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Single Mother's, Parental Self-Efficacy between the Social Capital and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과 자녀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매개효과로서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 최윤정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5.10
  • Accepted : 2019.05.29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Single Mother's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and whether Parental Self-Efficacy mediate in the process. We were examined by the statistics software SPSS 22.0 and AMOS 21.0 in which descriptive statistic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utiliz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gle Mother's Social Capital has positive effects on Parental Self-Efficacy. Second, Parental Self-Efficacy has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It was proved that Parental Self-Efficacy exerted as mediating variables. Therefore, existent Parental Self-Efficacy have full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Possible reasons for the this result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본 연구는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이 자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부모효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이 자녀유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경로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은 부모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해서 자녀유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은 직접적으로는 자녀유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부모효능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자녀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 한부모의 사회자본이 자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모효능감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한부모의 자녀유능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들이 논의 되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30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6_30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연구모형의 경로계수와 유의도(표준화계수)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6_302_t0001.png 이미지

표 2. 여성 한부모의 주요특성

CCTHCV_2019_v19n6_302_t0002.png 이미지

표 3. 모형의 적합도 검증

CCTHCV_2019_v19n6_302_t0003.png 이미지

표 4. 각 변수들의 경로계수와 유의도

CCTHCV_2019_v19n6_302_t0004.png 이미지

표 5. 여성 한부모 자녀유능감 관련 변인들의 효과(표준화계수)

CCTHCV_2019_v19n6_302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통계청, 장례가구추계, 2017.
  2.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2016.
  3. 유은경, 최혜경, 배한나, 이연주, "한부모 가정 아동.청소년의 사회자본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양부모가정 아동‧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55권, pp.283-315, 2017.
  4. 김현숙, "한부모 가정의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 성별, 한부모 기간, 교급에 따른 차이,"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제35권, pp.275-302, 2016.
  5. 이시연,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 비행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759-77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759
  6. 이희성, 유순화, "부모효능감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아동학회지, 제34권, 제1호, pp.35-51, 2013.
  7. 최윤선, 이규미, "유능감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4권, 제3호, pp.305-330, 2017.
  8. 김현자, "다중지능과 가정변인이 초등학생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방과후아동지도연구, 제2권, 제2호, pp.135-155, 2006.
  9. D. Stipeck and K, Seal, Motivated minds-rasing children to love learing, Henry Holt an Company, LLC. 2001.
  10. 서미정, 김경연, "개인적 변인 및 환경적 변인이 아동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5-57, 1999.
  11. D, Cohn, C, Paterson, and C, Christopoulos, "The family an children's peer relation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8, pp.315-346, 1991. https://doi.org/10.1177/0265407591083002
  12. 김현숙, "한부모가족의 소득, 양육태도, 교육적 지원,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pp.49-97, 2015.
  13. 서정아, "사회자본과 사회지출이 청소년의 주관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70권, 제2호, pp.85-113, 2018.
  14. 김민수,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과 임파워먼트,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5. 김기홍, 허태열, "사회자본을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한 다문화사회 구축방안 연구," 농촌사회, 제22권, 제1호, pp.89-131, 2012.
  16. 강현주, 김정화, 최민자, "사회적 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2호, pp.281-306, 2012.
  17. 이보영, "부모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자녀의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제12권, 제4호, pp.115-132, 2012.
  18. P. K. Coleman and K. H. Karraker, "Parenting seif efficacy among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correlates," Family Relations, Vol.49, No.1, pp.13-24, 2000.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0.00013.x
  19. 송순옥,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정서조절능력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제8권, 제33호, pp.493-510, 2017.
  20. 유지현, 이경님,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교육학회지, 제24권, 제1호, pp.277-303, 2017.
  21. A. G. Hunter, S. Z. Tarver, M. Herring, and A. Fletcher, "Social Capital, Parenting, and African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28, Issue 2, pp.547-559, 2019. https://doi.org/10.1007/s10826-018-1282-2
  22. 이봉주, 김선숙, 김낭희, "한국 아동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31권, pp.107-141, 2009.
  23. 이진화, 임원신, 김경은, "저소득층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결혼만족도,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의 질이 가정 중심 유아교육의 부모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9권, 제5호, pp.761-774, 2010 https://doi.org/10.5934/KJHE.2010.19.5.761
  24. F. F. Frank and E. H. Mary, "Social Capital and Sucessful Development among At-Risk Yout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ly, Vol.57, No.3, pp,580-592, 1995. https://doi.org/10.2307/353914
  25. 김향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자본, 교육포부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가족구조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6. G. D. Israel, L. J. Beaulieu, and G. Hartless, "The Influence of Familly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on Education Achivement," Rural Sociology, Vol.66, No.1, pp.43-68, 2001. https://doi.org/10.1111/j.1549-0831.2001.tb00054.x
  27. 최현주, 김지원, 조수현, "청소년기의 자율성, 유능감, 부모 지지간의 종단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학교, 제12권, 제2호, pp.225-248, 2015.
  28. R. Madeleine, "Refining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First-time mother's Development of parental Self-efficacy," UC Santa Curz: Psychology. Retrieved from: http://www.escholarship.org/uc/item/3n49flmc, 2017.
  29. 소숙영, 손정락, "긍정 심리치료가 발달 장애 아동 어머니의 우울, 부모효능감 및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 연구, 제21권, 제2호, pp.95-107, 2013.
  30. 이양희, 김금미,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지원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권, 제4호, pp.549-565, 2013.
  31. 김세리, 이수현, 구예진, 이강이, "학부모 학교참여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제23권, 제4호, pp.139-154, 2016.
  32. A. M. Albanese, G. R. Russo, and P. A. Geller, "The role of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 and child well-being: A systematic review of associated outcome,"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Vol.45, Issue 3, pp.333-363, 2019. https://doi.org/10.1111/cch.12661
  33. J. L. Epstein, School, famil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Preparing educators ana improving schools, Boulder, CO:Westview Press. 2001.
  34. 이인숙, :한부모 여성의 사회자본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양부모 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4권 , pp.4-19, 2013.
  35. R. MacCallum, K. Widaman, K. Preacher, and S. Hong,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The role of model error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36, pp.611-637, 2001.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3604_06
  36. 서지원, "가정안정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분석: 1인 가구와 한부모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지원경영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5-5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