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and Medium-sized Apartmen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최근 분양된 공동주택의 전용면적 규모에 따른 가사작업공간 계획특성 (Characteristics of Kitchen and Utility Space Plan in Recently Supplied Apartment Housing)

  • 한정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135-147
    • /
    • 2008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pati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itchen and utility space plan in apartment housing. For this purpose, spatial arrangement and function of kitchen and utility spac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ize of apartment un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spatial separation among living room, dining room, and bedroom is higher in large-sized apartment. And diverse plans were applied for the kitchen of large-sized apartment. 2) To find ou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itchen space, furniture arrangement was analyzed. The I-type kitchen furniture is dominant for small-sized and medium-small apartment, and L-type furniture for medium-large and large sized apartment. 3) For most of the unit plans utility space is located on the balcony outside the kitchen. 4) Sub-kitchen and laundry are major function of utility space, but in case of balcony extention, the function of utility space is minimized. Recent plans for apartment housing shows various spatial arrangement and functions for kitchen and utility space.

지방 중소도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Apartment Prices in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 최지우;이영수;정상철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2_2호
    • /
    • pp.315-322
    • /
    • 2022
  • Apartments are being established as a universal housing type because of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excellent in preservation of asset values and convenience. In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a thesis that explores whether it affects the housing market in Gimhae,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in the province, and how the price flow in neighboring cities has an effect. It is possible to examine how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balloon effect and the lowest interest rate caused by the government's tweezers regulation bring about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local regions.

세금정책이 중소도시의 공동주택 매매가격에 미치는 단기 영향분석 (Analysis of Short-Term Impact of Tax Policy on Housing Purchase Price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 오권영;정진원;이동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1-90
    • /
    • 2022
  • 전국 공동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하고 중소도시 지역이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으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세금정책은 부동산 가격안정화를 위해 꾸준히 변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금정책이 중소도시 공동주택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준공년도가 1990년 이후 2015년 이전의 대전지역 공동주택을 선정하였다. 또한 세금정책을 증세와 감세를 기준으로 하여 규제정책과 완화정책으로 나누어 공동주택 매매가격 변동에 대하여 전후 1년의 단기적 차이를 분석한다. 또한 본 연구는 부동산 정책이 발현된 시점과 대전지역 공동주택 실거래가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NPV 기법 및 T-Test 결과를 통해서 세금정책과 공동주택 매매가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부분의 세금정책 발현시점에서 단기적으로는 공동주택 매매가격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주택시장의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A Study on the Dynamic Correlations between Korean Housing Markets)

  • 신종협;서대교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15-26
    • /
    • 2014
  • 본 연구는 다변량 GARCH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주택 유형별 매매가격증가율과 전세가격증가율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연립주택보다는 단독주택과 아파트의 상관계수가 더 크게 나타났다. 주택 유형에 따른 분석결과에 의하면 매매가격증가율과 전세가격증가율 두 분석 모두에서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간 상관관계가 아파트와 단독주택 간 상관관계나 아파트와 연립주택 간 상관관계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주택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매매가격증가율을 이용한 분석결과와 전세가격증가율을 이용한 분석결과 간에는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아파트의 경우는 중형 아파트와 소형 아파트 간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대형 단독주택과 중형 단독주택 간 상관관계가 제일 큰 값을 기록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아파트는 중소형 이하에, 단독주택은 중대형 이상에 관심이 많다는 사실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간접적으로 뒷받침해주고 있다. 연립주택의 경우에는 매매 가격보다 전세가격의 경우에 중 대형 연립주택과 소형 연립주택 간 상관계수가 더 커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와 주택을 임대하는 경우의 의사결정 과정이 서로 상이한데 그 이유가 있는 듯 보인다.

중소도시 아파트의 입주자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건설관련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Moving in Person Satisfaction of Apartment House in Medium City - Focused on the Specialists Who have a Constructive Relation Occupation -)

  • 이덕용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43-50
    • /
    • 2009
  • Since then where the public housing comes in into Korea many there was development and change. The Mapo apartment in Seoul which is built at 1962 is the first apartment and case of Jeollabuk-do before being built at 1978, the Dongyang apartment Jeongju is the beginning. Before the residential supply ratio which gives already passes over 100% and of 80% or more of the house which is supplied is composed with the public housing. Therefore the expansion which is quantitative increased enough and also the degree of satisfaction improved about the people who lives in the house. From the research which sees consequently currently in the object satisfaction under investigating boil the specialists who from the small and medium-sized town and city have a many experience from construction field about the house. The result in future there is the goal provides the fundamental data which the quality of the house presents the direction which will advance about the public housing with base and improves.

  • PDF

중·소블록 기반 집합주택 보급을 통한 도시성과 근린성 제고(提高) 방안의 고찰 (An Examination on the Improvement of Urbanity and Neighborship through the Provision of Collective Housing based on Small and Medium-sized Blocks)

  • 임재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95-502
    • /
    • 2023
  • 우리나라의 전통적 주거지들이 자연과 공존하며 공동체를 형성한 바탕 위에 마을의 풍경이 만들어져 왔다면 유럽의 도시들은 성채를 토대로 길과 블록이 형성되는 가운데 공동의 주거를 위한 거주지를 만들어 온 경우도 상당하다는 서로 다른 역사적 전개과정이 존재한다. 대규모의 주택공급이라는 근현대화의 과정과 함께 우리의 보편적 도시구조는 아파트 단지가 연속된 도시적 풍경이 일반화되었고 이러한 주거유형과 거주방식의 획일화라는 현상을 주거유형의 다변화라는 관점에서 유럽 등의 도시구조에 더 보편화 되어있는 중·소블록 기반 집합주택이 도시성과 근린환경의 향상에 연관되어질 수 있다는 관점을 고찰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대가구에 기반한 단지형 아파트 이외에 대체적인 방안으로서 중·소블록에 기반한 집합주거의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과 우리 삶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공동주택의 유형적 변화가 생활양식과의 근원적인 상호간의 관계지음을 어떠한 방식으로 변천시켜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 의미를 부여해 보고자 한다.

국민주택규모 아파트단지의 주차수요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칠곡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rking Demand of Public Sized Apartments - Focused on Apartments at Chil-Gok Area in Daegu -)

  • 박찬돈;박몽섭;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41-50
    • /
    • 2003
  • The parking problem is caused by the parking demand. The ratio of parking demand at multi-family housing sites has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fore several parking problems have occurr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king demand per housing size of public-sized apartments, and to prepare that with the architectural regulations about parking supp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arking demand of the small size housing unit(exclusive size:60 $m^2$ below) shows 1.09 car per the unit. and that of the medium size housing unit(exclusive size:60 $m^2$ over 85 $m^2$ below) shows 1.34 car per the unit. The parking demand of the small size housing unit was exceeded 56% more than the legal supply limit, and the parking demand of the medium size housing unit was exceeded 34% more. It is means that the level of architectural regulation about parking supply was not enough than the parking demand. So, it needs recon-sideration about the architectural regulations of parking supply.

다차원 분석방법을 활용한 중소규모 공동주택 건축심의 의견의 경향과 비정형 데이터로서의 특성분석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Unstructured Data and Trends in Architectural Review Opinions of Small and Medium-Sized Apartment Projects )

  • 김진희;황태언;김재식;허영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4-80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1인 가구수가 증가함에 따라 중소규모 공동주택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해당 사업 유형의 사업주들이 대비하기 가장 어려운 리스크로 건축심의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B도시의 25개 중소규모 공동주택 프로젝트에 대해 다차원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건축심의 의견의 경향과 비정형데이터로서 건축심의 의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응분석 및 MDS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B도시의 건축심의 의견은 주로 상위분류에서 '구조'와 '계획'에 관련된 키워드가 주를 이루었다. 즉, 모든 키워드의 출현빈도수 대비 각 상위분류의 빈도수의 합은, 선행연구의 직접분류결과는 '구조' 40%, '계획' 27%이며,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구조' 44%, '계획' 39%인 것으로 나타났다. MDS모델의 적합도는 34.4%로 비교적 낮은 편이나, 대응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건축심의의 비정형적 자료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건축심의 의견과 같은 비정형적 데이터는 심의위원의 주관과 지자체별 양식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의 조합과 출현이 이루어지며, 주로 언급되는 단어와 전혀 다른 키워드가 등장할 수 있어 첨도가 낮고 왜도가 높은 확률분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일부 한계점이 있으나, 비정형 데이터로서 건축심의 의견의 특징을 도출해내었으며 추후 세부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규모 공동주택의 건축심의 한계점 분석 (Analysis on Limitations of Municipal Architectural Review Procedure for Small and Medium-sized Apartments)

  • 안지호;구본길;류종우;허영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5-20
    • /
    • 2022
  • 국내 1인 가구 수가 2000년대 이후로 증가함에 따라, 건축심의 대상인 중소규모 신축 공동주택 사업도 함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 건축심의제도 도입이후 최근까지도 건축심의제도의 한계점에 대한 많은 의견이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두 집단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종합적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해당 결과를 통해 B도시의 건축심의의 한계점에 대한 AHP 분석을 진행하였다. 총 27개 응답으로 구성된 설문결과는 '건축심의 제도의 한계', '심의위원의 한계' 및 '건축심의 행정절차의 불합리함' 의 순서로 심각성이 크다고 분석되었다. 또한, 건축직 공무원과 건축사의 그룹별 응답결과 항목별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건축행정 절차 중 심의제도 개선에 대한 초기연구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파트단지 옥외공간의 친육아환경 요소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arenting-Friendly Outdoor Environment in Apartment Complexes)

  • 김효정;박경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95-107
    • /
    • 2017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in terms of child-care environment. We selected 8 apartment complexes in Cheongju, within three years from construc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apartments ($60-85m^2$) where a large number of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re presumed to reside i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whereas the factors that can be quantified such as the floor height differences, the angles of ramps, and the number of the rest facilities are excellent, the qualitative part which cannot be easily quantified such as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rest facility and play materials should be improved a lot. And the following improvements were suggested; separating the pedestrian passage from the vehicle road in the main entrance of the complex, utilizing the piloti for infant caring, making the entrance area of apartment safe for pedestrians from vehicles, reallocating resting spaces, redesigning resting spaces safer to infants, building or reallocating existing booths at the stops of kindergarten buses, redesigning the square safer from vehicles with shades, making it possible for guardians to watch infants in playing field from the resting space, allocating natural environments essential for chil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