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ing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9초

TV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에 표현된 모방 연구 : JTBC<히든 싱어>와 Mnet<너의 목소리가 보여>를 중심으로 (A Study of Imitation within TV Reality Audition Program : Focused on the JTBC and Mnet)

  • 오서현;나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89-398
    • /
    • 2019
  • 모방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중요한 문화적 행위이며, 21세기에 들어서는 혁신과 창의성을 위한 필수적인 전략이 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지적 재산권의 개념의 등장으로, 모방과 디자인의 이슈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본 연구는 디자인 연구를 위해 시대의 문화정체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모창'과 '립싱크'를 소재로 한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JTBC<히든 싱어>와 Mnet<너의 목소리가 보여>에 나타난 모방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방의 행위 자체는 공정하고 즐거움을 주는 행위이다. 둘째, 모방은 역설적으로 독창성의 힘을 표현하고 있다. 셋째, 모방은 결국 혼합과 변형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모방의 행위가 일방적인 추종을 넘어서서 그것을 창의적으로 개선하려는 의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모방은 창의성의 이슈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개념으로서 서로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다루어져야 한다.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향상을 위한 지지적 노래만들기 (Supportive Songwriting to Improve Resilience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 김지원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2호
    • /
    • pp.41-67
    • /
    • 2018
  • 본 연구는 지지적 심리치료의 치료적 접근 방식인 내적 자원 확립을 중심으로 한 지지적 노래만들기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4명의 학교 부적응 중학생을 대상으로 총 8회기의 지지적 노래만들기 프로그램이 회기 당 50분씩 진행되었으며, 대상자들은 회기별 목표에 따라 현재 심리적 적응 문제에 대해 가사를 만들고 완성된 노래를 가창 및 토의하는 활동에 참여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사전 사후 적응유연성 척도 검사를 실시하고 4개 하위요인별 점수 변화를 평가했으며, 참여자들의 가사를 분석하여 적응유연성 하위요인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모든 참여자들의 적응유연성 점수가 증가했으며, 가사 분석 결과 참여자 4명 모두 각자의 가사에 표현한 현재 적응 문제의 하위요인과 관련하여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지지적 노래만들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 부적응 청소년 모두는 적응유연성 향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래를 만드는 과정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 문제와 내적 자원을 다루어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교적응을 위한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음악활용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Use of Music for Job Stress of Employees in Highway Service Areas)

  • 이선정;박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39-248
    • /
    • 2019
  • 본 연구는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음악활용을 알아보기 위해 U시와 G도에 소재한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 150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음악활용 25문항, 직무스트레스 24문항, 개인변인 4문항, 총 53문항으로 구성한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한 140부 중 불충분한 6부를 제외한 총 134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는 음악감상을 노래부르기나 악기연주에 비해 선호하였으며, 주로 혼자 집에서 대중음악을 감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활용 목적은 기분전환, 편안함, 즐거움, 해소감, 활력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의 음악활용은 전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선호 음악 분위기와 음악을 통해 해소감을 얻는 정도가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효과적인 음악융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음악활용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Use of Music by the Baby Boomer Generation)

  • 전소원;박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7-46
    • /
    • 2020
  • 본 조사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음악활용 현황과 목적, 전반적인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전국 5개시에 거주하는 57-66세 연구 참여자 87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베이비부머 세대는 휴식을 취할 때 혼자서 휴대폰으로 주로 대중음악을 감상하였으며, 음악활용의 목적은 행복, 취미, 자신감과 성취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 세대는 음악활용 시 동호회의 형태로 노래 부르기 및 가사토의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음악활용 목적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봉사활동에 대한 목적을 두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특성에 적합한 음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뮤지컬 영화 연기 연구 (Musical Film Acting Method)

  • 박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718-726
    • /
    • 2021
  • 노래와 춤, 연기가 조화를 이룬 뮤지컬은 오페라가 발전되어 만들어진 대중적인 음악극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뮤지컬은 상업적으로 예술성과 대중성의 조화를 갖추고 있는 문화 산업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뮤지컬은 신명나고 다채로운 라이브 공연이 떠오르게 한다. 이러한 뮤지컬산업은 무대에서 뿐 아니라 뮤지컬 영화로 제 탄생되어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영화계는 영화 스크린을 통해 뮤지컬이 갖고 있는 뮤지컬만의 독창성을 표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연기적 측면에서 뮤지컬 영화 연기는 뮤지컬 영화에 맞는 연기를 구현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영화 연기의 특성과 뮤지컬 연기의 특성을 동시에 이해하고 각각 장르가 융합되어졌을 때 진정한 뮤지컬 영화 연기를 스크린에서 구현 할 수 있게 된다. 뮤지컬 영화 연기를 위해서는 각 장르별로 세분화된 기능적 특성을 이해하고 필요한 기능들을 현장에서 적용시켜야 한다.

Enhancement of Processing Capabilities of Hippocampus Lobe: A P300 Based Event Related Potential Study

  • Benet, Neelesh;Krishna, Rajalakshmi;Kumar, Vijay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9-123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nfluence of music training on different areas of the brain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but the underlying neurobehavioral mechanisms remain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training for more than three years in Carnatic music (an Indian form of music) on the discrimination ability of different areas of the brain were tested using P300 analysis at three electrode placement sites.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27 individuals, including 13 singers aged 16-30 years (mean±standard deviation, 23±3.2 years) and 14 non-singers aged 16-30 years (mean age, 24±2.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ingers had 3-5 years of formal training experience in Carnatic music. Cortical activities in areas corresponding to attention, discrimination, and memory were tested using P300 analysis, and the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Intelligent Hearing System. Results: The mean P300 amplitude of the singers at the Fz electrode placement site (5.64±1.8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singers (3.85±1.60; t(25)=3.3, p<0.05). The amplitude at the Cz electrode placement site in singers (5.90±2.1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singers (3.46±1.40; t(25)=3.3, p<0.05). The amplitude at the Pz electrode placement site in singers (4.94±1.8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singers (3.57±1.50; t(25)=3.3, p<0.05). Among singers, the mean P300 ampl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z site than the other placement sites, and among non-singers, the mean P300 ampl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z site than the other placement sites, i.e., music training facilitated enhancement of the P300 amplitude at the Cz sit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than three years of training in Carnatic singing can enhance neural coding to discriminate subtle differences, leading to enhanced discrimination abilities of the brain, mainly in the generation site corresponding to Cz electrode placement.

Enhancement of Processing Capabilities of Hippocampus Lobe: A P300 Based Event Related Potential Study

  • Benet, Neelesh;Krishna, Rajalakshmi;Kumar, Vijay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5권3호
    • /
    • pp.119-123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nfluence of music training on different areas of the brain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but the underlying neurobehavioral mechanisms remain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training for more than three years in Carnatic music (an Indian form of music) on the discrimination ability of different areas of the brain were tested using P300 analysis at three electrode placement sites.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27 individuals, including 13 singers aged 16-30 years (mean±standard deviation, 23±3.2 years) and 14 non-singers aged 16-30 years (mean age, 24±2.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ingers had 3-5 years of formal training experience in Carnatic music. Cortical activities in areas corresponding to attention, discrimination, and memory were tested using P300 analysis, and the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Intelligent Hearing System. Results: The mean P300 amplitude of the singers at the Fz electrode placement site (5.64±1.8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singers (3.85±1.60; t(25)=3.3, p<0.05). The amplitude at the Cz electrode placement site in singers (5.90±2.1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singers (3.46±1.40; t(25)=3.3, p<0.05). The amplitude at the Pz electrode placement site in singers (4.94±1.8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singers (3.57±1.50; t(25)=3.3, p<0.05). Among singers, the mean P300 ampl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z site than the other placement sites, and among non-singers, the mean P300 ampl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z site than the other placement sites, i.e., music training facilitated enhancement of the P300 amplitude at the Cz sit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than three years of training in Carnatic singing can enhance neural coding to discriminate subtle differences, leading to enhanced discrimination abilities of the brain, mainly in the generation site corresponding to Cz electrode placement.

K-Pop Music Worldwide and Digital Marketing Role in Brazil

  • Lourenco, Patricia Portugal Marques de Carvalho;Kim, Sang Yo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63-88
    • /
    • 2016
  • K-Pop is hugely promoted offline/online in East Asia, while efforts to promote it elsewhere are kept to a minimum. Whilst addressing the role of digital marketing in the promotion of K-Pop in the Brazilian music industry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K-pop will provide its audience with a unique and engaging experience if it thinks globally and acts locally in its marketing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A survey of K-Pop's world fan base was carried out online with 1,074 fan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The results have demonstrated the need to adapt global and intercultural strategies to local markets with increasing brand awareness through utilizing digital marketing. For example, to increase K-Pop's popularity and market share in Brazil, it is not required to sing in Brazilian Portuguese, contrary to what might be perceived but fully singing in English would help breaking into the market dominated by domestic music as songs would have a higher probability to be included in the international soundtrack of a Brazilian telenovela and promote the K-Pop artist not only across Brazil but also give the artist exposure in all the markets the Brazilian telenovela is exported to, opening an entry door to those markets. K-Pop audience segmentation and psychographic profiling is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each market's consumer's preferences, likes, dislikes and their buying habits as it was proven through Brazil's digital media, social media, digital music market and K-Pop market analysis within the global context of the study. It should be also considered that brand extensions are not standard everywhere and that there are cultures where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are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its main corporate owner which requires extensive local market knowledge to succeed. The primary and secondary data research that we conducted for this study intended to demonstrate that K-Pop can be successful in Brazil and in Latin America and increase their local and regional market share if digital marketing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tailored to each individual market.

국내·외 중등도 및 중증 치매 노인 대상 음악 중재 연구 고찰 (A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With Elderly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 이현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2호
    • /
    • pp.1-26
    • /
    • 2022
  • 본 연구는 중등도 및 중증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음악 중재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참여자의 임상적 특성이 고려된 음악 중재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검색을 통해 선정된 17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종속 변인은 행동심리증상 등 심리·정서적 변인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참여유형을 살펴보면 내담자의 활동 참여가 요구되는 적극적 유형이 감상만 하는 수용적 유형보다 많았다. 중재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과반수가 라이브 음악, 친숙하고 선호하는 음악 선곡, 리듬기반 연주활동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유형의 음악중재 내용을 살펴보면 음악에 맞춰 그룹 연주나 노래를 하며 유발되는 감정을 말하도록 하는 것으로 참여자가 중등도와 중증이 혼합된 경우와 중증 치매만인 경우 차이점이 없어 중증 치매가 지닌 기능적 한계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중증 치매 노인의 의미있는 음악경험을 위한 중재구성과 내담자의 치매 진행 정도에 따른 음악치료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라디오와 노인: 라디오 노인 대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Radio and Senior Generation: Focused on Radio Program for Senior)

  • 홍명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329-1344
    • /
    • 2010
  • 본 연구는 라디오 노인 대상 프로그램의 제작자들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노인 대상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지를 고찰했다. 이를 위해 현재 노인 대상 라디오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고 있는 PD, 작가, 진행자를 심층 인터뷰했다. 연구결과, 첫째로, 제작자들은 노인대상 프로그램의 청취자들이 충직한 청취자 군을 형성하고 있다고 파악했다. 노인들은 프로그램 내용면에서는 건강, 정보, 노래 부르기를 선호하고, 진행자와 의사사회관계를 형성했다. 둘째, 방송사들은 이윤 획득이나 청취율보다는 공익 구현과 방송사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노인대상 프로그램을 편성했다. 노인 대상 프로그램은 모두 새벽 시간대에 편성되고 있다는 고정관념과는 달리 채널의 성격에 따라 오후 황금시간대 편성이 되기도 했다. 대상 시청자층은 60세 이상 노인에서 40대, 50대로 확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로 라디오 프로그램의 제작자의 역할에서는 진행자와 작가의 역할이 돋보였다. 진행자는 해당 프로그램을 상징하는 존재로서 청취자를 결집하는 구심점이 되었다. 작가는 장기간 집필하면서 프로그램의 명맥을 있는 역할을 하며 전문 작가 군을 형성하고 있다. 반면 PD는 방송사의 편성 방침에 따라 6개월-1년 단위로 교체되어 프로그램의 운영이나 내용 면에서 새로움과 변화를 가져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