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fracture

검색결과 654건 처리시간 0.025초

강섬유를 하이브리드 보강한 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의 인장특성에 미치는 변형속도의 영향 (Strain Rate Effect on the Tensile Properties of Steel Fiber Hybrid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 김인호;김규용;이상규;손민재;김경태;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7-88
    • /
    • 2018
  • In this study, the tensile properties of single and hybrid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according to strain rate was evaluated. Experimental results, in the strain rate 10-6/s,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showed improved of tensile strength and decrease of strain at peak stress as SSF volume content increased. In the strain rate 101/s, the single and hybrid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tensile properties are improved, because of the improved bond strength between the fiber and matrix. And hybrid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showed high energy absorption capacity, because the SSF prevented the cracking and fracture of the surrounding matrix when during the HSF pull-out.

  • PDF

복합재 패치로 한쪽 면을 보강한 평판의 균열선단 진전거동 해석 (Analysis of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in composite-repaired aluminum plate)

  • 이우용;이정주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41-245
    • /
    • 2004
  • An analytical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of pre-cracked aluminum plates repaired with asymmetric bonded composite patch. For single-sided repairs, due to the asymmetry and the presence of out-of-plane bending, crack front shape would become skewed curvilinear started from a uniform through-crack profile, as observ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 fatigue analysis of single-sided repairs considering crack front shape development was conducted by implementing three-dimensional successive finite element method coupled with linear elastic fracture mechanics (LEFM) concept, which enables the growing crack front to be directly traced and modeled in a step by step way. Through conducting present analysis technique, crack path of the patched plate as well as the fatigue life was evaluated with sufficient accuracy. The analytical predictions of both the crack front shape evolution and the fatigue life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미끄럼 접촉시 내부 복수 수평균열 전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Subsurface Multiple Horizontal Cracks Propagation in a Half-space Due to Sliding Contact)

  • 이상윤;김석삼;권영두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6권5호
    • /
    • pp.373-380
    • /
    • 2000
  •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subsurface crack propagation in brittle materials due to sliding contact. The sliding contact is simulated by a rigid asperity moving across the surface of an elastic half-surface containing single and multiple cracks. The single crack, coplanar cracks and parallel cracks are model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s on the crack growth in contact fatigue. The crack location is fixed and the friction coefficients between asperity and half-space are va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surface friction on stress intensity factor for horizontal cracks. The crack propagation direction is predicted based on the maximum range of shear and tensile stress intensity factors. With a coplanar crack, the stress intensity factor was increased. However, with a parallel crack, the stress intensity factor was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raction of a coplanar crack increases fatigue crack propagation, whereas that of a parallel crack decreases it.

레이저 용접 테일러드 블랭크의 성형특성 (Forming Characteristics of Laser Welded Tailored Blanks)

  • 박기철;한수식;김광선;권오준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8년도 제2회 박판성형심포지엄 논문집 박판성형기술의 현재와 미래
    • /
    • pp.121-130
    • /
    • 1998
  • In order to analyze the forming characteristics of laser welded tailored blanks, laser welded blanks of different thickness and strength combinations were prepared and tensile, stretching, stretch flanging and deep drawing tests were done. The tensile elongation perpendicular to the weld line, stretching and stretch flanging formabil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deformation restraining force (strength ${\times}$ thickness) ratio between two welded sheets. The tensile elongation along weld line reached a value above 90% of the single sheet's elongation. Stretch flanging formability was reduced to approximately 10% of the single sheet value when the deformation restraining force ratio between two welded sheets was increased to two. Weld line movement of deep drawing test specimens was also affected by the strength ratio of the combined sheets, the weld line location and forming conditions. In all forming modes of tailored blanks, excessive weld line movement resulted from strain concentrations at the weaker sheet and resulted in fracture of the weaker side.

음향방출과 미세역학적시험법을 이용한 단일섬유강화 에폭시 복합재료의 비파지적 섬유파단 위치표정 및 계면물성 평가 (Nondestructive Interfacial Evaluation and fiber fracture Source Location of Single-Fiber/Epoxy Composite using Micromechanical Technique and Acoustic Emission)

  • 박종만;공진우;김대식;윤동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18-428
    • /
    • 2003
  • 섬유파단은 복합재료의 기계적물성을 규명하는 가장 중요한 현상 중 하나이며, 섬유파단 위치는 기지재료의 물성과 섬유표면 처리에 따라 광학현미경에 의한 방법뿐만 아니라 음향방출법을 이용하여 확인 및 상호비교 할 수 있다. 두 개의 음향방출 센서를 단일섬유강화 에폭시 복합재료 시편 표면에 부착 시켜 연속적인 섬유파단 신호를 변형률과 측정 시간에 따라 감지하였으며, 계면전단강도는 단일섬유강화 복합재료 시험에서 광학적 방법과 음향방출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탄소섬유의 파단 수는 섬유표면을 전기증착으로 처리한 경우가 많았으며, 광학적인 관찰 시에 좀 더 많게 나타났다. 하지만 음향방출법과 광학적 방법에 의한 섬유파단의 위치는 작은 오차범위 내에서 상호 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음향방출법에 의한 섬유파단 위치표정과 파형분석은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한 복합재료의 계면물성을 비파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스위스 Mont Terri 지하연구시설 단층 내 유체 주입시험 모델링: 국제공동연구 DECOVALEX-2019 Task B(Step 2) (Numerical modelling of Fault Reactivation Experiment at Mont Terri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in Switzerland: DECOVALEX-2019 TASK B (Step 2))

  • 박정욱;;;;박의섭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3호
    • /
    • pp.197-21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TOUGH-FLAC 연동해석기법을 이용하여 Mont Terri 지하연구시설에서 수행된 단층 내 물 주입시험을 수치적으로 모델링하고, 단층의 재활성과 수리역학적 거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TOUGH2 해석에서는 단층을 Darcy의 법칙과 삼승법칙(Cubic law)을 따르는 연속체 요소로 모델링하였으며, FLAC3D 해석에서는 미끄러짐과 개폐가 허용되는 불연속 인터페이스 요소를 통해 모사하였다. 현장에서 획득한 단층의 균열개방압력(fracture opening pressure), 주입율, 모니터링 압력, 변위 곡선 등을 바탕으로, 단층의 탄성적 변형과 파괴에 의한 수직팽창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수리간극모델과 수리역학 커플링 관계를 해석모델에 반영하였다. 한편, 현지응력 조건, 단층의 강도 및 변형 특성에 따른 파라미터 해석을 실시하여 각 입력변수가 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시험 결과를 가장 잘 재현할 수 있는 파라미터 조합을 선정하였다. 해석 결과, 균열개방압력에서 단층의 주입율과 모니터링 압력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합리적으로 재현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동일한 입력 변수 조건에서 단층의 전단변위와 파괴영역의 범위는 현장시험 결과에 비해 과대평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해석모델에서는 고압의 주입조건에서 단층의 지속적인 전단파괴가 유도되는 반면, 현장에서는 수리간극의 변화가 전단 미끄러짐보다는 인장력에 의한 단층면의 개방(tensile opening)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복합 레진으로 수복된 세 가지 첨와형태 와동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FRACTURE RESISTANCE OF THE THREE TYPES OF UNDERMINED CAVIT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 최훈수;신동훈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177-183
    • /
    • 2008
  • 심미성 복합레진은 자연 치질을 보존시키며 나아가 잔존 치질의 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복합레진 수복시 더 많은 치질을 남기기 위해 첨와 (undercut) 형태의 교합면 치질을 남긴 채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느 정도 강도가 복원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첨와 형태의 와동을 잔존치질의 두께 (법랑질 /법랑질과 상아질)에 따라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을 손상이 없는 자연치와 비교 평가하였다. 상악 대구치 40개의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한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대상 치아를 각 10개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sim}3$군은 실험군으로 모두 협측에 깊이 7 mm, 근원심 폭경 5 mm의 첨와 형태 와동을 형성하였고, 와동저에서 치수각까지의 거리를 약 0.5 mm로 유지하였으며 교합면쪽의 치질 두께를 달리하였다. 1군은 법랑질과 소량의 상아질로 구성된 치질 두께를 1 mm, 2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1.5 mm, 3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2 mm가 되도록 하였고, 4군은 건전한 자연치를 와동형성 없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은 방사선 사진을 스캔한 후 길이 확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와동을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다음 단일병 접착제 Single $Bond^{TM}$ (3M/ESPE, USA)를 적용하였고 혼합형 복합레진 Filtek $Z-250^{T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적층 충전하였다.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이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교합면을 기저부에 평행한 상태로 치근부를 매몰한 다음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Z010, Germany)에서 지름 3 mm의 staineless steel rod를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95% 유의 수준의 One-way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와동 형성 후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약 75%의 파절 강도를 보였다. 2. 교합면쪽 잔존 치질의 두께에 따른 파절 저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첨와 형태의 와동을 수복한 후 파절 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전 치아보다는 강도가 낮았지만, 상부의 잔존 치질이 대부분 법랑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면 건전 치아 파절 강도의 75%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복합 레진으로 수복된 세 가지 첨와형태 와동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FRACTURE RESISTANCE OF THE THREE TYPES OF UNDERMINED CAVIT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 최훈수;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177-183
    • /
    • 2008
  • 심미성 복합레진은 자연 치질을 보존시키며 나아가 잔존 치질의 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복합레진 수복시 더 많은 치질을 남기기 위해 첨와 (undercut) 형태의 교합면 치질을 남긴 채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느 정도 강도가 복원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첨와 형태의 와동을 잔존 치질의 두께 (법랑질 / 법랑질과 상아질)에 따라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을 손상이 없는 자연치와 비교평가하였다. 상악 대구치 40개의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한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대상 치아를 각 10개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sim$3군은 실험군으로 모두 협측에 깊이 7 mm, 근원심 폭경 5 mm의 첨와 형태 와동을 형성하였고, 와동저에서 치수각까지의 거리를 약 0.5 mm로 유지하였으며 교합면쪽의 치질 두께를 달리하였다. 1군은 법랑질과 소량의 상아질로 구성된 치질 두께를 1 mm, 2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1.5 mm, 3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2 mm가 되도록 하였고, 4군은 건전한 자연치를 와동형성 없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은 방사선 사진을 스캔한 후 길이 확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와동을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다음 단일병 접착제 Single $Bond^{TM}$ (3M/ESPE, USA)를 적용하였고 혼합형 복합레진 Filtek $SZ-250^{T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적층 충전하였다.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이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교합면을 기저부에 평행한 상태로 치근부를 매몰한 다음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Z010, Germany)에서 지름 3 mm의 staineless steel rod를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95% 유의 수준의 One-way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와동 형성 후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약 75%의 파절 강도를 보였다. 2. 교합면쪽 잔존 치질의 두께에 따른 파절 저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첨와 형태의 와동을 수복한 후 파절 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전 치아보다는 강도가 낮았지만, 상부의 잔존 치질이 대부분 법랑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면 건전 치아 파절 강도의 75%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Mechanical and biological complication rates of the modified lateral-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in the posterior region: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Implant prosthetic system

  • Lee, Jae-Hong;Lee, Jong-Bin;Kim, Man-Yong;Yoon, Joon-Ho;Choi, Seong-Ho;Kim, Young-Tae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2호
    • /
    • pp.150-157
    • /
    • 2016
  • PURPOSE. The modified lateral-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LSP) is designed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screw- and cement-retained implant prostheses. This retrospective study evaluated the mechanical and biological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upported single crowns (ISSCs) inserted with the modified LSP in the posterior region, and determined how these complication rates are affected by clinical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Mechanical complications (i.e., lateral screw loosening [LSL], abutment screw loosening, lateral screw fracture, and ceramic fracture) and biological complications (i.e., peri-implant mucositis [PM] and peri-implantitis) were identified from the patients' treatment records, clinical photographs, periapical radiographs, panoramic radiographs, and clinical indices. The correlations between complication rates and the following clinical factors were determined: gender, age, position in the jaw, placement location, functional duration, clinical crown-to-implant length ratio, crown height space, and the use of a submerged or nonsubmerged placement procedure. RESULTS. Mechanical and biological complications were present in 25 of 73 ISSCs with the modified LSP. LSL (n=11) and PM (n=11) were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The incidence of mechanical complication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P=.018). The other clinical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chanical and biological complication rates.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incidence of mechanical and biological complications in the posterior region was similar for both modified LSP and conventional implant prosthetic systems. In addition, the modified LSP is amenable to maintenance care, which facilitates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chanical and biological complications.

Minimally Invasive Option Using Percutaneous Pedicle Screw for Instability of Metastasis Involving Thoracolumbar and Lumbar Spine : A Case Series in a Single Center

  • Park, Ho-Young;Lee, Sun-Ho;Park, Se-Jun;Kim, Eun-Sang;Lee, Chong-Suh;Eoh, W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7권2호
    • /
    • pp.100-107
    • /
    • 2015
  • Objective : To report a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ption using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with adjuvant treatment for metastatic thoraco-lumbar and lumbar spinal tumors. Methods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charts of patients with spinal metastases. All were older than 18 years of age and were considered to have more than 3 months of life expectancy. The patients had single or two level lesions, and compression fracture or impending fracture. Exclusion criterion was metastasis showing severe epidural compression with definite neurological symptoms. Usually spinal segments from one level above to below pathology were stabilized.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for pain assessment and Frankel scale for neurological deficit were used, while pre- and post-operative performance status was evaluated using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Results : Twelve patients (nine men, three women; median age 54.29 years) underwent surgery. All patients presented with back pain with/without radicular pain. There were no early complications and perioperative mortalities. Following surger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verage pre- and post-operative VAS scores was found (p=0.003). Overall, 91.8% of patients (11/12) experienced improvement in their ECOG score post-operatively. The mean ambulation time was 196.9 days [95% confidence interval (CI), 86.2-307.6 days; median, 97 days]. During follow-up, nine patients died and the mean overall survival time in enrolled twelve patients was 249.9 days (95% CI, 145.3-354.4 days; median, 176 days). Conclusion :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using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with adjuvant treatment is a good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potential instability of the thoraco-lumbar and lumbar spinal metast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