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Mother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8초

상호작용 중심의 모-자 미술치료가 불안정 애착 아동 및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Interaction Based Mother-Child Art Therapy on the Interaction of Child with Unstable Attachment and Mother)

  • 정창숙;박은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395-140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action based mother-child art therapy on the change of child and mother's interactions in a child who was in trouble due to attachment problems.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six-year-old child who faced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 building and who were maladjusted to kindergarten because of unstable attachment and negative feedback from his parents. Also, he showed serious problem behaviors at home. The ABA design was adopted among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s, and the Target child was observed in the sessions in terms of the subfactors of Marschak's Behavioral Rating Scale to gather data related to the changes of child and mother's interac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all the subfactors that were the child's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the mother's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Therefore the interaction based mother-child art therapy that was designed to boost child and mother's interactions was effective at furthering the mother-child interactions of the child with attachment problems.

Living for the Children: Immigrant Korean Mothers' Re-creation of Family after Marital Dissolution

  • Oh, Seieun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9-48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 grounded theory research aimed at generating a substantive theory that accounts for the explanatory social processes in which immigrant Korean single-mother families were engaged in the United State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immigrant Korean single mothers who were living with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at the time of the interviews. Data collection guided by theoretical sampling and concurrent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anscribed data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e social process. Results: The emerged core social process was "living for the children," which represented the driving process by which these women made transition to their new lives as single-mother families. The major task throughout the entire transition was re-creating their families. The women's transition involved practical and psychological transitions. The practical transition involved three stages: assuring family survival, struggling between the father role and the mother role, and stabilizing. The psychological transition involved becoming strong and settling in with a new supportive network. Conclusion: Study results added to the literature by elaborating the women's emphasis on maternal identity and the resilience-provoking nature of the women's transitions.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편부.편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비교: 이혼 부모를 중심으로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Mother versus Single-Father Households of Children 12 or Younger: Focusing on Divorced Parents)

  • 이연주;김승권
    • 한국인구학
    • /
    • 제34권2호
    • /
    • pp.17-43
    • /
    • 2011
  • 1990년대 중반부터 이혼율이 급증하여 한부모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한부모 가정의 문제는 통상적으로 모자가정의 문제라고 인식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최저소득층의 경우 모자가구의 형성자체가 어려워 편부가 자녀양육을 맡게 되고 따라서 편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편모에 비해 더 낮을 수도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2005년 센서스 2% 표본자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12세 이하 아동표본을 바탕으로 한부모 가구 부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양친가구 모와 부, 별거가구 모와 부, 무배우 모와 부 중에서 무배우 부의 교육수준이 가장 낮았는데, 특히 중학교 이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무배우 모에 비해서 무배우 부의 취업률은 높지만 취업자만 볼 때 직업적 지위는 더 낮았다. 무배우 부가 속한 가구의 가구주도 무배우 모가 속한 가구의 가구주보다 교육수준이 낮았다. 다음, 분석에서 암시된 저소득여성의 자녀별거성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2세 이하 자녀를 가진 이혼모 표본을 이용하여 자녀와 비동거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성의 사회적 경제적 자원이 적을수록 자녀 비동거의 확률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여성의 교육수준이 자녀 비동거와 뚜렷한 부의 관계를 보였고, 부모와의 동거가 자녀 비동거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구의 분포를 보면 무배우 모의 수가 무배우 부보다 더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적으로 양부모가구보다 현저히 낮다는 사실과 더불어 무배우 부 가정의 취약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s Determinants of Parenting Practices among Poor Single Mothers)

  • 한경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4권4호
    • /
    • pp.263-27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explain parenting practices. Those factors considered are stress and characteristics of single-mother/child together with psychological distress experienced by the single mother. A total of 285 poor single mothers with a chil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or junior high school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ai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by the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poor single mothers rely on affectiv $e^portive involvement more frequently then punitive/inconsistent discipline.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enviromental factors such as financial stress living environmental stress and job status play important role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parenting practices with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distress.ss.

  • PDF

장미 식물공장 생산에서 삽수의 채취 절위와 엽면적에 따른 단경삽목묘의 발근과 신초발아 특성 (Rooting and Budbreak of Single-Stemmed Roses (Rosa hybrida L.) as Affected by Axillary Bud Position and Leaf Area of Cuttings)

  • 김완순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97-302
    • /
    • 2009
  • 절화 장미의 식물공장적 생산을 위해 삽수용 모주의 성숙정도, 삽수의 채취 절위와 엽면적이 단경삽목묘(single-node cuttings)의 발근과 신초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주의 성숙정도는 SNC의 발근 및 신초 발아 활성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전체적으로 95% 이상의 발근 및 신초발아율을 나타났으며, 'Rote Rose'는 발근과 신초발아가 삽목 후 34일 경에 동시에 일어난 반면, 'Teresa'의 신초발아 소요기간은 18일로 발근보다 9일 먼저 시작되었으며 'Rote Rose'보다는 16일이나 짧았다. 삽수 채취 절위가 줄기 기부방향으로 내려갈수록 발근 및 신초발아의 소요일수는 늘어나고 발근율과 신초발아율은 감소하였다. 특히 'Teresa' 품종에서 더욱 뚜렷하였는데 신초발아의 소요일수는 최대 12일 지연되었고 신초발아율은 14.4%나 감소하였다. 또한 삽수의 엽면적이 클수록 발근 및 신초 발아율이 증가하고 소요일수도 단축되었다.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과 자녀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매개효과로서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The Mediating Effect of Single Mother's, Parental Self-Efficacy between the Social Capital and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 최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02-310
    • /
    • 2019
  • 본 연구는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이 자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부모효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이 자녀유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경로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은 부모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해서 자녀유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은 직접적으로는 자녀유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부모효능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자녀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이 자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모효능감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한부모의 자녀유능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들이 논의 되었다.

여성 한부모가족의 모-자녀관계 (Mother-Child Relationship in Female-headed Single Parent Families)

  • 조성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1호
    • /
    • pp.153-16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conflicts, and communications between female-headed single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ir child rearing methods and attitude, and the political suggestions for the welfare in those familie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7 women in Gyonggi-Do and Chungnam-Do on March 3-27, 2003. The interviewees were selected for th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enrolled either elementary schools or middle schools. The contents of interviews were receded to be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headed single parent families were in low economic status with unstable employment condition. Secondly, women in that families were confronted with psychological problems because of their multiple roles and low income. Third, although they had a controlled child rearing method, they used much reinforcement and praise. Thirdly, they were in need of the aids for the basic life such as housings and their children's private institute expenses. Finally, they required the repealing of an existing birthright system.

빈곤 한부모여성 자조집단의 변화에 관한 참여실행연구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Changing of Poor Single Mother Self-help Group)

  • 김은정;김현진;오보람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1호
    • /
    • pp.5-37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간의 활동을 통해 다양한 변화 과정을 경험해온 빈곤 한부모여성 자조집단을 대상으로, 정체기 이후 자조집단 참여자들이 변화를 주도하게 된 동기와 과정 및 전략을 살펴보고 그 변화가 참여자들과 소속집단, 기관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함으로써 자조집단이 지향해야 할 실천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참여자와 실천가가 협력적으로 대안을 모색하는 참여실행 연구방법(PAR)을 적용하여, 문제도출, 지역조사 및 계획, 실행, 평가 및 검토의 4단계에 걸친 연구과정을 통해 변화의 과정과 내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조집단 참여자들의 변화 동기는 주체적으로 활동방향을 결정해야 한다는 문제인식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결과 자신들의 역량을 고려한 활동모색을 변화의 필요성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변화의 범위와 내용을 주도적으로 결정했으며, 그 결과 정서적 지지를 넘어서 '목적성 있는 활동'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셋째,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의미있는 활동'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지역자원봉사활동과 한부모 참여자 강사활동으로 계획·실행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조집단이 지향해야 할 변화는, 참여자들의 주체적 인식의 변화를 기반으로 실천가 중심에서 참여자 중심의 실천으로 실천주체가 변화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조성하는 사회적 조건에 대한 통제력을 갖도록 사회적 차원의 임파워먼트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자조집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동체적 접근으로의 변화를 고려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아동기 자녀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환경적 요인인가 또는 가족구조인가?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 Environmental Factor or Family Structure?)

  • 김영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57-36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family structure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ir children. Amo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e family income, the a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the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are considered. Total of 164 mothers with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comple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egree of educational involvement of single mothers was lower than that of mothers of both parents families. In order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path regression was performed. The family income and the mother-child affective relationship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maternal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 PDF

영아의 기질, 발달수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이 영아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Developme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Infant Mother's Self-efficacy)

  • 문영경;민현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0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infant temperament, developme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other's self-efficacy.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610 infants (825 boys, 785 girls) and their moth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fant temperament demonstrated a direct relationship to mother's self-efficacy. Lower levels of infant temperament indicated lower levels of self-efficacy, and higher levels of infant temperament indicated higher levels of self-efficacy. Second, infant development demonstrated a direct relationship to mother's self-efficacy. Greater communicative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maternal self-efficacy.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demonstrated a direct relationship to mother's self-efficacy. High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maternal self-efficacy. Forth, Social support demonstrated a direct relationship to mother's self-efficacy. Greater levels of social support demonstrated lower level of maternal self-efficacy. Fifth, the greatest single relationship effecting mother's self-efficacy was mother's parenting stress.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ed for development of diverse social policies and programs to help mothers reduc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arenting skills with the goal of boosting mother's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