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Duration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9초

교대근무자의 회복력과 수면 및 방어 특성 (Resilience and Characteristics of Sleep and Defense among Shift Work Nurses)

  • 이소진;박철수;김봉조;이철순;차보석;이동윤;서지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21권2호
    • /
    • pp.74-79
    • /
    • 2014
  • 목 적 : 교대근무는 상당한 스트레스 상황이며 교대근무에 잘 적응하는 정도와 관련된 요인들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회복력과 관련된 수면 및 성격 관련 요인들을 조사해보고자 했다. 방 법 : 일 대학병원에서 3교대 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 95명을 대상으로 자가 설문지 조사를 시행했다. 코너-데이비드슨 회복력 척도, 병원 불안-우울 척도, 아침형-저녁형 질문지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를 포함한 수면 관련 설문, 한국판 방어유형 질문지를 이용했다. 결 과 : 회복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요소들은 근무자들의 나이, 근무 기간, offday oversleep, HAD-D 및 HAD-A 점수, DSQ의 적응적 방어유형, 자기억제적 방어유형이었다(p < 0.05).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나이가 많을 수록(${\beta}=0.34$, p < 0.05), 우울 증상이 적을 수록(${\beta}=-0.25$, p < 0.05), 적응적 방어유형을 많이 사용할 수록(${\beta}=0.45$, p < 0.001), 자기억제적 방어유형을 적게 사용할 수록(${\beta}=-0.19$, p < 0.05) 회복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기제들의 경우 체념이 적을 수록(${\beta}=-0.20$, p < 0.05), 승화(${\beta}=0.19$, p < 0.05)와 전능(${\beta}=0.19$, p < 0.05), 유머(${\beta}=0.20$, p < 0.05)를 많이 사용할 수록 회복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일 대학병원의 3교대 근무 간호사들의 특정 방어유형 및 방어기제가 회복력과 관계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추후 더 많은 교대근무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회복력과 관련된 수면 및 성격 관련 인자들을 밝히는 전향적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인삼 Saponiol이 Mouse의 Pentobarbital수면 Circadian Rhythm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Circadian Rhythm of Pentobarbital-induced Sleep in Mouse)

  • 신상구;김명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5권1_2호
    • /
    • pp.13-19
    • /
    • 1979
  • Circadian susceptibility of sleeping induced by pentobarbital was observrd in male DDO mouse treated with phenobarbital and ginseng saponin. The pentobarbital elimination rate was also measured in the same animal. The mouse had been maintained for one week under 12 hours of artificial illumination extending from 06:00 to 18:00 hours alternating with 12 hours of darkness. During the period the animals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with 100mg/kg of phenobarbital for three days or 10mg/kg and 100mg/kg of ginseng saponin for seven days. At 24 hours after last injection pentobarbital sleeping time and elimination rate were measured following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50mg/kg of pentobarbital sodium. In a control group treated with saline, the duration of pentobarbital-induced sleep varied with circadian rhythmicity, which had a trough at 02:00 hours of light phase and a crest at 14:00 hours of dark phase. And the elimination rate measured at 02:00 hours was faster than that at 14:00 hours. Pretreatment with phenobarbital markedly shortened the pentobarbital steeping time and abolished the circadian rhythmicity. Those were correlated with the increased pentobartital elimination by phenobarbital throughout light and dark phases examined. Ginseng saponin, given for seven days in a dose of 10mg/kg or 100mg/kg, did not affect the circadian rhythmicity of sleeping and the elimination rate. Sleeping time during light phase, however, was somewhat shortened in ginseng treated animals, which was not matched with the finding of unaltered elimination rate. It seemed that the 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ting effect of ginseng saponin might be involved in the findings observed.

  • PDF

Antidepressant-like and Hypnotic Effects of the Herbal Extract Combination of Stauntonia hexaphylla and Vaccinium bracteatum Fruit in Mice

  • Oh, Dool-Ri;Kim, Yujin;Jo, Ara;Im, Sojeong;Kim, Cho Een;Jung, Myung-A;Shin, Jawon;Kang, Huwon;Choi, Eun Jin;Kim, Jaeyong;Choi, Chulyu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8-96
    • /
    • 2020
  • Stauntonia hexaphylla (SH) and Vaccinium bracteatum (VB) are herbal extracts widely used in food and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have the ability to perform a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H and VB combination (SHVB) on mice models of chronic restraint stress (CRS) and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to elucidate its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CRS-exposed mice treated with SHVB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mmobility time, increased swimming and climbing times in the forced swim test (FST), and increased locomotor activity in the open field test (OFT). SHVB decreased serum CORT levels, but enhanced brain monoamine neurotransmitters. SHVB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leep latency and increased total sleep duration in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 in mice. SHVB showed inhibitory effect on 5-HT2A receptor-mediated ERK1/2 phosphory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VB has antidepressant and hypnotic effects by regulating the 5-HT2A receptor.

광치료의 기본원리와 임상 실제 (Light Therapy : Basic Principle and Clinical Practice)

  • 조숙행
    • 수면정신생리
    • /
    • 제5권2호
    • /
    • pp.170-176
    • /
    • 1998
  • Nowadays light therapy is accepted practice in the treatment for Seasonal Affective Disorder. The author reviewed the practical aspects of light therapy, latest treatment research on optimal parameters of light therapy and the mechanisms of action of light therapy. Therapeutic efficacy of light therapy using light visors & dawn simulators has been suggested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efficacy. The treatment most strongly supported by research studies is light therapy using a light box to administer bright white light (2500 lux for 2 hours or 10000 lux for 30 minutes). Although some patients may be selective responders to morning light exposure, the optimal timing of light exposure still remains controversial. In practice, generally the duration of exposur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cessary and also the timing of exposure can be splitted (e.g. AM/PM usage) if optimal response is obtained. For most, a positive response of light therapy is usually noted within $4{\sim}5\;days$ and optimal response is obtained within 2 weeks. Generally the relapse of symptom occurs within days of discontinuation of light therapy, so to prevent relapse, light therapy should be continued throughout the winter season for typical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ide effects of light therapy appear to be mild and well tolerated. Several theories for the mechanisms of action of light therapy at the basis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had been suggested but remain still controversial. Further studies on the optimal parameters and the mechanisms of light therapy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and treat not only seasonal affective disorders but also chronobiological disorders and nonseasonal affective disorders.

  • PDF

운동이 치매 환자의 수면 관련 인자,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on Sleep Quality and Dementia-related Factors of Dementia Patients)

  • 윤병곤;김종진;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40-746
    • /
    • 2019
  • 운동은 치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매 관련 연구에서는 치매의 증상 완화, 치매에 관한 다양한 치료 및 약물 치료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규칙적인 운동은 뇌 기능과 치매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치매와 뇌 기능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이 수면 관련 인자(melatonin, serotonin), 치매 관련 인자(BDNF, beta-amyloid, IGF-1, Irisin, GLU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yokine (Irisin, IGF-1), GLUT 및 Melatonin이 지구성 운동을 통한 BDNF 활성화를 통해 치매 증상을 개선하거나 지연시키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 유형, 형태, 기간 및 운동 강도 등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나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추후 운동과 치매에 관한 기전적인 연구분석이 필요하다.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of adult women in Korea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econdary analysi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0

  • Kim, Mijong;Chae, Hyunju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2-23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health-related behaviors of adult women in Korea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Methods: Data from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0) were analyzed. The participants were 4,848 women aged 19 to 64 years in 2019 and 2020. Data analysis using the complex sampling design was performed using SPSS 20.1. Results: Positive changes during the pandemic compared to before the pandemic in Korean adult women were found for improved subjective oral health perceptions (odds ratio [OR], 1.77; p<.001), increased moderate-intensity exercise in work and leisure activities (OR, 1.75; p<.001 and OR; 1.29, p=.004), and a decrease in secondhand smoke exposure at the workplace and in public places (OR, 0.64; p=.004 and OR, 0.60; p<.001). However, the following negative health behavior changes were found: decreased frequency of walking 5 days a week (OR, 0.81; p=.011) and an increase in unhealthy daytime sleep durations (OR, 1.40; p=006). Conclusion: Compared to before the COVID-19 pandemic, Korean adult women perceived their subjective dental health more positive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ecreased their exposure to secondhand smoke at work and in public places, decreased walking, and increased sleep duration during the week. Since this study only compared data between 1 year before and after the start of the pandemic,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 longer period of time in the future. A future study should attempt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health behaviors caused by the pandemic.

초등학교 여학생의 초경시기와 관련된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age at menarche in Korean elementary school girls)

  • 권미경;서은민;박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44-351
    • /
    • 2015
  • 본 연구는 초경시기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구 3개 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여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개별 짝짓기 환자-대조군 연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초경군에 비하여 초경군의 평균 수면시간이 더 적었다. 둘째, 어머니의 초경 나이가 빠를 수록 같은 또래에 비해 더 이른 초경 경험을 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초경시기와 관련된 요인 중 비만이 가장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 전 세계적으로 초경 나이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여성의 초경 나이도 현저하게 낮아지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불면환자의 수면의 질 척도, 우울척도, 한방진단시스템과의 연관성 연구(1) (Study on the Association of PSQI, IQ, BDI and DSOM in the Insomnia Patients(l))

  • 오경민;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9-119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Insomnia Questionaire(IQ),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DSOM) in the Insomnia Patients. Methods : For this study, we carried out PSQI, IQ, BDI and DSOM of 37 patients with insomnia who have come to Donguei oriental hospital of Donguei university from November 2008 to May 2009. And Using cross tabulation analysis, verified the association of PSQI, IQ, BDI and DSOM. Results : 1. The most Frequent Pathogenic Factor is blood-deficiency(血虛) in total patients. 2.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eficiency of qi(氣虛), damp(濕), kdney(腎) in total patients. 3.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liver(肝) in total patients. 4.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and zp of insufficiency of Yin(陰虛), and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blood stasis(血瘀) and zp of liver(肝) in female patients. 5.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eficiency of qi(氣虛) and zp of heart(心), and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liver(肝) in male patients. 6. The duration from onset in the group of 22-59years are longer than the group of 60-80 years and the duration of using hypnotic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sleep time in 22-59years group. 7.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liver(肝) in 22-59years group. 8.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BDI in 60-80years group. 9.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eficiency of qi(氣虛) and zp of blood-deficiency(血虛), and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coldness(寒) in 60-80years group. 10.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and zp of dryness(燥) in below 6 Months Group. 11.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BDI in over 6 Months Group. 12.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liver(肝) in over 6 Months Group. 13.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ryness(燥) in BDI 2nd Grade Group. 14.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kidney(腎) and the ag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heart(心) in BDI 3rd Grade Group. 15. The ag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amp(濕) in BDI 4th Grade Group.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omplicated associations of the pattern of insomnia with depression and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And especially this study showed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depression in 60-80years group and over 6 months group.

  • PDF

청소년의 생활습관관리를 위한 신체활동과 건강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for Adolescents' Life Care)

  • 한근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27-138
    • /
    • 2019
  • 본 연구는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신체 활동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이차분석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중1~고3 청소년 62,276명이다. 신체활동은 중강도 신체활동 및 고강도 신체활동 항목을 활용하였고, 건강행위는 흡연, 음주, 식생활, 좌식행동, 수면 시간 변수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복합표본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건강행위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으며, 건강행위와 신체활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구학적 특성을 보정한 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흡연, 현재 음주의 경우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이 증가하였다. 식생활의 경우 1일 1회 이상 과일섭취, 매일 3회 이상 채소섭취, 주 3회 이상 단맛음료섭취를 하는 경우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이 증가하였다. 주 5일 이상 아침식사는 높은 중강도 신체활동과 관련이 있었으나 고강도 신체활동과는 관련이 없었다. 2시간 이상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이 감소하였다. 7시간 미만 수면을 취하는 경우 중강도 신체활동이 증가한 반면, 고강도 신체활동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신체활동은 서로 상호관련성이 있으므로, 청소년 신체활동 및 건강한 생활습관 증진을 위한 중재 개발 시 개별적인 접근보다는 다각적 측면에서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의 불면증에 대한 연구 (Insomnia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on Hemodialysis)

  • 김경률;양창국;한홍무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2호
    • /
    • pp.126-132
    • /
    • 1999
  • 목 적: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 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불면증의 빈도, 불면증 환자들의 특성, 신체적 그리고 심인적인 증상들과의 상관관계, 수면에 대한 믿음과 태도 등을 조사하여 향후 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부산시내 소재 4개의 혈액투석실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증 환자 153명(남 87명, 여 66명)을 대상으로 저자들이 본 연구에 알맞게 개발한 수면관련 설문지, 벡 우울증 척도, 스필버거 상태-특성 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증상을 조사하였다. 결 과: 전체 153명의 혈액투석 환자 중 65.4%인 100명이 불면증을 호소하였다. 연령, 남녀비, 교육정도, 결혼상태, 평균 혈액투석 기간, 그리고 혈청 알부민을 제외한 조사된 혈액화학검사 소견들은 불면증군과 비불면증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불면증군은 비불면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BDI 점수와 투석전 수축기 혈압이 높았고 혈청 알부민치는 더 낮았다. 또, 시각유도척도법을 이용한 두 군간의 주관적인 고통에 대한 조사에서 불면증군은 슬픔, 불안, 걱정, 피부 소양증,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장애 등의 주관적인 고통을 비불면증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불면증의 심한 정도가 불량한 신체적 건강상태, 피부 소양증, 그리고 골관절 통증 등의 신체적 증상, 슬픔, 불안, 걱정 등의 심인적인 증상, 그리고 낮 동안의 졸음과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장애와 유의한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의 불면증 132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 불면증군은 비불면증군에 비해 수면에 대한 비기능적인 믿음이 더 많았다. 결 론: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 불면증이 흔하였고, 이들 중 불면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대조군에 비해 심인적인 증상과 신체증상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저하를 더 호소하였고, 수면에 대한 비기능적인 믿음이 많았다. 그리고 불면증의 심한 정도는 이러한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수면장애를 개선한다면 이들 환자들의 진료에 도움을 주어 치료 순응도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