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ing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5초

<금옥총부>를 통해 본 안민영의 가악 활동과 가곡 연창의 방식 (Ahn Minyoung's activities on Music and the ways of Gagok playing through 'Geumokchongbu')

  • 김용찬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4집
    • /
    • pp.139-171
    • /
    • 2006
  • <금옥총부>는 안민영의 개인 작품만으로 이루어진 가집(歌集)이다. 가집 편찬자이자 가창자(歌唱者)로 활동했던 안민영은 조선 후기. 특히 19세기의 시조 문학사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루어야만 하는 인물이다. 그가 편찬한 가집인 <금옥총부>의 검토를 통해서, 안민영의 탁월한 음악적 재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곡원류>는 물론 <금옥총부>라는 가집 역시 그의 치밀한 음악적 고려에 의해 탄생된 가집인 것이다 가집에 수록된 음악의 곡조는 당시 연창(演唱)되던 가곡의 상황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대체로 <금옥총부>를 비롯한 이 시기에 편찬된 가집의 편제는, 오늘날 가곡 연창의 전통으로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가집의 편자인 안민영에 대해서는 그동안 적지 않은 연구 성과들이 제출되었지만, 그의 개인사적 면모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부분 해명되지 못한 채로 남아있다. <금옥총부>에는 매 작품마다 작품의 창작 배경이나 다양한 설명을 곁들인 발문이 기록되어 있다. 발문 중에서는 작품의 창작 연대를 밝힌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연대기를 통해 안민영의 생애에 대해서 어느 정도 추적해 나갈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음악에 대한 해박한 식견이 드러나기도 했으며. 대원군 이하응을 비롯한 왕실 인물들과 당대 예인(藝人)들과의 활발한 교유의 구체적인 실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도 가집에 수록된 일부의 특정 곡조들을 취해서 부분적으로 묶어 부르는 연창 형식이 존재했음도 확인되었다. 예컨대 대원군이나 왕실 인물들에게 바치는 '하축시(賀祝詩)'는 그 성격상 철저히 연창을 전제로 창작된 것이다. 따라서 특정 인물들에게 바친 '하축시'는 동일한 장소에서. 같은 세트로 묶여 연창된 것임이 분명하다. 이를 통해 당시 가곡의 연창 방식이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 졌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신계영의 <전원사시가> 고찰 - '제석(除夕)'의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Jeonwonsasiga of Shin Gye Young - focused on the 'Jesuk' -)

  • 김상진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4집
    • /
    • pp.113-137
    • /
    • 2006
  • 이 논문은 신계영의 <전원사시가>에 대한 고찰이다. <전원사시가>는 사시가계 연시조 가운데 하나로. 일년 사시인 춘하추동과 함께 '제석'을 노래하고 있다. 그간 <전원사시가>에 대한 논의는 17세기 시가사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언급되거나, 작품을 논의 할 때도 다른 작품과의 관계 속에서만 다루어졌을 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무엇보다 <전원사시가>의 작품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전원사시가>의 특성 가운데 하나는 춘하추동을 각 두 수씩 노래하고 이어 '제석'을 노래하였다는 점이다. '제석'이 란 섣달 그믐밤이 란 특정시간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것을 출하추동과 동일하게 다루었다는 것은 그것이 지니는 의미가 그들과 대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제석'이 작품에서 지니는 의미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랬을 때 '제석'은 일년 사시와 하루 사시가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전원사시가>의 1연에서 8연까지가 일차적으로는 춘하추동의 일년 사시를 노래하지만 그 이면에는 단주모야의 하루 사시를 동시에 노래하고 있는데, 제석은 이러한 두 유형의 사시가 병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제석'은 작품 전체의 시상을 마무리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데, 이로써 전원에 대한 화자의 인식을 엿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일견 늙음을 아쉬워하는 것과도 같은 '제석'의 두 작품은 그가 전원을 즐거움의 공간으로 인식하였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편 '제석'을 포함한 <전원사시가> 10수는 그것이 시간, 혹은 공간 질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됨으로써 계기적 구조물로서의 연시조의 성격에 부합된다. 이는 작품이 지니는 전원의 이미지와 함께 17세기 연시조의 위상을 가늠하게 하는 것으로써 또 다른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 PDF

연하장애환자의 후두기능 및 연하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 음악중재사례 (Therapeutic Singing-Based Music Therapy for Patients With Dysphagia: Case Studies)

  • 여명선;김수지
    • 재활복지
    • /
    • 제22권1호
    • /
    • pp.169-194
    • /
    • 2018
  • 본 연구는 세 명의 연하장애환자들을 대상으로 후두관련기능의 개선을 목표로 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를 시행하고, 각 사례 별로 관찰된 변화를 기술한 개별 사례연구이다. 중재는 개별 세션의 형태로 매 회기 30분, 주 3회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시행된 프로그램은 호흡근 이완, 구강근육운동, 후두상승 유지를 위한 발성과 치료적 노래부르기 등의 순서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의 연하 및 말하기 기능, 삶의 질 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매 회기 후두교호운동속도, 최대발성시간, 음성 질 관련 항목 등을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로 설문을 통해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중재 과정에서 대상자의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변화의 양상이 관찰되었고, 중재 후에는 모든 대상자의 후두교호기능 및 음성 질 지표 측정값에 변화가 있었으며, 연하관련 삶의 질 평가점수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프로그램이 다양한 원인에 의한 연하장애환자들의 후두관련기능 및 삶의 질 영역에 공통적으로 혜택을 줄 수 있다는 점과, 중재 시 대상자의 기능적 특성에 따라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현대 뮤지컬 노래 교육을 위한 보컬 발성 스케일 모델 연구와 적용 (Study and Application of Vocal Scale Models for Contemporary Musical Theatre Singing Education)

  • 이은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27-139
    • /
    • 2021
  • 본 연구는 현대 뮤지컬 양식에 나타난 다양한 음악 장르를 시연하기 위해, 대표적인 뮤지컬 노래 장르를 선택하고 노래를 위한 발성스케일의 적용을 제시하였다. 뮤지컬 음악 장르는 뮤지컬 양식의 변화에 따라 1900년대 초반을 뮤지컬 초기, 1940-1960년대를 뮤지컬 중기, 또는 뮤지컬의 황금기, 1970년대 이후를 현대 뮤지컬로 나위면서 다양하게 등장한다. 뮤지컬 양식사의 변화에 따라 음악이 장르와 노래의 창법도 다변화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단위 분류로써 뮤지컬의 대표적인 장르로 <클래식 브로드웨이(Classic Broadway), 컨템퍼러리 브로드웨이(Contemporary Broadway), 재즈/블루스(Jazz/Blues), 팝/록(Pop/Rock)>을 선정하고, 소단위 분류로써 음악 장르를 대표할 수 있는 작품 5개와 대표 노래 5개를 선정하였다. 각 음악 장르를 대표하는 노래를 창법은 크게 <오페라의 유령>의 레짓, <인어공주>의 팝,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의 락, <헤어스프레이>의 재즈/블루스, <해밀턴>의 힙합과 랩으로 나누어 발성 스케일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통해 뮤지컬 역사에 나타난 시대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음악이 뮤지컬의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창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5장르와 5작품을 선정하여 분석의 범위를 제한하였지만, 후속 연구를 통해 확대하고자 한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뮤지컬 보컬 교육의 다양성과 발성법을 연구하는 다각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Singing Voice Care

  • 권영경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184-186
    • /
    • 2003
  • 배경 : 전문 음성 사용자(professional voice user)중 성악인들은 특히 음성문제에 관심이 많으며, 전문 성악인이나 성악전공학생들은 항상 가장 좋은 발성으로 아름다운 연주를 하기 위해 노력한다(이정희 1992 ; 황화자 1999 ; Appleman 1986). 목적 : 병변이 없는 정상 성악인과 병변이 있는 성악인의 경우, 음성언어치료사가 행할 수 있는 치료접근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중략)

  • PDF

The effect of Changbu-taryung on stress management: An outstanding chef on Changbu-taryung, Korean traditional music, Tae-yong Jeon is cook on YouTube (https://youtu.be/HKa8ds7PjKE)

  • Ko, Kyung-Ja
    • 셀메드
    • /
    • 제6권3호
    • /
    • pp.20.1-20.3
    • /
    • 2016
  • Changbu-taryung has long been known as a one of the best folksong in Korea. There had been no report for music therapy on stress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debates that Changbu-taryung may has beneficial effect on stress management. As a wonderful food can make people recover of disease, listen to delightful music can be a healthy way of healing our emotions. People tend to listen to glad music when they want to progress their mood because peculiar qualities comprised in that music entertain us and promote emotional state. Tae-yong Jeon is a creative destroyer and an out-of-box singer on Changbu-taryung. He has a good command of melody and rhythm. And he was singing with diverse and sweet tunes. That is where he is at his strongest. He rejected the conventional singing that would confine him to particular skill. As if he does enjoy the pleasure of his own cooking. The author recommend you listen to delightful and shapeshifter music when you often feel stressed out. This article indicates that Changbu-taryung may have beneficial effect on stress management.

도시 공공장소에 어울리는 환경음의 선호도 및 평가요인 (The Preference and Amenity Factors of the Environmental Sounds Suitable for Urban Public Spaces)

  • 장길수;국찬;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11호
    • /
    • pp.890-896
    • /
    • 2003
  • It is said that the goal of the design of good acoustical environment is at first the reduction of undesirable sounds. and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desirable sounds by which our minds are soothed. The task of creating the desirable sounds leads to the realization of a comfortable acoustic environment and the design of soundscape. It may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of soundscape design to select suitable sounds for the target spaces. because each space has a different surrounding condition and requires a special ambient sound. This paper aims to survey preference of the environmental sounds suitable for the public spaces in urban areas such as parks. bus terminals. 35 kinds of natural sounds are. rated by 26 pairs of adjectives. The results of psycho-acoustic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The proper adjectives for expressing the environmental sounds are classified into 6 groups of comfort, pleasure, fullness. variety, distinctness. and naturalness. 2. Bird singing. murmuring of a stream, artificial sounds. singing of insects and animals are the affirmative rank of preference. 3. Green musics consisted of music and natural sounds are preferred to the pure natural sounds. 4. Sound level relative to background noise causes various preferences to natural sounds in public spaces.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 김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9-397
    • /
    • 2008
  •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The subjects are early childhood teachers(N=217)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Jeonbu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the tests of frequency, Cronbach's $\alpha$, t-test, ANOVA and Dunca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being aware of importance of infant music activity in the order of "aesthetic explor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Second, according to teachers' working place, the teachers have no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while, according to children's age in the class which the teachers are taking charge of, they show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 activities of "exploring movements " and "respect for artistic expression". Third,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they have difference of perception in "singing" activity only, whil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they have no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all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teachers' age, they have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 activities of "aesthetic exploration", "exploring sound", and "sin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