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excision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6초

Reconstruction of a large chest wall defect using bilateral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s and V-Y rotation advancement flaps: a case report

  • Jo, Gang Yeon;Yoon, Jin Myung;Ki, Sae Hwi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1호
    • /
    • pp.39-42
    • /
    • 2022
  • Bilateral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PMMC) flaps are commonly used to reconstruct large chest wall defects. We report a case of large chest wall defect reconstruction using bilateral PMMC flaps augmented with axillary V-Y advancement rotation flaps for additional flap advancement. A 74-year-old male patient was operated on for recurrent glottic squamous cell carcinoma. Excision of the tumor resulted in a 10×10 cm defect in the anterior chest wall. Bilateral PMMC flaps were raised to cover the chest wall defect. For further flap advancement, V-Y rotation advancement flaps from both axillae were added to allow complete closure. All flaps survived completely, and postoperative shoulder abduction was not limited (100° on the right side and 92° on the left). Age-related skin redundancy in the axillae enabled the use of V-Y rotation advancement flaps without limitation of shoulder motion. Bilateral PMMC advancement flaps and the additional use of V-Y rotation advancement flaps from both axillae may be a useful reconstructive option for very large chest wall defects in older patients.

Objective quantification of the impact of blepharoplasty on the superior visual field

  • Kim, Hyodong;Lee, Sanghun;Son, Daegu;Yeo, Hyeonju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1호
    • /
    • pp.19-24
    • /
    • 2022
  • Background Blepharoplasty has both aesthetic and functional benefits in patients with pseudoptosis; however, previous studies could not demonstrate its beneficial effects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The authors objectively analyzed the visual field before and after surgery and investigated whether measurements of the visual field can be applied as a suitable predictor of surgical outcomes. Methods In total, 18 eyelids in nine patients with pseudoptosis who had undergone simple skin excision blepharoplasty were evaluated prospectively from February to May 2016. The visual fields were analyzed preoperatively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using the Goldmann kinetic perimetry test. The visual field test area was assessed using Adobe Photoshop. Results Blepharoplasty had an average 4.99-fold beneficial effect on the superior visual field. In particular, more improvement was seen in the superior temporal quadrant than in the nasal quadrant.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reoperative margin-to-reflex distance 1 (MRD1) and the surgical outcome (P=0.119). However,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preoperative superior visual field and the surgical outcome (P=0.001). Conclusions Using the Goldmann kinetic perimetry test, we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proved the beneficial effect of blepharoplasty on patients with pseudoptosis. Furthermore, we demonstrated that the preoperative visual field is a better preoperative surgical outcome predictive factor than the preoperative MRD1.

전신에 새로이 발생한 다발성 기저세포암 1예 (Reoccurred Multiple Basal Cell Carcinomas: A Case Report)

  • 윤영수;김건휘;민경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26
    • /
    • 2023
  • Basal cell carcinoma (BCC) is the most common skin cancer. Ultraviolet radiation exposure and genetic predisposition are known to be the most important etiological factors. Multiple BCC is often associated with genetic familial conditions such as BCC syndrome, basal cell nevus syndrome. We present a case of 54-year-old female who had multiple BCC that had reoccurred. She was completely cured after receiving radio-chemotherapy for leukemia 16 years ago. She had multiple lesions (scalp, left thigh, right popliteal fossa, and right buttock), and had underwent wide excisions of all lesions. All biopsies revealed BCC. Six years later, she had also multiple lesions; left forehead, frontal vertex scalp, parietal vertex scalp, right occipital scalp, and lower abdomen. We performed wide excisi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BCC. She had no signs of any BCC associated syndrome. We report a rare case of nonsyndromic multiple BCC that reoccurred at the new site.

관절경을 이용한 재발성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Recurrent Prepatellar Bursitis)

  • 경희수;김희수;황준경;인주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3-187
    • /
    • 2002
  • 목적 : 재발된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관절경적 절제술의 수기 및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3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4례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6개월에서 20개월로 평균 14 개월이었다. 원인으로는 급성외상이 3예, 반복적인 경미한 외상에 의한 것이 1예이었다. 모두 타 병원에서 천자 흡입, 스테로이드 주입, 압박 붕대 처치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 후 일부 호전을 보이다가 재발한 경우이었으며, 1례는 수술적 치료를 받은후 재발한 예이었다. 수술 방법은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점액낭을 팽창시킨후 4 mm 직경의 관절경을 위한 삽입구를 점액낭에서 약 1 cm 떨어진 곳에 피부 천자를 가하여 위치하게 한다. 점액낭의 절제는 피하부위를 먼저 절제하고, 깊은 부위를 나중에 절제하였다. 점액낭 상층 피부와 점액낭의 심부 조직간을 같이 묶는 몇 개의 경피적 연차봉합(percutaneous mattress suture)을 하고, 압박 처치를 술 후 2주까지 유지하였다. 결과 : 종창의 재발과 동통 및 압통의 종상 없이 4례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합병증으로는 2례에서 피부-점액낭 하부조직의 봉합 부위에서 경미한 유착에 의한 피부 함몰이 관찰되었다. 결론 :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관절경적 절제술은 재발성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치료에 새로운 수술 수기로 사료되며 재발에 대한 장기간의 추시가 요구된다.

  • PDF

Bombina orientalis 피부손상 후 과립선 재생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Approach of Granular Gland Regeneration after Skin Injury in Bombina orientalis)

  • 정문진;임도선;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75-284
    • /
    • 2002
  • 두꺼비 등 피부손상 후 과립선의 재생과정을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절개에 의하여 피부손상을 가한 후 실험을 위하여 특수히 제작된 cage 내에서 최대 20일간 사육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손상 4일 후 미성숙 형태의 신생 과립선이 관찰되었으며, 상피세포는 신생 과립선의 첨단부로 이동하여 있었다. 상피세포의 표면은 편평하였으며 desmosome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함유한 세포돌기 (MRC)들이 선의 내강을 형성하고 있었고, 이들 돌기에서는 hemidesmosome이 관찰되었다. 신생선의 기저강은 MRC, 과립형성전세포 및 과립형성 세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손상 후 10일에 xanthophore가 상피세포의 기저부로 이동하여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들 세포는 다수의 크기가 큰 pterinosome 과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carotenoid vesicle을 포함하고 있었다. 손상 후 13일에, xanthophore는 많은 carotinoid vesicle과 lammelated pterinosomes을 포함하고 있었다. Iridophore는 손상 16일에 분화중인 xanthophore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은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과정에 선조세포(glandular precursor cell)로부터 과립선이 재생되며, 선세포의 팽대는 이들 신생 세포의 성숙 및 증식에 의한 것을 의미한다.

진행성 유방암에 있어 유방절제술 후 발생한 광범위 피부결손 부위의 가슴배피판을 이용한 흉벽재건술 (Chest Wall Reconstruction with Thoracoabdominal Flap for Large Skin Defects after Mastectomy of Advanced Breast Cancer)

  • 김학태;양정덕;정호윤;조병채;김귀락;최강영;이정훈;박호용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736-741
    • /
    • 2010
  • Purpose: Radical surgical extirpation in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produces extensive loss of skin with large defects requiring plastic surgical procedures for the closure. Many reconstructive methods exist, the choice of which depends upon the characteristic of the wound, extent of resection and patient comorbidities. For adequate coverage of the large skin defects following resection of advanced breast cancer, current authors have performed a thoracoabdominal flap. Methods: From August 2008 to June 2009, 4 cases of thoraco-abdominal flap were performed for chest wall reconstruction after mastectomy of advanced breast cancer. Flap dissection was entirely performed in a subfascial plane and the flap involving the external oblique abdominal muscle. The flap was rotated clockwise in left chest wall defects and counterclockwise in right chest defects and the donor site was closed directly. Results: Their mean age, 55.7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interval was 9 months. Patients' oncologic status ranged from stage IIIc to stage IV,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NM staging system. Flap dimensions ranged between $15{\times}15$ and $25{\times}25\;cm$. One flap sustained a partial loss at the distal margin and revision with pectoralis major musculocutaneous island flap. Conclusion: Large chest wall reconstructions are usually required after radical excision of advanced cancer stages patients with poor general conditions. Thoracoabdominal flap is a simple, quick single-stage procedure, and offer to patient fast recovery, low complication rate, enabling further concomitant adjuvant therapy.

저분자화된 Polydeoxynucleotide (PDRN)의 흰쥐에 대한 외과적 창상 치유 효과 (Wound Healing Effect of Low Molecular PDRN on Experimental Surgical Excision Rat Model)

  • 윤종국;윤혜은;박정규;김미려;김대익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1-41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피부재생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저분자화 시킨 Polydeoxynucleotide (PDRN)의 창상 치유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어 정소 유래 PDRN 단백질 제거공정, 내독소 제거공정을 거쳐 순수분리 정제하였고 분자량 저감공정을 거쳐 기존 PDRN 보다 피부 침투율을 높인 고순도 PDRN을 제조하였다. 상처 치료 과정 중 PDRN 처리에 의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sprague-dawley rats (SD)의 배부에 bioxy punch를 이용한 4개의 창상을 유발하고, 시료를 포함한 총 5종의 실험시료를 마리당 $500{\mu}L$씩 도포한 후 7일 간격으로 4주간 피부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처에 PDRN을 도포한 후, 절개된 상처의 표피화와 수축이 더 빨라졌고, 창상면적에 있어서 PDRN의 도포는 양성대조군인 $Fucidin^{(R)}$ 도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염색한 조직의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는 양성대조군이 가장 빠르게 재상피화가 이루어졌으며, 그 다음으로는 PH군, PD군, HA군으로 교원질 재합성 및 형성 수준을 보였다. 또한, 병변의 형질전환성장인자($TGF-{\beta}$) 및 혈관 내피성장인자(VEGF) 등의 성장인자에서도 염색 조직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저분자화된 PDRN은 창상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며, 화장품 및 의료산업 분야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고혈관성 종양으로 오인된 Trichophyton verrucosum에 의한 두피 백선종창 1례 (Kerion Celsi Caused by Trichophyton verrucosum Mimicking a Hypervascular Tumor in a Pediatric Patient: A Case Report)

  • 김경란;박환희;김두리;윤윤선;전치만;이상훈;임소영;김지혜;김예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2호
    • /
    • pp.118-123
    • /
    • 2022
  • 피부사상균은 접촉을 통해 피부, 모발, 손발톱 등에 감염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 백선종창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건강했던 4세 여자 환자가 심한 두피병변으로 내원하여 세균, 진균감염뿐만 아니라 고혈관성 종양도 의심되어 두피 종양 절제술과 피부이식까지 받았다. 저자들은 면밀한 병력청취와 신체 진찰 및 임상양상을 토대로 Trichophyton verrucosum을 의심하여, 최종적으로 조직병리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T. verrucosum에 의한 백선종창으로 진단 및 치료한 증례 1 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족관절 및 족부에 발생한 연부 조직 악성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재건술 (Reconstruction after Wide Excision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in Ankle and Foot)

  • 권영호;조영율;김재도;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43
    • /
    • 2008
  • 목적: 족관절 및 족부에 발생한 악성 연부 조직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시행한 재건술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에서 2007년 3월까지 족관절 및 족부에 악성 연부 조직 종양이 발생하여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후 재건술을 시행한 15례(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 전이로 사망한 1례를 제외하고 평균 36.4개월(7~72개월)의 추시기간을 가졌고, 평균 연령은 56.8세(26~77세), 남자가 11명, 여자가 3명이었다. 원발병소는 악성 흑색종 12례, 편평상피 세포암 3례이었다. 최종 추시점에서 종양학적, 수술적 그리고 기능적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재건술의 방법은 전외측 대퇴부 천공지 피판 5례, 역행성 표재 비복동맥 피판 4례, 족배 동맥 피판 3례와 국소 피판 3례였다. 결손의 크기는 평균 $5.5{\times}5.7\;cm$, 피판의 크기는 평균 $5.9{\times}6.0\;cm$이었다. 회전 피판술 결손의 크기는 평균 $4.6{\times}4.7\;cm$, 피판의 크기는 평균 $4.9{\times}4.8\;cm$이었고 유리 피판술 결손의 크기는 평균 $7.2{\times}7.8\;cm$, 피판의 크기는 평균 $8.2{\times}8.8\;cm$이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310분(120~540분)이었고, 회전 피판술은 256분, 유리 피판술은 420분이었다. 1례가 폐전이로 사망하였고 국소 재발한 4례와 원격 전이가 발견된 4례를 제외한 7례에서는 최종 추시상 병변이 발견되지 않았다. 피판의 국소적인 울혈외에 수술적 합병증은 없었고, 술 후 MSTS 점수는 평균 68.8%였다. 결론: 족관절 및 족부에 발생한 악성 연부 조직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결손의 크기가 비교적 작을 경우($5{\times}5\;cm$ 이하)인 경우 족배 동맥 피판술, 역행성 표재 비복 동맥 피판술과 같은 회전 피판술을 일차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결손이 더 크거나 복합 조직이 필요한 경우 전외측 대퇴부 천공지 피판술을 포함한 유리 피판술이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악성 흑색종의 경우 재건 방법은 종양학적인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PDF

흉벽에서 발생한 점액성섬유육종 (Myxofibrosarcoma Originating from Chest Wall)

  • 차병기;이미경;이삼윤;최종범;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66-170
    • /
    • 2006
  • 점액성섬유육종은 성인과 장년의 환자에서 사지의 가장 흔한 연조직 육종의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 종양은 흉벽에서는 희귀하게 발생한다. 58세의 여자환자가 본: 병원 일반외과에서 절제에 이은 수개월 후 재발하여서 우측 아래 흉벽에서 8${\times}$6.5 cm의 거대 종양덩어리를 보였다. 조직은 침윤성 심부에 위치한 피하층 종양이었고 명확한 점액성 변화와 중등도의 세포 충실성을 보이면서 명확한 엽성 성장을 보였다. 종양세포는 다양한 정도의 세포양상과 유사분열을 갖고 있는 방추형세포였고 궁형의 혈관양상을 보였다. 5-100, CD68과 Mac387 그리고 FX IIIa의 면역염색은 음성이었고 Vimentin 염색은 양성을 보였다. 조직양상은 점액성 섬유육종의 증간등급이었다. 광범위절제를 하였고 한달 후 퇴원하였는데 항암제나 방사선치료 없이 결손부위의 피부이식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