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pson's Index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8초

보온절충(保溫折衷) 못자리에 있어서 잡초군락(雜草群落) 조사연구(調査硏究) (Investigation of Weed Flora In Protected Semi - Irrigated Rice Seedbed)

  • 임주혁;전재철;양환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18
    • /
    • 1985
  • 전북지역(全北地域)의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잡초(雜草)의 군락형태(群落形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북지역(全北地域)의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는 12과(科)22종(種)이었으며, 일년초(一年草) 13종(種) 및 다년초(多年草) 9종(種)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2. 발생빈도별(發生頻度別)로 보면 피, 알방동사니, 쇠털골 및 물달개비등(等)은 100%의 발생율(發生率)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및 여뀌바늘이었다. 3. 1983년(年) 및 1984년(年)에 전체(全體) 조사지역(調査地域)의 각각(各各) 82% 및 89%가 Simpson 지수(指數) 0.1~0.5 사이를 나타내어, 잡초식생(雜草植生)이 다양화(多樣化)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2개년(個年)의 주요우점초종(主要優占草種)은 모두 피 및 알방동사니이었으며, 군락우점도(群落優占度)는 1983년(年)에 0.61에서 1984년(年)에 0.67을 나타내었다.

  • PDF

천마산 동부릉선 남북사면의 삼림식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Vegetation at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of the Eastern Ridge in Mt. Cheonma, Central Korea)

  • Lee, Nam-Ju;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4호
    • /
    • pp.213-225
    • /
    • 1988
  • The plant communities of the eastern ridge in Mt. Cheonma, Central Korea, Quercus mongolica, Q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and Q.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ies in the northern slope and Q. variabilis and Q. cutissima communities in the southern slope were detected by Zurich-Montpellier method. The undergrowth of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northern slope was dominated by Ainsliaea acerifolia, Carex siderostict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Heloniopsis orientalis, Pseudostellaria palibiniana, ranging 3.3 to 2.2 in dominance-sociability, while the those of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in the southern slope were dominated by Spodiopogon cotulifer, Artemisia keiskeana, Carex humilis, Atractylodes japonica, Lysimachia clethroides and Disporum smilacinum with similar degree in dominance-sociability to that of Q mongolica community. The two communities were considered as regenerating forest after severe disturbance judging by their age stru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nnon's diversity index (H') and Simpson's dominance index (i) was in reciprocal proportion in both two communities. The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communities were showed 13 and 12 m respectively. Seasonal changes of undergrowth coverage in the two communities were seemed to be affected especially with soil moisture amo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light intensity, relative humidity and organic matter.

  • PDF

줄댕강나무 (Abelia tyaihyoni) 집단의 유전다양성 및 공간구조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Structure in Populations of Abelia tyaihyoni)

  • 정지희;김규식;이철호;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67-675
    • /
    • 2007
  • I-SSR 표지자를 이용하여 영월지역의 줄댕강나무 2개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과 공간구조가 조사되었다. 줄댕강나무는 분포가 제한되어있고 집단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개체 수준에서 추정된 유전변이는 다른 관목류와 유사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S.I.=0.336, h=0.217). Genet 수준에서 조사된 유전다양성 역시 개체 수준의 값과 큰 차이가 없었다(S.l.=0.339, h=0.219). 전체 유전변이의 약 18.7%가 집단 간 차이로 나타나, 다른 관목류에 비해 다소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N_G/N$ 값과 Simpson's index로 추정된 유전자형 다양성 역시 다른 관목류에 비해 높았다($N_G/N=0.729$. $D_G=0.988$). 한 genet의 최대직경은 5.5 m로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유전자 및 유전자형 다양성과 genet의 작은 직경 크기는, 무성번식이 줄댕강나무 집단의 유전적 구성에 차지하는 비중이 그렇게 크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개체 및 genet 수준에서 큰 차이 없이, 약 12-18 m 거리 내에 분포하는 개체 간에 자기상관성이 인정되었다. 줄댕강나무 집단의 현지외 보전을 위한 표본 추출 시, 연속 분포하는 집단에서는 최소 18m 이상의 간격을 두는 것이 좋고, 소규모 단편으로 분리되어 분포하는 경우 최대한 많은 단편으로부터 표본을 채취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Salmonella enterica subspecies enterica bioserovar Pullorum의 분자유전학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Genetic Diversity of Salmonella enterica subspecies enterica bioserovar Pullorum using the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 우용구;이수화;이철현;이오수;김봉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7-86
    • /
    • 2003
  • Pullorum disease due to Salmonella enterica subspecies enterica bioserovar Pullorum (S. pullorum) is reported to be an endemic disease in domestic poultry flocks. The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subtyping method was used to assess the extent of genetic diversity and clonality of most of salmonella serotypes and other diverse bacterial species from animals and environmental samples in worldwide. Nowadays, PFGE has already been evaluated as a gold standards for molecular subtyping of salmonella serotypes compared with other molecular analysis methods. PFGE of XbaI digested chromosomal DNA from 23 strains of S. pullorum gave 5 distinctive pulsotypes (from SXPI to SXPV) with 5% confidence range of Dice coefficients, indicating that PFGE is very discriminative and that multiple clones of S. pullorum have been existed and diffused all of domestic poultry flocks industries since 1995. Two dominant pulsogroups (SXA & SXB) appeared as a major clones in this country, because they had consistently been recovered from diverse sources including both chicken organs and raw feed materials between 1995 and 1998. In addition, the matching percentage of PFGE profiles (PFP) among strains from both chickens and feed ingredients provides indirect evidence of the possible transmission of pullorum disease from contaminated raw feed ingredients for chicken production. In calculating of discrimination index (DI) for PFGE method by Simpson's index, DI was appeared as 0.917. Therefore, this index suggested that the present PFGE would seem to be a desirable and confident molecular typing method for S. pullorum strains. To our knowledge for pullorum disease, this is the first study to compare S. pullorum strains from chicken organs and feed samples using the PFGE.

사과 과수원(果樹園)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 우인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4-168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사과 과수원(果樹園)에서 잡초방제법(雜草防除法)을 확립(確立)하는데 필요(必要)한 자료(資料)를 얻고자 아산(牙山)과, 예산(禮山) 2개(個) 지역(地域)을 선정(選定)하여 약(約) 15일(日) 간격(間隔)으로 잡초(雜草)를 채취(採取)하여 잡초수(雜草數), 건물중(乾物重), 발생잡초(發生雜草)의 종생태적(種生態的) 및 사회적특성분석(社會的特性分析)과 우점도(優占度)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8과(科) 48종(種)이 발생(發生)했으며 명아주, 여뀌가 우점(優占)하였고 바랭이, 쇠비름, 망초가 차우점(次優占)하였다. 2. 잡초발생본수(雜草發生本數)는 4월(月), 건물중(乾物重)은 6월(月)과 10월(月)에 많았으며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의 발생(發生)이 많았고 월년광엽잡초(越年廣葉雜草)와 월년화본과잡초(越年禾本科雜草)는 봄에 발생(發生)이 많았다. 또한 연간(年間) 잡초(雜草)의 발생양상(發生樣相)을 보면 3월(月)에 발생(發生)하여 초여름까지 생육(生育)하는 초종(草種)은 월동잡초(越冬雜草)인 냉이, 둑새풀 이었으며 4월(月)에 발생(發生)하여 가을까지 생육(生育)하는 초종(草種)은 여뀌, 명아주였고 6월(月)에 발생(發生)하여 가을까지 생육(生育)하는 초종(草種)은 바랭이, 쇠비름 등(等)이었다. 3. 시기별(時期別) 종다양도(種多樣度), 최대종(最大種) 다양도(多樣度)와 안정도(安定度)가 높아 발생초종(發生草種)이 많은 숙전(熟田)이었으며 Simpson 지수(指數)도 높아 몇 초종(草種)이 우점(優占)하는 군락(群落)이었고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종내경쟁(種內競爭)보다 높아 초종간(草種間) 경쟁(競爭)이 많았다.

  • PDF

마늘 및 고추 경작지(耕作地)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Garlic and Red Pepper Fields)

  • 우인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원예작물(園藝作物) 경작지(耕作地)에서 잡초방제방법(雜草防除方法)을 확립(確立)하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마늘은 월동전(越冬前)인 1984년(年)과 월동후(越冬後)인 1985년(年), 고추는 1985년(年)에 천원(天原), 아산(牙山), 서천(舒川), 유성(儒城) 4개(個) 지역(地域)에서 2개(個) 지점(地點)을 선정(選定)하여 약(約) 15일(日) 간격(間隔)으로 잡초(雜草)를 채취(採取)하여 잡초수(雜草數), 건물중(乾物重), 발생잡초(發生雜草)의 종생태적(種生態的) 및 사회적(社會的) 특성(特性) 분석(分析)과 우점도(優占度)를 구명(究明)하였다. 1. 마늘경작지(耕作地)에 발생(發生)하는 초종(草種)은 27과(科) 68종(種)이었으며 우점초종(優占草種)은 쇠비름, 명아주, 바랭이였고 차우점초종(次優占草種)은 쇠뜨기, 둑새풀, 강아지풀이었으며 발생잡초(發生雜草)의 본수(本數)는 5월(月), 건물종(乾物種)은 6월(月)에 가장 많았고 마늘재배기간(栽培期間) 동안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가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2. 고추경작지(耕作地)에서는 17과(科) 38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했으며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이 우점(優占)하였고 피, 왕바랭이, 민바랭이, 중대가리풀 등이 차우점(次優占)했으며 발생잡초(發生雜草)의 본수(本數)는 6월(月)에 많았고 건물중(乾物重)은 6월(月)과 10월(月)에 낮았던 것을 제외하면 재배기간(栽培期間) 동안 큰 차이가 없었으며 여름 화본과(禾本科)와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는 6, 7월(月)에 발생(發生)이 많았다. 3. 고추경작지(耕作地), 마늘경작지(耕作地)에서 시기별(時期別) 종다양도(種多樣度), 최대종다양도(最大種多樣度)와 안정도(安定度)가 높아 발생초종(發生草種)이 많은 숙전(熟田)이었으며 Simpson 지수(指數)도 높아 몇 초종(草種)이 우점(優占)하는 군락(群落)이었고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종내경쟁(種內競爭)보다 높아 초종간(草種間) 경쟁(競爭)이 많았다.

  • PDF

서울 종여울산의 이차림에 관하여 (On the Secondary Forest of Jongyeoul Hill, Seoul)

  • Yim, Yang-Jai;Woon-Young Bai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43-51
    • /
    • 1987
  • The forest vegetation of Jongyeoul hill, Seoul, was classified into six secondary forests and two plantations by ZM method; Pinus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hirsu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Castanea crenata and Pinus koraiensis plantation. In the herb layer the species richness and total coverage of deciduous broad leaf forests showed higher values than those of evergreen needle leaf forests. The peak in July at Q. acutissima forest and in the middle of June at R. pseudoacacia forest. Simpson's diversity index(Ds) in different stands are as follows: Ds>0.6 in R. pseudoacacia forest, Ds=0.3~0.6 in Q. acutissima forest and Ds<0.3 in P. densiflora and P. rigida forest. It is found that, although dominance rank and importance value were originated from different school each other, two measures can be used exchangablym showing almost linea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in this study.

  • PDF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에 의(依)한 과수원(果樹園) 잡초군락(雜草群落)의 변화(変化) (Changes of Weed Populations Affected by Herbicide Treatment in Apple Fields)

  • 김길웅;신동현;조용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34-41
    • /
    • 1984
  • 과수원(果樹園)에 발생(發生)하는 주요잡초(主要雜草)의 연차별(年次別) 변화(變化)와 제초제(除草劑)의 연용처리(連用處理)에 의한 잡초우점도(雜草優占度) 및 군락(群落)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과수원(果樹園)에 발생(發生)된 문제(問題)의 잡초(雜草)는 바랭이, 조뱅이, 이기메꽃, 마디풀, 돌피, 쇠비름 등(等)으로 연차별(年次別)에 비슷하였으며 바랭이가 매년 가장 우점(優占)하는 잡초(雜草)로 판명(判明)되었다. 잡초우점도(雜草優占度)를 나타내는 Simpson's index에서 oxyfluorfen 처리구(處理區)는 1년차(年次)에 0.20이던 것이 3년차(年次)에 0.33으로 다소 증가(增加)하였으나 지수자체(指數自體)가 낮아 특정(特定)하게 우점(優占)하는 잡초(雜草)가 없이 고르게 방제효과(防除效果)가 있었고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는 1년차(年次)에 0.56이던 것이 2년차(年次)에 다소 높았다가 3년차(年次)에는 0.32로 낮아지는 경향(傾向)을 보이면서 잡초초종(雜草草種)이 다양(多樣)해졌다. 잡초군락(雜草群落)의 변화(變化)를 나타내는 비유사성계수(非類似性係數)는 oxyfluorfen 처리구(處理區)에서 1~2년차간(年次間)에 41.6이던 것이 1~3년차간(年次間)에는 58.8로 증가(增加)되어 무처리구(無處理區)보다 연차간(年次間)에 잡초초종(雜草草種)의 변화(變化)가 심하였다. 건물중(乾物重)으로 본 oxyfluorfen의 방제효과(防除效果)는 연차간(年次間)에 차이(差異)는 있었으나 3년(年)동안에 무처리구(無處理區)의 건물량(乾物量) 약 $100g/m^2$ 이상에 대하여 95% 이상의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내었고 oxyfluorfen 처리(處理)에 의해서 다년생(多年生)과 이년생잡초(二年生雜草)의 비율(比率)이 증가(增加)하여 총(總) 건물량(建物量)의 약 59%를 차지하였으며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는 70% 이상이 바랭이였다.

  • PDF

Effects of reforestation approaches, agroforestry and woodlot, on plant community composition, diversity and soil properties in Madhupur Sal forest, Bangladesh

  • Hasan, Mohammad Kamrul;Islam, Md. Tariqul;Akter, Rojina;Roshni, Nasima Akther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3호
    • /
    • pp.204-217
    • /
    • 2022
  • Background: Increasing land demands for food production have led to biodiversity loss and land degradation in the Madhupur Sal forest. Reforestation activities such as agroforestry and woodlot plantation support the conservation of diversity, restoration of forest and prevention of soil erosion in degraded natural Sal forest. Knowing about these reforestation activities, this study is needed to compare the species composition, richness, and soil nutrients of these two plantation activities to the natural Sal forest in the degraded Madhupur Sal forest in Bangladesh.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in between the reforestation activities, the highest Shannon-Wiener index (1.79), evenness (0.60) and Simpson's index (0.79) were found in the agroforestry site compared to the woodlot plantation site. On the contrary,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n = 14), tree basal area (19.56 m2 ha-1), Margalef's index (1.96) were recorded in woodlot plantation than in the agroforestry site. We observed that at 0-15 cm depth, soil organic matter (2.39%), total nitrogen (0.14%), available phosphorous (62.67 ㎍ g-1) and exchangeable potassium (0.36 meq/100 g) in agroforestry plot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 forest sites. At topsoil (15-30 cm depth), soil organic matter (1.67%) and available phosphorous (21.09 ㎍ g-1) were found to be higher in agroforestry site. Conclusions: Both reforestation approaches improved soil function, although woodlot plantation had the higher species richness. Therefore, plantation activities by the sustainable implementation of these two practices are the best alternative to restore the biodiversity, richness and conserve soil fertility in the Madhupur Sal forest of Bangladesh.

수도(水稻) 재배양식(栽培樣式) 차이(差異)에 따른 잡초(雜草) 발생특성(發生特性) 연구(硏究) (Emergence and Growth of Weeds in Paddy Fields as Affected by Cropping Pattern)

  • 구자옥;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0-43
    • /
    • 1981
  • 본(本) 연구(硏究)는 시험전(試驗前) 일년간(一年間) 잡초방임상태(雜草放任狀態)로 수도작(水稻作)을 경작(耕作)하였던 답(畓)에 6유형(類型)의 재배양식(栽培樣式) 즉 직산파(直散播), 직조파(直條播), 기계이앙(機械移秧), 관행(慣行)손이앙(移秧), 조기이앙(早期移秧) 및 만기이앙재배법(晩期移秧栽培法)을 두고 초형(草型)과 생태특성(生態特性)이 다른 두 품종(品種) 밀앙(密%)23호(號)와 사도미노리를 공시(供試)하여 각(各) 처리(處理)의 잡초방임조건하(雜草放任條件下)에서 잡초(雜草)의 발생생태(發生生態) 특성차이(特性差異)를 파악(把握)하고저 시도(始圖)하였다.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다음과 같다. 1. 시험지(試驗地)에서 출현(出現)한 잡초종(雜草種)은 약(約) 22종(種)으로 화본과잡초군(禾本科雜草郡)에서는 3종(種), 광엽잡초군(廣葉雜草群)에서는 13종(種), 사초과잡초군(雜草郡)에서는 6종(種)이었다. 2.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직파(直播)와 조기이앙(早期移秧)에서 많았고 만기이앙(晩期移秧)에서 가장 적었으며 시기적(時期的)으로는 파종(播播) 및 이앙후(移秧後) 12주(週)에 가장 많았다. 3. 잡초군별(雜草群別) 발생량(發生量)은 사초과${\gg}$광엽류>화본과의 순(順)으로 많았으며 사초과잡초군(雜草群)의 발생량(發生量)은 직파(直播)${\gg}$조기(早期)>관행(慣行)>기계 및 만기이앙구(晩期移秧區)의 순(順)으로, 광엽잡초군은 직산파${\gg}$직조파(直條播)${\gg}$기계(機械)>관행(慣行)${\fallingdotseq}$조기(早期)${\fallingdotseq}$만기이앙구(晩期移秧區)의 순(順)으로 많았고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의 경우는 사초과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4. 화본과잡초군(禾本科雜草郡)은 생육진전(生育進展)에 따라 단일군락(單一群落)으로 집락화(集落化)하는 경향인 반면(反面) 광엽잡초군(廣棄雜草群)은 혼생군락화(混生群落化)의 경향이 인정(認定)되었고 사초과는 모든 경우에 작물품종간(作物品種種間) 차이(差異)도 없이 우점하는 경향이다. 5. 잡초군간(雜草群間)의 평균초장(平均草長)은 화본과(禾本科)>사초과>광엽류의 순(順)으로 컸으며 사초과와 광엽류잡초군의 초장(草長)은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았다. 6. 경지내(耕地內)의 식물군간(植物群間) Importance Value변이(變異)는 화본과(禾本科)와 사초과잡초군(雜草群)이 대체(大體)로 12% 범위(範圍)였으나 사초과잡초군(雜草群)은 10~80% 범위(範圍)로써 재배양식(栽培樣式) 및 생육진전(生育進展)에 따른 변이(變異)가 컸다. 7. Simpson's Index 분석결과(分析結果), 조기(早期) 및 관행이앙(慣行移快)에서는 생육진전(生育進展)에 따라 다종혼합군락화(多種混合群落化)의 경향을 보였고 직파(直播)와 만기이앙(晩l期移快)에서는 단순군락화(單純群落化) 경향(傾向)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