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concentration

검색결과 1,186건 처리시간 0.032초

Sulfur Dioxide 가스 흡입 후 흰쥐 기관 점막에서 Laminin의 발현에 대한 연구 (Expression of Laminin in Rat Tracheal Mucosa after Exposure to Sulfur Dioxide Gas)

  • 이형석;유연희;조석현;김경래;정호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9-37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SO_2$) gas in the ambient air appears increasing in the industry and urban area day by day. It was known that $SO_2$ is noxious gas. $SO_2$ can be irritating to the eyes, nose, throat, upper respiratory tract and skin. It produces sulfurous acid on contact with water and is extremely irritating to the nasopharynx and respiratory tract. Laminin is a family of extracellular matrix glycoproteins localized in the basement membrane that separates epithelial cells from the underlying stroma.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laminin are to promote cell migration, wound healing, growth and differentiation. Meterials and Methods : The histologic changes and the expression of laminin in tracheal mucosa sacrificed at every weeks (to 7 weeks) after continued $SO_2$ exposure of 250ppm for 30 minutes a day were studied in rats. Results : Pathologic tissue was formed at the tracheal mucosa and the underlying tissue by the infiltration of monocytes and epithelium was transformed to the single cell layered epithelium above 5 weeks after exposure. At the 6 weeks after exposure, epithelial cells were partially lost and epithelial cell layer was transformed to be leaf-shaped. Submucosal tissue was transformed to be lymphatic tissue. An intense positive staining for laminin was found in apical cytoplasm and lateral surface of the normal epithelial cells and basement membrane but at the 5 and 6 weeks after exposure, laminin activity was decreased to the moderate activity. At the 7 weeks after exposure, laminin activity was decreased to the weak activity. Conclusion : Our finding suggests that $SO_2$ makes histologic damage on the tracheal mucosa and decreases immunoreactivity for laminin. Longer duration of the exposure of $SO_2$ makes more histologic damage on the tracheal mucosa and decreases immunoreactivity for laminin.

  • PDF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보호효과 (The Skin Protecting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of Eggplant Peels)

  • 조유나;정희록;정지희;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4-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2,465 mg/100 g)을 나타낸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활성과 FRAP assay결과 농도 의존적인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더불어 높은 세포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도를 측정한 결과 UV-A(320-400 nm)와 UV-B(290-320 nm)영역을 일정 수준 이상의 흡수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UV-B(290-320 nm)영역에서 높은 흡수도를 보여주었다. 최종적으로, 미백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mushroom tyrosinase 및 세포 내 멜라닌 함량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인 저해 효과를 보여주었다. 결국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chlorogenic acid를 포함하여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가지 외피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actobacillus plantarum K-1 BR 유래 박테리오신의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 (The Sup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Propionibacterium acnes Using Bacteriocin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K-1 BR)

  • 정진웅;정용현;이종성;윤승원;이승연;이홍찬;윤영걸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70-975
    • /
    • 2016
  • 본 실험은 유산균 유래의 박테리오신이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위해 인간의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에 열처리한 여드름균인 P. acnes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FN-γ, IL-8의 발현을 유도하였고, 여드름균과 박테리오신을 HaCaT 세포에 함께 처리하여 여드름균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의 양이 박테리오신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P. acnes 균을 1×105, 1×106 그리고 1×107 CFU/ml와 같이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는데 TNF-α와 IFN-γ의 발현량은 여드름균을 1×107 CFU/ml로 처리했을 때 두 배 이상 증가하였고 IL-8의 발현량은 네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여드름균에 의해 증가되었던 TNF-α, IFN-γ 그리고 IL-8의 발현량은 박테리오신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김치유산균인 L. plantarum K-1 BR 균주에서 분리한 박테리오신은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유발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회춘양격산 물추출물의 항염증효과 (Inhibitory Effects of Hoechunyanggyeok-san on Inflammation in Vivo and in Vitro)

  • 이태호;조미정;박숙자;이종록;백영두;김종열;권영규;김상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341-1348
    • /
    • 2009
  • Hoechunyanggyeok-san (HYS) is a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 widely used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orders. Although there are numerous clinical results of HYS reported in the literature of oriental hebal medicine, it has been rarely conducted to evaluate the immuno-biological activit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YS extract (HYSE) in vivo and in vitro. To determine the cytotoxic concentration of HYSE, cell viability was tested by MTT assay. All four doses of HYSE (0.01, 0.03, 0.10 and 0.30 mg/ml) ha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In order to measure NO levels in culture medium, the cells were treated with $1\;{\mu}g/ml$ of LPS 1h before adding HYSE for 24 h and then culture medium were reacted with Griess reagent. Increased NO production and iNOS expression were detected in LPS-activated cells compared to control. However, these increases were dose-dependently attenuated by treatment with HYSE. LPS plays a key role in leading to the massiv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1{\beta}$ and IL-6 in macrophages. Thus, we next determined the levels of these cytokines. HYSE reduced the elevated production of TNF-$\alpha$, IL-$1{\beta}$ and IL-6 by LPS. Moreover, the effects of HYSE wer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vivo, histopathological study, HYSE effectively inheefed the increases of hind paw skin thicknesses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s induced by carrageenan treatment. It, therefore, considered that HYSE will be favorably inheefed the acute edematous inanner. In s. These findings showed that HYSE could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through the reduction of NO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macrophage. Furthermore, the reduction of carrageenan-induced paw oedema by HYSE helps to understand its actions on inflammatory conditions.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항균 활성 및 크림 안정성 평가 (Antibacterial Activity and Cream Stability of Quercus salicina Blume Extract)

  • 구현아;김해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5-15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 후 참가시나무 추출물 함유 크림을 제조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항균활성은 피부상재균인 Gram (+)균 S. aureus, B. subtilis, P. acnes와 Gram (-)균 E. coli, P. aeruginosa로 실험 하였다.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세가지 분획은 공통적으로 Gram (-) 세균인 E. coli에서는 항균 활성이 낮으며 Gram (-)균 P. aeruginosa에서 모두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참가시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S. aureus, B. subtilis, P. acnes, P. aeruginosa균에서 1,200 ${\mu}g/ml$, 2,500 ${\mu}g/ml$, 1,200 ${\mu}g/ml$, 312 ${\mu}g/ml$으로 낮은 최소저해 농도를 가졌다. 따라서 참가시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25% 함유한 크림을 제조한 후 크림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크림은 4개의 서로 다른 온도(4, 20, 37, $45^{\circ}C$)와 태양 광선 하에서 12주 동안 보관 한 후 점도, pH 및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 함유 크림과 대조군 크림의 점도와 흡광도는 위에 언급된 여러 가지 온도 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pH는 피부의 약산성도 범위(pH 4.5-6.5) 값을 가졌다. 12주 동안 크림의 변색이나 변취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크리밍이나 응집과 같은 물리적인 변화도 관찰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참가시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이 높으며 이를 함유한 크림은 다양한 온도와 태양광선 하에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배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산화방지 및 미백 효과 (Effect of Various Pear Cultivars at Different Fruit Development Stages on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 임순희;조광식;최진호;이주현;김명수;이별하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9-65
    • /
    • 2016
  • 본 연구는 배의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세포 독성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비교 평가하여 미백 소재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국내 육성한 4가지 신품종과 신고 품종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으나 과일이 성숙할수록 낮아졌으며, 품종간에는 생육시기와 관계없이 추황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폴리페놀보다 적은 함량으로 5품종 모두 생육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알부틴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이 과일이 성숙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한 항산화 활성도 감소의 폭은 달랐지만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높은 항산화 활성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만개 후 90일까지는 감천배를 제외한 4품종에서 50% 내외의 높은 억제 활성을 보여, 이 시기까지의 배 과일 추출물은 우수한 미백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이 극히 낮아 피부 안정성이 높은 기능성 천연 원료 및 미백 향장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Lactobacillus sakei B2-16에 의한 γ-amino butyric acid(GABA)의 생산에 관한 연구 (Study of γ-Amino Butyric Acid (GABA) Production by Lactobacillus sakei B2-16)

  • 국무창;조석철;최찬익;박훈;김승섭;정명훈;변유량;이현용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183-189
    • /
    • 2009
  • 혈압저하작용, 이뇨기능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gamma$-amino butyric acid(GABA)를 고농도로 생산하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 sakei B2-16을 이용하여 GABA의 산업적 생산 배지를 연구하였다. L. sakei B2-16의 최적 상용 배지는 Lactobacilli MRS 배지였으며, Lactobacilli MRS 배지에 1% mono sodium glutamate(MSG)를 첨가하고, L. sakei B2-16을 배양했을때 MSG의 99.3% 는 GABA로 전환되었다. MRS 배지를 기본으로 최적 배지조성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 4% sucrose와 질소원으로 1% yeast extract를 첨가하였을 때 균체 증식과 GABA 생산량이 가장 우수하였다. 산업적 배지를 확립하기 위하여 미배아를 온수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 배지에 L. sakei B2-16을 배양한 결과, 7%의 MSG를 100% GABA로 전환시켰으며, 미배아 추출액을 이용한 배지는 산업적 생산용 배지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Anthocyanin 함량이 높은 감자 신품종 "자영" (A New Potato Cultivar "Jayoung", with High Concentration of Anthocyanin)

  • 박영은;조지홍;조현묵;이정윤;서효원;정명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1-55
    • /
    • 2009
  • '자영'은 2003년 '대서' 품종과 AG34314 계통 간의 교잡 후대에서 유래되었으며,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의 감자육종 프로그램을 거쳐 선발되었다. 2006년과 2007년 대관1-104호라는 계통명으로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하여 주요 생육특성, 괴경특성, 수량성 및 병해특성을 검토하였으며, 2007년 '자영'으로 명명하여 국립종자관리원에 신품종으로 출원하였다. '자영' 감자는 모양이 비교적 둥글고 눈이 얕으며 껍질과 속이 모두 자주색이다. ha당 평균 수량은 37.4톤이었고 봄재배에서 가장 높은 수량성을 나타냈다. '자영'은 감자더뎅이병과 잎말림바이러스병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역병에는 감수성이었다. 건물함량은 비교적 높은 20.3%로서 칩가공용으로도 적합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가을재배에서 가장 높은 43.7 mg/100 g이었고, 작형별 평균 함량은 '자심' 품종보다 4.7배 정도 더 많았다.

화장품 소재로서의 노니 추출물에 관한 특성연구 (Study on the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Morinda citrifolia as a Cosmetic Raw Material)

  • 김승희;장혜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3-1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노니(Morinda citrifolia, MC)의 항산화력, 세포독성, 항노화 효과 등 생리활성을 규명하여 화장품 제제로써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노니는 열대성 식물로서 2000년 넘게 폴리네시아인들의 식량과 민간요법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성, 항암, 항염증,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DPPH 소거능에 대한 in vitro 노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항노화 작용에서 HDF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50{\sim}100{\mu}g/mL$ 이상의 노니 추출물 첨가 시 MMP-1 발현이 뚜렷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in vivo 실험에서는 노니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30 ~ 50대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4주간 아침 저녁으로 도포하게 한 후 각질함량, 멜라닌 지수, 모공수, 피부색상 및 눈밑 주름수의 변화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각질함량은 대조군 그룹(control group)에서는 다소 증가한 반면에 노니 함유 크림 그룹(experimental group)에서는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눈밑 주름수의 변화에서 노니 함유 크림 그룹에서만 제품 사용 4주후 주름수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노니 추출물은 많은 MMP-1 발현 메커니즘을 제한하며, 천연 항노화 화장품 제제로서 고무적인 가능성을 기대해 보고자 한다.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의 MMP-1 발현 억제 효능 증진 (Effects of Autoclaved Morinda officinalis Root Extract on the Suppressive Efficacy of MMP-1 Enzyme)

  • 강정욱;오정영;배준태;김진화;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5-43
    • /
    • 2015
  • 파극천은 전통적으로 피부염증 치료에 사용되어온 약초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극천 뿌리를 고온($132^{\circ}C$) 및 고압($1.2kgf/cm^2$)에서 15분 동안 처리한 후 추출물을 분리하여 이들의 MMP-1 효소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의 성분변화를 확인한 결과, 고온고압 처리가 파극천 추출물의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약 1.5배 이상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및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해 본 결과 $500{\mu}g/mL$에서 각각 79.25%, 94.5%의 라디칼 소거 효과가 나타났으며, 기존 추출물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 효과를 5-LOX 및 COX-2 저해능을 통해 확인한 결과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에서 약 45% 증가된 저해능이 나타났다. 이에 자외선에 대한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의 피부 콜라겐 단백질 분해효소 발현 저해 양상도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약 16% 정도 저해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UVB의 세포보호 효과도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파극천 추출물에 고온고압 처리를 통해 기존 추출물보다 뛰어난 항산화, 항염 및 MMP-1 발현 억제 효과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기능성 소재로서 화장품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