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anchorag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3초

Indirect palatal skeletal anchorage (PSA)를 이용한 골격성 I급 양악 치성 전돌 환자의 치험례 (Indirect palatal skeletal anchorage (PSA) for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 bialveolar protrusion)

  • 채종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58-464
    • /
    • 2004
  • 교정치료에 있어서 고정원의 조절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상악에서 특히 그러하다. 이를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으나 대부분이 환자의 협조에 대한 의존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고정원 보강에 대하여 확신할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하여 환자의 협조를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원 보강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과거의 골 융합성 임프란트와 달리 미니 스크류는 구강 내의 어느 부위에나 식립할 수 있을 정도로 식립 부위의 제한성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저자는 titanium miniscrew를 구개 정중부의 약간 측방에 식립하고, indirect active P.S.A.(Palatal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 상악 구치부에서의 고정원 보강을 얻을 수가 있었다. 이 치료 결과로 보아 PSA는 상악 구치부의 고정원 보강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transpalatal arch system의 다양한 design을 응용한다면 효율적인 치아 이동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Directional force와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한 골격성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례 (Directional forces using skeletal anchorage for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 div. 1 malocclusion)

  • 채종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7-203
    • /
    • 2004
  •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Tweed-Merrifield directional force technology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양호한 골격적 변화 및 균형 잡힌 안모를 얻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적절한 방향으로의 J-hook을 통한 headgear force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환자의 협조에 대한 의존이 절대적이므로 약간의 문제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하여 환자의 협조를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원 보강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어 이를 보완 할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HPJH(high pull J-hook)과 skeletal anchorage를 병용하여 directional force를 적용한 결과 상악 구치부에서의 고정원 보강과 상악 전치부의 토크 조절 및 mandibular response를 얻음으로써 양호한 안모의 균형을 얻을 수가 있었다. 이 치료 결과로 보아 skeletal anchorage는 HPJH을 대신하여 상악 견치 및 전치부 견인시 상악 구치부의 전후적 및 수직적 고정원 보강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악 전치부 견인시 상악 전치부의 토크 조절, 압하 및 치체이동을 위해 HPJH을 사용하였지만, 이 또한 mini 혹은 microscrew로 대체한다면 환자의 협조를 최소화하면서도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itanium microscrew implant를 이용한 skeletal cortical anchorage (The skeletal cortical anchorage using titanium microscrew implants)

  • 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99-706
    • /
    • 1999
  • 고정원의 조절은 교정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골융합성 임프란트의 경우 확실한 고정원으로서 가능성이 인정되고 있고, 또 임상에서 많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임프란트를 매식하기 위해서는 무치악이 존재해야 하거나 하악구치 후방부위에 식립해야 하는 등 장소의 제약이 있고, 값이 비싸며, 골융합을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으로 인하여 보편화되고 있지는 않다. 최근 몇몇 임상가에 의하여 수술용 titanium microscrew 나 miniscrew를 교정치료시의 고정원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이것은 골융합성 임프란트보다 수술이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치조골 어느 부위이든지 식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자는 titanium microscrew implant를 사용한 skeletal cortical anchorage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교정치료 동안 협조도가 고갈된 환자를 치료하였다. 6개월간의 titanium microscrew로 부터 가해진 교정력에 의하여 상악 전치부는 4 mm후방 치체이동과 압하이동을 얻었다. 통상의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역할을 하는 상악 구치부도 1.5 mm후방이동 되었다. titanium microscrew는 치료기간 동안 움직임없이 잘 유지되었다. 비록 과학적으로 밝혀져야할 임상적인 문제가 있기는 하나, skeletal cortical anchorage는 확실한 고정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최신 교정치료에서의 Skeletal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의 적용과 해부학적 고려사항 (Application and anatomical considerations of skeletal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 in contemporary orthodontics)

  • 한성호;신혜린;박영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9호
    • /
    • pp.532-540
    • /
    • 2014
  • In contemporary orthodontic treatment skeletal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 are routinely used as an anchorage reinforcement to provide improved anchorage control with reduced requirement for patient's compliance. For past few decades, various types of TADs have been explored and their clinical application has been expan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ree major types of orthodontic skeletal anchorage devices and discuss their rationale, clinical procedure, insertion site, and potential complications as well as their management.

Which anchorage device is the best during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 Yassir, Yassir A.;Nabbat, Sarah A.;McIntyre, Grant T.;Bearn, David 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20-235
    • /
    • 2022
  • Objective: To evaluate the available evidence regarding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anchorage devices. Methods: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of different electronic databases was conducted for systematic reviews investigating different anchorage methods published up to April 15, 2021. Any ongoing systematic reviews were searched using PROSPERO, and a grey literature search was undertaken using Google Scholar and OpenGrey. No language restriction was applied. Screening, quality assessment, and data extraction were performed independently by two authors. Information was categorized and narratively synthesized for the key findings from moderate- and high-quality reviews. Results: Fourteen systematic reviews were included (11 were of moderate/high quality). Skeletal anchorage with miniscrews was associated with less anchorage loss (and sometimes with anchorage gain). Similarly, skeletal anchorage was more effective in retracting anterior teeth and intruding incisors and molars, resulting in minor vertical skeletal changes and improvements in the soft tissue profile. However, insufficient evidence was obtained for the preference of any anchorage method in terms of the duration of treatment, number of appointments, quality of treatment, patient perception, or adverse effects. The effectiveness of skeletal anchorage can be enhanced when: directly loaded, used in the mandible rather than the maxilla, used buccally rather than palatally, using dual rather than single miniscrews, used for en-masse retraction, and in adults. Conclusions: The level of evidence regarding anchorage effectiveness is moderate. Nevertheless, compared to conventional anchorage, skeletal anchorage can be used with more anchorage preservation. Further high-quality randomized clinical trials are required to confirm these findings.

Miniscrew를 고정원으로 이용한 교정치료 (The use of miniscrew as an anchorage for the orthodontic tooth movement)

  • 경승현;임중기;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5-424
    • /
    • 2001
  • 교정치료에 있어서 anchorage는 진단 및 치료계획에서부터 치료 종료 단계까지 교정의사가 항상 염두에 두면서 치료를 진행 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필요로 하는 전통적인 anchorage 조절법 보다는 miniscrew 같은 skeletal anchorage 가 좀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어 지고 있어, miniscrew의 교정적 이용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전반적인 고찰과 증례보고를 통해서 niniscrew의 다양한 임상적 적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midpalate부위가 miniscrew의 식립 부위로서 가지는 장점과 식립 시의 주의사항을 알아보았으며 skeletal anchorage 가 교정에 도입되면서 치료개념과 방법에 있어서의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대적인 개념의 Anchorage가 도입 되었다. 2. 생역학적 면에서 치아의 치체이동이 쉬워지고 determinate system이 설계되어 질수 있다. 3. 기존의 수술로만 가능했던 치료들 중 일부는 교정 치료만으로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 PDF

Skeletal Anchorage System의 식립을 위한 한국인 악골의 피질골 두께에 대한 연구 (STUDY OF MAXILLARY CORTICAL BONE THICKNESS FOR SKELETAL ANCHORAGE SYSTEM IN KOREAN)

  • 김지혁;주재용;박영욱;차봉근;김성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8권4호
    • /
    • pp.249-255
    • /
    • 2002
  • Recently, Skeletal Anchorage System (SAS) has been focused clinically with the view point that it could provide the absolute intraoral anchorage. First, it began to be used for the patient of orthognathic surgery who had difficulty in taking intermaxillary fixation due to multiple loss of teeth. And then, its uses have been extended to many cases, the control of bone segments after orthognathic surgery, stable anchorage in orthodontic treatment, and anchorage for temporary prosthesis and so on. SAS has been developed as dental implants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and also called in several names; mini-screw anchorage, micro-screw anchorage, mini-implant anchorage, micro-implant anchorage (MIA), and orthosystem implant etc. Now many clinicians use SAS, but the anatomical knowledges for the installed depth of intraosseous screws are totally dependent on general experiences. So we try to study for the cortical thickness of maxilla and mandible in Korean adults without any pathologic conditions with the use of Computed Tomography at the representative sites for the screw installation.

Maxillary protraction using skeletal anchorage and intermaxillary elastics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Esenlik, Elcin;Aglarci, Cahide;Albayrak, Gayem Eroglu;Findik, Yavuz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5-101
    • /
    • 2015
  • The aim of this case report is to describe the treatment of a patient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maxillary retrognathia using skeletal anchorage devices and intermaxillary elastics. Miniplates were inserted between the mandibular lateral incisor and canine teeth on both sides in a male patient aged 14 years 5 months. Self-drilling mini-implants (1.6 mm diameter, 10 mm length) were installed betwee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nd molar teeth, and Class III elastics were used between the miniplates and miniscrews. On treatment completion, an increase in the projection of the maxilla relative to the cranial base (2.7 mm) and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facial profile were observed. Slight maxillary counterclockwise ($1^{\circ}$) and mandibular clockwise ($3.3^{\circ}$) rotations were also observed. Maxillary protraction with skeletal anchorage and intermaxillary elastics was effective in correcting a case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dentoalveolar side effects.

Miniplate anchorage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아동의 상악 전방견인 치료 (MnBillnry protraction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children using miniplnte anchorage)

  • 차봉근;이남기;최동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20호
    • /
    • pp.73-84
    • /
    • 2007
  • 상악 전방견인 장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특히 상악골 열성장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있다. 이 경우 증례에 따라 치아 치조성 이동을 허용하는 다양한 치료목표가 설정될 수 있으나, 상악골의 순수한 전방이동이 필요한 경우 다양한 구내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원 보강을 시도함에도 불구하고 고정원의 치아 치조성 이동을 피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치아를 고정 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골개조(remodeling)가 상악복합체 뿐만 아니라 치주인대에서도 발생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부작용은 역동적인 치열 교환이 일어나서 치성고정원이 부족한 혼합치열기 또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악정형 치료가 시행되는 경우에 많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사용이나 피질골절단술, 신연골형성술 등의 외과적 방법을 응용하여 전방견인을 시도할 수 있으나 본고에서는 악정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골 고정원 (skeletal anchorage)을 이용한 상악 전방견인 치료의 외과적 교정적 치료 술식을 증례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