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Duration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여고생의 초경연령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Menarcheal Age among High School Girls)

  • 이복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1-12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general characteristic of high school girls according to menarcheal age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enarcheal age of high school girl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of the 2013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WS). The sample included 18,077 high school girls who experienced menarche. The questionnaires used for this study assessed menacheal age, grade, place of residence, family affluence, height, weight, diet pattern, physical activity, sleep duration, and stress level.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mplex sample analysis (${\chi}^2$-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Higher BMI, frequent vegetable consumption, short sleep duration, and higher stress level were associated with an earlier menarcheal age among high school girl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intervention strategies to control the timing of menarche.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따른 식행동 및 생활습관 (Sleep Quality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Dietary Behavior and Lifestyle of University Students in Cheongju)

  • 진세환;배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95-407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the sleep quality and patterns with the dietary behavior, including snack and beverage consumption, taste preferences, as well as life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406 university students in Cheongju, Korea,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good-quality sleepers (PSQI score ≤ 5) and poor-quality sleepers (PSQI score > 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χ2-test, independent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Fifty-two percent of university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poor-quality sleepers by the PSQI. Students classified as poor-quality sleepers had delayed bedtimes, and a shorter duration in bed and total sleep hours than the good-quality sleepers did. Poor-quality sleepers were more prevalent among those who were female, having irregular mealtimes, or frequent late night meals. They also consumed fast food frequently, such as fried chicken and hamburgers, and noodles when adjusted for gender. In addition, drinks with caffeine over milk were dominant among poor-quality sleepers. Furthermore, the preferences for spicy and salty tastes and longer smartphone usage were more prevalent in those with poor-sleep quality.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50% of university students reported disturbed sleep and poor quality sleep was associated with less desirable snack consumption and taste preference, more smartphone usage, and others.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long with lifestyle changes promoting sufficient sleep are encouraged to provide for university students, particularly those who have poor sleep quality.

수면분할 분석으로 본 수면무호흡증의 수면구조와 생리적 특징 (Sleep Architecture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Split-Night Analysis)

  • 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2호
    • /
    • pp.45-51
    • /
    • 2006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 구조는 정상인에 비해 서파수면과 렘수면이 줄어들고 1단계 수면, 각성, 수면 분절이 증가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각 수면 단계의 분율에 양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정상 수면 구조를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야간 수면의 렘수면-비렘수면의 주기성과 비대칭성에 대한 비교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는 수면전반부와 후반부의 비대칭성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손상될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코골이를 주소로 을지병원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49명의 남자(평균 연령: $39.1{\pm}12.2$세)를 대상으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AHI) 15를 기준으로 나눈 단순 코골이(SSN) 군 13명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군 34명의 수면 구조를 독립적 t 검정으로 비교하고 각 군 별로 수면 전반부 후반부의 수면 변인을 따로 구하여 짝지어진 t 검정을 하였다. 연령과 체질량 지수 등의 신체적 조건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OSA 군에서 1단계 수면 비율이 유의하게 늘고, 2단계 수면 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렘수면 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 전체각성지수와 호흡각성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평균 심박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평균 동맥혈 산소포화도의 저하와 산소포화도저하지수(ODI)의 증가, 평균 무호흡시간과 최장 무호흡시간의 증가 등도 OSA 군에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총검사시간을 중심으로 수면을 전후반으로 나누어 각 수면 변인을 보았을 때 SSN 군에서 비대칭성(p<0.05)을 보인 변인은 2단계수면 비율, 서파수면 비율, 렘수면 비율, 자발적 각성지수, 총각성지수, 평균 동맥혈산소포화도, 심박수인 반면, OSA 군은 2단계수면 비율, 서파수면 비율, 렘수면 비율, 자발적 각성지수, 평균 무호흡시간, 최장 무호흡시간, 평균 동맥혈산소포화도, 심박수가 비대칭성(p<0.05)을 보였고, 총각성지수는 비대칭성을 보이지 않았다. 가정과 다르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단순 코골이에 비해 달라진 부분은 평균 수면무호흡 시간과 최장 수면무호흡 시간이 증가한 것 뿐이었고, 유일하게 총각성지수만이 비대칭성이 붕괴되어 전반부와 후반부의 차이가 없어졌다. 흥미로운 것은 알려진 수면단계의 비대칭성(전반부에 2단계수면과 서파수면의 비율이 높고, 후반부에 렘수면 비율이 높아지는 점) 이외에도 수면전반부에 총각성지수와 자발적 각성지수, 평균 심박수가 높고 후반부에 평균 동맥혈산소포화도가 높다는 사실이다. 정상 남녀 성인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직장인들의 수면 양상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Sleep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and Its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nxiety)

  • 이우형;김은진;오강섭;신동원;신영철;임세원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2
    • /
    • 2016
  • 직장인에서 수면의 장애는 우울, 불안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며, 수면 양상에 대한 여러 평가 항목 중에서도 주관적 수면의 질과 주간 기능장애가 가장 큰 연관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총 수면 시간이나 입면 잠복 시간보다 환자가 느끼는 전반적인 주/야간의 만족도가 정동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뜻하며, 이를 고려한 수면 양상의 평가가 직장인뿐 아니라 일반인구나 환자에서도 중요할 수 있겠다.

  • PDF

Administration of Alphas1-Casein Hydrolysate Increases Sleep and Modulates GABAA Receptor Subunit Expression

  • Yayeh, Taddesse;Leem, Yea-Hyun;Kim, Kyung-Mi;Jung, Jae-Chul;Schwarz, Jessica;Oh, Ki-Wan;Oh, Seikwa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6권3호
    • /
    • pp.268-273
    • /
    • 2018
  • Sleep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physiological requirement for mental health, and sleep disorders pose potential risks of metabolic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Tryptic hydrolysate of ${\alpha}_{S1}$-casein (${\alpha}_{S1}-CH$) has been shown to possess stress relieving and sleep promoting effects. However, the differential effects of ${\alpha}_{S1}-CH$ on electroencephalographic wave patterns and its effects on the protein levels of ${\gamma}$-aminobutyric acid A ($GABA_A$) receptor subtypes in hypothalamic neurons are not well understood. We found ${\alpha}_{S1}-CH$ (120, 240 mg/kg) increased sleep duration in mice and reduced sleep-wake cycle numbers in rats. While ${\alpha}_{S1}-CH$ (300 mg/kg) increased total sleeping time in rats, it significantly decreased wakefulness. In addition, electroencephalographic theta (${\theta}$) power densities were increased whereas alpha (${\alpha}$) power densities were decreased by ${\alpha}_{S1}-CH$ (300 mg/kg) during sleep-wake cycles. Furthermore, protein expressions of $GABA_A$ receptor ${\beta}_1$ subtypes were elevated in rat hypothalamus by ${\alpha}_{S1}-CH$. These results suggest ${\alpha}_{S1}-CH$, through $GABA_A$ receptor modulation, might be useful for treating sleep disorders.

코골이 감지 수면베개 (Snoring Detection Sleep Pillow)

  • 쩐밍;안도현;박재희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0
    • /
    • 2019
  • 사람들은 일생동안 1/3을 잠을 자며 그들의 잠자는 시간은 나이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어른들은 하루에 8시간의 잠을 잔다. 그러나 항상 좋은 잠자리를 기대할 수는 없다. 실제로 50대 이상의 많은 사람들은 수면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는 코골이, 수면 무호흡과 같은 수면 장애요소들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수면 장애요소 중 하나인 코골이를 검출하는 스마트 베개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스마트 베개는 베개의 오른쪽과 왼쪽 부분에 위치한 두 개의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쉽게 코골이는 검출하기 위하여 피크 검출회로를 사용하여 코골이 신호를 펄스신호로 변형시켰으며, 펄스폭을 사용하여 코골이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였다. 측정된 코골이 검출 정확도는 약 98.6%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들이 스마트 베개가 수면 중 코골이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수면이득이 있는 파킨슨병 환자의 임상특징 및 수면다원검사에 대한 연구 (A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Study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with Sleep Benefit)

  • 천동렬;양창국;김재우;유승윤;한홍무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2호
    • /
    • pp.102-108
    • /
    • 2000
  • 목 적 : 파킨슨병 환자의 상당수에서 아침에 일어났을 때 수면이득으로 알려진 운동성 기능의 일시적인 호전을 보고 한다.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수면이득이 수면과 관련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수면다원검사 등의 객관적인 방법을 이용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 군과 없는 환자 군의 임상특징 및 수면다원검사 소견을 비교하는데 있다. 방 법 : 33명의 일차성 파킨슨병 환자(남 14, 여 19)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수면이득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담을 하였고, 의무 기록지를 통하여 임상적 자료를 얻었고, 수면검사실에서 하룻 밤의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가 16명(48.5%), 없는 환자가 17명(51.5%)이었다.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들이 없는 환자들에 비하여 더 젊었고(p<0.02), 수면효율이 더 좋았고 (p<0.05), 그리고 수면잠복기가 더 짧았다(p<0.02). 그러나 수면이득은 유병기간, 레보도파 일일 복용 용량, 운동기능의 장애 등과 관련되지 않았고, 특정 수면단계와도 관련되지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렘수면행동장애 등의 수면장애의 빈도가 높았으나 일차성 코골이를 제외하고는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이득이 젊은 나이, 좋은 수면효율, 짧은 수면잠복기와 관련됨을 시사한다.

  • PDF

전자제품 제조업 교대 근로자의 성별에 따른 수면의 질과 피로도 차이 (Differences in sleep quality and fatigue according to gender of shift workers in electronics manufacturing industries)

  • 김기웅;정은교;박해동;김갑배;강준혁;노지원;서회경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8-148
    • /
    • 2017
  • Objectives: Sleep quali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health, quality of life and working capacity and is affected by age, gender, exercise, life habits. Gender dissimilarities in sleep quality are acknowledged. However,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sleep in shift workers was not well known. Our aim was to study the less known gender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sleep of shift workers. Methods: 1,008 study subjects aged between 21 and 57 years among these, 637(525 male and 112 female workers) were daytime workers and 371(253 males and 118 female workers) were shift workers. Sleep quality was measured by self-report through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 and fatigue was measured by using the Chalder Fatigue Scale(CFS). All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9.0 program.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Results: Overall, sleep quality was found to be worse in shift workers than in daytime workers and in female than in male. Fatigue in shift female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daytime female workers and shift male workers. In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atigu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drink habit, regular exercise, working hours and sleep quality. With group male workers as the reference, the odds ratio(OR) for having a CFS was 2.115(${\beta}$ value=0.749, p<0.01),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sleep latency, daytime dysfunction and PSQI were 1.541(${\beta}$ value=0.432, p<0.05), 2.297(${\beta}$ value=0.831, p<0.001), 1.798(${\beta}$ value=0.587, p<0.01) and 2.224(${\beta}$ value=0.799, p<0.01), respectively. Conclusions: Shift wor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owering the quality of sleep, and the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female workers than in male workers. Sleep quality was related to fatigue, especially sleep quality, sleep duration, sleep disturbances and daytime dysfunc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herefore, to improve fatigue and sleep quality of shift work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healthy habits such as regular exercise, smoking cessation, and limited drinking.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develop and implement a regular exercise program to reduce fatigue and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in workplace.

Benzodiazepine 계열 약물 복용 환자의 수면다원검사에서 도출된 EEG유형 분석 (Polysomnography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phy in Patients Expending Benzodiazepine Drugs)

  • 장다준;임동규;김재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33-341
    • /
    • 2021
  • 벤조디아제핀은 GABAA 수용체에 작용하고 신경 억제제로 작용하며 불안, 불면증 및 공황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 그룹이다. 우리는 연령, 벤조디아제핀 사용 여부 및 사용 기간에 따라 수면 중 뇌파 소견에 차이가 있는지 관찰하기 위해 30명의 개인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뇌파 소견을 이용하여 벤조디아제핀 복용군과 비복용군, 단기 및 장기복용, 노인과 비 노인군, 고령 단기복용 및 고령 장기복용군을 비교했다. 평가된 항목은 수면 잠복기, 수면 효율, 수면 단계별 백분율, sleep spindle의 개수 및 평균 주파수로 설정하였다. 복용군과 비복용군의 비교에서 sleep stage와 sleep spindle의 평균 주파수 항목에서 유의미하였다. 장기복용과 단기복용군의 비교에서 sleep efficiency 항목에서 유의미하였다. 노인군과 비 노인군과의 비교에서 sleep efficiency, sleep stage 항목에서 유의미하였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벤조디아제핀의 사용은 느린 주파수 수면을 억제하고 수면 방추파의 주파수와 빈도를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4-6개월 아기의 수면의식 관리를 위한 IoT기반 서비스 (Bedtime Routine Management for Babies at 4-6 Months Based IoT Service)

  • 김록범;박현정;김혜린;정솔비;박수이;박정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5-207
    • /
    • 2017
  • 본 논문은 수면 의식을 관리하기 위하여 일관성과 반복에 초점을 맞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아두이노를 활용한 '라포라포'를 소개한다. 수면 의식은 아기의 숙면과 통잠을 위해 필요한 수면 교육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수면 교육이다. 수면 의식 각 단계에서는 아기에게 수면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동시에 수면 의식을 원활하게 도와주기 위해 센서가 부착된 아두이노 인형을 사용한다. 아두이노에 부착된 센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블루투스를 이용해 통신하며 데이터를 받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