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ple snoring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 무엇으로 치료할 것 인가? 구강내장치를 중심으로 -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 Oral Appliance Therapy of Snoring and OSA -)

  • 송윤헌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0-195
    • /
    • 2010
  • Oral appliance therapy is a simple, reversible way for improving snoring and/or obstructive sleep apnea. It may be indicated for the patients who are unable to tolerate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or who have potential risks for surgical intervention. Oral appliance therapy increases airway space by the providing stable anterior positioning of the mandible, pulling out tongue, lifting up soft palate, or changing the muscle activity of the genioglossus. Currently, more than 80 different types of oral appliances have been introduced for snoring and/or obstructive sleep apnea. They are classified by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mode of action, adjustability and material used. This article provides a detailed clinical protocol and treatment procedure for oral appliance therapy.

2014.21.1.21폐쇄성수면무호흡증과 단순코골이 환자의 성격 특성 : 예비연구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imple Snoring : A Preliminary Study)

  • 강재명;강승걸;이유진;정주현;강일규;황희영;김지언;이헌정;신승헌;박기형;김선태
    • 수면정신생리
    • /
    • 제21권1호
    • /
    • pp.21-28
    • /
    • 2014
  • 목 적: 폐쇄성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과 단순코골이(simple snoring) 환자들의 성격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이젱크 성격검사(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를 사용하여 OSA와 단순코골이 환자들의 성격적 특성과 차이를 연구하였다. 방 법: OSA나 단순코골이가 의심되는 237명의 피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모든 피험자들은 EPQ 등의 설문 검사를 받았고, 수면다원검사실에서 야간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무호흡저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AHI) 5 이상은 OSA, 5 미만은 단순코골이로 분류되었다. 결 과: OSA군은 단순코골이군에 비해 정신병적 경향성(Psychoticism)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F=4.563, p=0.034). 기타 외향성-내향성(Extraversion, F=3.029, p=0.083), 허위성(Lie, F=0.398, p=0.529), 신경증적 경향성(Neuroticism, F=3.367, p=0.068)에서는 OSA군과 단순코골이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OSA군 내에서 시행한 상관분석결과 AHI가 높을수록 외향성(r=0.16, p=0.029)이 높았고, 허위성(r=-0.31, p<0.001)이 낮았다. OSA군에서 EPQ의 네 가지 척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허위성은 나이가 많고(B=0.14, p<0.001), AHI가 낮을수록(B=-0.05, p<0.001) 증가하였다. 정신병적 경향성은 피츠버그 수면질 설문(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이 높을수록(B=0.14, p<0.001), 신경증적 경향성은 PSQI가 높고(B=0.34, p=0.001), 여성인 경우(B=3.15, p=0.003) 증가하였다. 외향성은 나이가 적고(B=-0.08, p=0.020),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가 높을수록(B=0.26, p=0.023) 증가하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OSA 환자들이 단순코골이 환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정신병적 경향성이 낮음을 보여주었다. OSA군 내에서는 AHI가 높을수록, 허위성이 낮고 외향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코골이 감지 수면베개 (Snoring Detection Sleep Pillow)

  • 쩐밍;안도현;박재희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0
    • /
    • 2019
  • 사람들은 일생동안 1/3을 잠을 자며 그들의 잠자는 시간은 나이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어른들은 하루에 8시간의 잠을 잔다. 그러나 항상 좋은 잠자리를 기대할 수는 없다. 실제로 50대 이상의 많은 사람들은 수면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는 코골이, 수면 무호흡과 같은 수면 장애요소들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수면 장애요소 중 하나인 코골이를 검출하는 스마트 베개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스마트 베개는 베개의 오른쪽과 왼쪽 부분에 위치한 두 개의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쉽게 코골이는 검출하기 위하여 피크 검출회로를 사용하여 코골이 신호를 펄스신호로 변형시켰으며, 펄스폭을 사용하여 코골이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였다. 측정된 코골이 검출 정확도는 약 98.6%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들이 스마트 베개가 수면 중 코골이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코골기 환자의 두부규격 방사선학적 분석 (CEPHALOMETRIC ANALYSIS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 김태규;양동규;정인교;김종렬;노환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463-469
    • /
    • 1996
  • Sonoring is caused by the repeated obstructions of versatile upper air way structure during sleep and is known as a kind of disease entity varing from simple snoring to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which can cause serious cardiopulmonary complications due to its hypoxic pathophysiology. It has been reported that over 30% of middle-aged person have the problems of snoring and its accompanied symptomes and signs. Cephalometric measurements, frequently used to measure sella-nasion-subspinale(SNA) and sella-nasion-supramentale(SNB) angles, can provide the informations about the posterior airway space(PAS), the mandibular plane(MP) and the position of hyoid bone. These informations are useful in determining the therapeutic modalities of the snoring and OSAS patients. However, with conventional routine upright position, it does not represent the actual images of obstructive mechanism during sleep but only show the images of awaken normal upper airway anatomy. Therefore we have taken dual images of a routine upright lateral and a supine cephalometric view to compare both.

  • PDF

코골이용 압전센서를 이용한 수면무호흡 검출에 관한 예비 연구 (Sleep Apnea Detection Using a Piezo Snoring Sensor: A Pilot study)

  • 에르덴바야르;이효기;김호중;이경중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80
    • /
    • 2014
  •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classify sleep apnea by using features extracted from pulse rate variability(PRV) signals induced from piezo snoring sensor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OSA). We have extracted eight features(NN, SDNN, RMSSD, NN10, NN50, LF, HF and LF/HF ratio) based on time and frequency analyses of PRV. Sleep apnea was classified by 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LDA). A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snore recordings from 13 patients with OSA (ages: $54.5{\pm}10.5$ years, body mass index: $26.3{\pm}2.5kg/m^2$, apnea-hypopnea index: $19.2{\pm}6.0/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78.9{\pm}0.9%$ and $78.9{\pm}0.9%$ for training set and $77.7{\pm}10.9%$ and $79.0{\pm}2.8%$ for test set, respectively. Our study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 piezo snoring sensor based on a portable device as a simple and cost-effective solution for contributing to the OSA screening.

수면무호흡증과 단순 코골이 환자의 증상과 질환 인식도 비교 (Comparison of Awareness of Symptoms and Illness Betwee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imple Snoring)

  • 이세영;강재명;조윤수;윤현진;김지언;신승헌;박기형;김선태;강승걸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1호
    • /
    • pp.16-24
    • /
    • 2016
  •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비록 그 진단율이 낮지만 개인의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험은 상당하다. 그러나 OSA 환자가 실제 증상을 느끼는 정도는 예상보다 적으며, 질병의 심한 정도와 상관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OSA군과 단순코골이군 사이의 OSA 증상 인식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임상적으로 OSA가 의심되는 282명의 피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모든 피험자들은 수면다원검사를 받았고, 무호흡저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AHI)에 따라 5 이상이면 OSA군, 5 미만인 경우는 단순코골이군으로 분류되었다. 모든 피험자와 그 배우자(또는 같이 자는 사람)에 대하여 수면 장애와 질병의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결 과 : OSA군에 비해서 단순코골이군이 코골이, 불규칙적 호흡, 무호흡 등의 수면 장애 증상을 더 잘 인식하였다. 또한 배우자(또는 같이 자는 사람)의 경우도 단순코골이군에서 피험자의 증상을 더욱 잘 인지하였다. 그렇지만 증상을 느낀 기간은 OSA군에서 유의하게 더 길었다. 상관분석에서 OSA의 증상 인식 정도는 나이, AHI, BMI, ESS 점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면 설문과 수면다원검사 결과 중에서 오직 피츠버그수면질평가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만이 OSA의 증상 인식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치료 방법에 있어서 양압기, 구강내 장치에 대해 알고 있는 피험자의 비율과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에서 단순코골이 환자가 OSA 환자보다 수면 장애를 더 잘 인식하였다. AHI가 높을수록 오히려 환자의 증상에 대한 인식은 낮아졌다.

수면무호흡증후군의 선별검사로서 임상양상과 산소포화도 이용 (Application of Clinical Features and the Degree of Oxygen Desaturation as a Screening Test for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고재광;김인;서광윤;신동균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1호
    • /
    • pp.60-67
    • /
    • 1994
  • Objectives: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snoring, observed apnea during sleep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The overnight polysomnographic recording is used to investigate patients with possibl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But the overnight polysomnographic recording is time consuming, expensive, and labor-intensive. Recently in 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several simple screening tests have been suggeste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probability of application of clinical features and the degree of oxygen desaturation as a screening test for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self-report of clinical features including snoring, observed apnea during sleep,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insomnia were tested. And the degree of oxygen desaturation measured by oximetry in 42 subjects were compared with the overnight polysomnographic recording results. Results: In the prediction of apnea index more than 5, the sensitivity of observed apnea during sleep, snoring,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insomnia were 96.8%, 93.5%, 38.7%, 25.8% and the specificity of those clinical features were 182%, 36.4%, 100%, 72.7%, respectively. In the prediction of apnea index more than 5,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three self-report clinical features were 54.8% and 90.9%. The degree of oxygen de saturation and maximal apnea duration in the group of apnea index more than 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group of apnea index below 5(P<0.001). And the apnea index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oxygen desaturation and maximal apnea duration(P<0.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lication of clinical features alone as a screening test for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inadequate because of it's high rate of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results. The degree of oxygen desaturation measured by oximetry is possibly applicable to screening test and follow up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acy for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PDF

수면분할 분석으로 본 수면무호흡증의 수면구조와 생리적 특징 (Sleep Architecture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Split-Night Analysis)

  • 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2호
    • /
    • pp.45-51
    • /
    • 2006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 구조는 정상인에 비해 서파수면과 렘수면이 줄어들고 1단계 수면, 각성, 수면 분절이 증가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각 수면 단계의 분율에 양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정상 수면 구조를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야간 수면의 렘수면-비렘수면의 주기성과 비대칭성에 대한 비교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는 수면전반부와 후반부의 비대칭성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손상될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코골이를 주소로 을지병원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49명의 남자(평균 연령: $39.1{\pm}12.2$세)를 대상으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AHI) 15를 기준으로 나눈 단순 코골이(SSN) 군 13명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군 34명의 수면 구조를 독립적 t 검정으로 비교하고 각 군 별로 수면 전반부 후반부의 수면 변인을 따로 구하여 짝지어진 t 검정을 하였다. 연령과 체질량 지수 등의 신체적 조건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OSA 군에서 1단계 수면 비율이 유의하게 늘고, 2단계 수면 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렘수면 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 전체각성지수와 호흡각성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평균 심박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평균 동맥혈 산소포화도의 저하와 산소포화도저하지수(ODI)의 증가, 평균 무호흡시간과 최장 무호흡시간의 증가 등도 OSA 군에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총검사시간을 중심으로 수면을 전후반으로 나누어 각 수면 변인을 보았을 때 SSN 군에서 비대칭성(p<0.05)을 보인 변인은 2단계수면 비율, 서파수면 비율, 렘수면 비율, 자발적 각성지수, 총각성지수, 평균 동맥혈산소포화도, 심박수인 반면, OSA 군은 2단계수면 비율, 서파수면 비율, 렘수면 비율, 자발적 각성지수, 평균 무호흡시간, 최장 무호흡시간, 평균 동맥혈산소포화도, 심박수가 비대칭성(p<0.05)을 보였고, 총각성지수는 비대칭성을 보이지 않았다. 가정과 다르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단순 코골이에 비해 달라진 부분은 평균 수면무호흡 시간과 최장 수면무호흡 시간이 증가한 것 뿐이었고, 유일하게 총각성지수만이 비대칭성이 붕괴되어 전반부와 후반부의 차이가 없어졌다. 흥미로운 것은 알려진 수면단계의 비대칭성(전반부에 2단계수면과 서파수면의 비율이 높고, 후반부에 렘수면 비율이 높아지는 점) 이외에도 수면전반부에 총각성지수와 자발적 각성지수, 평균 심박수가 높고 후반부에 평균 동맥혈산소포화도가 높다는 사실이다. 정상 남녀 성인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수면호흡장애의 진단과 수면다원검사 (The diagnosis of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s and polysomnography)

  • 박지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4호
    • /
    • pp.238-248
    • /
    • 2015
  •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s(SRBDs) are a group of diseases accompanied by difficulties in respiration and ventilation during sleep. Central sleep apnea, obstructive sleep apnea(OSA), sleep-related hypoventilation, and hypoxemia disorder are included in this disease entity. OSA is known to be the most common SRBDs and studies show it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eneral health problems including hypertension, arrhythmia,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The diagnostic process of OSA is composed of physical examinations of the head and neck area and also the oral cavity. Radiologic studies including cephalography, CT, MRI, and fluoroscopy assist in identifying the site of obstruction. However, polysomnography(PSG) is still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for the diagnosis of OSA since it offer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cording of the events during a whole night's sleep. The dentist who is trained in sleep medicine can easily identify patients with the risk of OSA starting from simple questions and screening questionnaires. Diagnosis is the first step to treatment and considering the high rate of under-diagnosis for OSA the dentist may play a substantial ro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A which will eventually lead to the well-being of the patient as a whole person. So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ssist dental professionals in gaining knowledge and insight of the diagnostic measures for OSA including PSG.

The role of oral physicians in predicting the risk of obstructive sleep apnea: A case-control study

  • Lavanya, Reddy;Babu, Dara Balaji Gandhi;Chavva, Sunandha;Boringi, Mamatha;Waghray, Shefali;Yeladandi, Mounic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3호
    • /
    • pp.167-171
    • /
    • 2016
  • Purpose: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a common medical disorder with serious complications if untreated. Dentists play a vital role in the early diagnosis of this condition, thereby improving patients' progn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s with a high risk of OSA using simple cephalometric measurements in patients receiving routine dental care.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on 206 patients divided into a high-risk group and a control group after answering the Berlin questionnaire. Cephalometric analysis of a digital cephalogram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upper airway diameter (UAD) and mandibular-to-hyoid bone distance (MP-H) by 2 observers at 2 different times. Results: Among 206 patients, 93 (45%) were included in the high-risk group and 113 (55%) were in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 between the groups with regard to gender, and the patients ranged in age from 18 to 65 years. The UAD measurements in the high-risk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MP-H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risk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UAD was lower in middle-aged patients in both groups. Conclusion: Our study found that the UAD was lower in individuals with a high risk of OSA. Also, we found that middle-aged individuals of both genders were more likely to develop OSA. Dentists play a vital role in diagnosing patients at a high risk for OSA via thorough clinical examinations, risk factor analyses, and simple cephalometric analy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