 지점별 농도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팔당호 전체 수질분포에서, 북한강 유입수역 수온은 다른 수역에 비해 8월은 낮고 11월에는 높게 나타났다. COD와 SS농도는 강우기에는 각 수역별로 비교적 큰 농도차이를 보였으나 11월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농도도 낮았다. 4월 높았던 클로로필 a 농도는 강우기에는 현저하게 낮은 농도를 보였다. 4월에는 비교적 수심이 낮은 경안천 유입수역에서도 8월 및 11월에 비해 표층과 심층간의 수온 차가 크게 나타났다. 댐 앞 지점 SS농도는 4월에 표층에서 높고 8월에는 심층에서 높았다. 또한 COD, 총인, 총질소 농도는 8월이 4월에 비해 상 ${\cdot}$ 하층이 비교적 잘 혼합되고, 현저하게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11월에도 낮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팔당호에서 수질관리에 집중해야 될 시기는 여름가을보다는 봄여름기간 중인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