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la Period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6초

고고자료로 본 5~6세기 신라의 강릉지역 지배방식 (The Ruling System of Silla to Gangneung Area Judged from Archaeological Resources in 5th to 6th Century)

  • 심현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3호
    • /
    • pp.4-24
    • /
    • 2009
  • 본 고는 강릉지역에서 발굴조사된 고고자료를 검토하여 문헌기록과 비교하면서 신라가 강릉지역으로 진출하여 재지 세력을 지배해 나가는 과정에 대해 가설을 세워 본 것이다. 강릉지역의 고고학적 양상은 신라가 처음 이 지역을 복속하고 재지세력들에 침투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데, 필자는 이 지역의 5~6세기 고고학적 특이양상에 대해 적극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강릉지역은 신라 진출 이전 예국이라는 읍락국가가 존재하고 있었다. 신라는 4세기 4/4분기에 처음으로 강릉지역으로 진출하였으며, 기존의 예국을 복속한 후 지역 실정에 맞게 재지세력을 통치해 나갔다. 이에 대해 고고자료와 문헌기록을 비교검토해 본 결과, 신라가 강릉지역을 복속한 후 취한 지배정책은 간접지배와 직접지배의 2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간접지배는 다시 초입기(I 단계)와 정착기(II 단계)로 구분하였는데, I 단계는 신라가 처음 강릉지역으로 진출한 시기로 신라는 재지세력의 자치를 그대로 허용하며 간접지배를 실시하였으며, 그 시기는 4세기 4/4분기부터 5세기 2/4분기로 보았다. 그리고 II단계는 신라가 강릉지역의 재지세력들에게 위세품을 하사하여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면서 동시에 신라 중앙에 의해 강릉지역 중심세력인 초당동과 병산동 세력에게 위세품을 분여하여 서로 견제를 하게 만들어 재지세력간 힘의 균형을 통제하였다. 그 시기는 5세기 3/4분기에서 5세기 4/4분기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신라는 강릉지역을 북진의 전초 기지로 인식하고 나서는 직접지배체제로 전환하기 시작한다. 즉, 신라 중앙에서 파견한 지방관을 상주시켜 지방제도를 확립하고 재지세력에 대한 재편과정을 거쳐 중심세력을 초당동 병산동 세력에서 신라와 친연성이 가장 강한 영진리 방내리 세력으로 교체하고 강릉지역을 완전 장악하기에 이른다. 그 시기를 6세기 1/4분기부터로 보았다.

한국 고대목탑 낙수받이 고찰 (A Study on the 'Naksubaji(horizontal gutter)' of Ancient Wooden Pagodas in Korea)

  • 탁경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2호
    • /
    • pp.4-39
    • /
    • 2009
  • 목탑의 기단부는 기단토와 이를 둘러싸는 외장, 계단, 그리고 기타 시설물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만들어진 시기, 장소, 조영세력에 따라 그 외형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한 백제, 신라~통일신라의 목탑지에서는 고구려의 목탑지에서 확인된 물받이시설, 중국 건축물의 산수(散水), 일본 목탑지에서 확인된 이누바시리(犬走り)가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지붕에서 떨어지는 우수로부터 기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서까래는 기단선 이상으로 내밀어져야 하며 이 때 떨어지는 낙수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시설들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에서는 이 시설을 낙수받이로 명명하였다. 기 발굴조사된 5~7세기의 한국, 중국, 일본 목탑지 검토를 통해 6세기에 조영된 백제 목탑지와 7세기에 조영된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에서 낙수받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의 경우 6세기에 조영된 군수리사지, 능산리사지, 왕흥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으며, 특히 왕흥사지 목탑지의 경우 기단토의 굴광 범위가 당초 백제시대의 기단으로 보이는 부분까지 실시되어 일본 초기 목탑지에서 확인된 경우와 유사하다. 목탑지 조영에는 고려척이 사용되었고 서까래내밀기를 검토하기 위해 평면을 복원한 결과 기단부 길이: 일층탑신 길이:어칸:퇴간의 비례는 군수리사지와 왕흥사지 목탑지가 4.9:2.7:1:0.9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왕흥사지 목탑지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군수리사지 목탑지와 왕흥사지 목탑지의 주망관계는 어칸 2.49m, 퇴칸 2.14m로 동일하게 나타나 당시 목탑 조영에 있어서 일정한 척도 적용 및 계획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7세기에 들어서면서 용정리사지, 제석사지, 미륵사지 등 전사기는 다른 대형 기단부를 가진 목탑지가 출현하면서 더 이상 낙수받이가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의 경우 영묘사지, 황룡사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영묘사지 목탑지의 경우 폭 1.8m 할석렬이, 황룡사지 목탑지는 제2탑구석의 범위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는 하층기단 지대석의 설치 형상이 능산리사지 목탑지와 유사함을 검토하여 낙수받이임을 확인하였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는 그 조영 자체가 7세기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어 초기에는 비교적 목탑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표현하였지만 사천왕사지 목탑지 조영 시점을 경계로 이러한 낙수받이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신라석탑(新羅石塔)의 발생과 성립과정(成立過程)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Silla Stone Pagodas)

  • 신용철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4호
    • /
    • pp.35-54
    • /
    • 201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arly stone pagodas of Unified Silla. The history of stone pagodas traces back to both Baekje and Sill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the styles and structures of pagodas began differently. In other words, Baekje attempted to recreate the wooden pagoda style, while Silla attempted to recreate China' brick pagoda style. These different stone pagoda cultures, around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underwent new style changes, and after the mid-7th century, some changes in the five-storied stone pagodas in Tapri appeared, and the milestone perfection of Silla's stone pagodas was achieved through those of Gameusa Temple and Goseonsa Temple. After the mid-7th century, Silla's stone pagodas accommodated some of Baekje's wooden pagodas' elements, shifted from the wooden pagoda style and developed into its own stone pagoda style. This is shown in numerous stone pagodas. However, in Silla's stone pagodas, including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Hwagboksa Temple in 692, the size of the pagoda became small and underwent sudden changes. In other words, a new direction of Silla stone pagodas was presented in terms of how massive stones could be reduced, but they differed only in the reduced stone amount; the basic developed style of the Gameunsa Temple stone pagoda and the Goseonsa Temple stone pagoda inherited the traditional style. Thus, the construction of these two pagodas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the Silla's history of stone pagodas.

백제석탑(百濟石塔)과 신라석탑(新羅石塔)의 비교론적(比較論的) 고찰(考察)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Paekche and Silla Style Stone Pagodas)

  • 천득염;한승훈;김진숙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1호
    • /
    • pp.93-112
    • /
    • 1995
  • The wooden pagoda was first appeared in about late 4th century in Korea. And betwee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 eary 7th centry, the multistoried wooden pagoda was replaced with the stone pagodas, in order to improve their stability and durability. In Three-kingdom and Unificated-Silla period, there are two types of stone stupas in Korea. The one is Paekche(百濟)style, and the other is Silla(新羅) style stone pagoda. These two styles are basically different in each part like podium, roof stone, body stone, structure and the others. Two types of stupas are distributed in two regions which devided into the East(Silla territory) and West(Paekche territory) in the Korean peninsular. The origin of the Korean stone pagoda can be traced to the Paekche dynasty and Silla dynasty. The former were the result of the careful study of their skillful wooden pagodas, where the latter were actualy originated from copying their sundried brick pagodas with stone. Two important pagodas of the primitive stage are the stone pagoda of Miruksa(彌勒寺) temple in Iksan and Bunhwangsa(芬皇寺) temple in Kyungju. These two pagoda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he style of their construction. Silla style have sharp straight lines and short distance between roof stone and eaves. They give us strong as well as intelletural feeling. Howerever, Paekche style has curved lines and dull angles of cutting area of stone, they give us soft feeling.

  • PDF

신라 목조건축물의 가구식기단 연구 -수미좌식(須彌座式) 기단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t-lintel Style Stylobate of the Wooden Architecture in Silla -Focusing on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the Sumijwa Style Stylobate -)

  • 이상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5호
    • /
    • pp.27-41
    • /
    • 2019
  • This study covered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which emerged in Silla around the late 7th century.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Sumijwa was used as the seat of the Buddha. It was used as a stylobate of tower in the Sui Dynasty and as a stylobate of central buildings in the Tang Dynasty, raising the status of buildings. In the late 7th century, Silla faithfully embodied Buddhist view of the world under its architecture by accepting the latest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The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is believed to be the beginning of the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in Silla. Gradually, in the central buildings within the capital, the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became common. Starting with Bulguksa Temple's Daeungjeon Hall, the materials of stylobate and staircaes will be integrated from the late 8th century. Silla's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can be evaluated as a step-by-step leap in religious, political, technical and aesthetic's terms.

A Study of Solar Eclipse Record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 Lee, Ki-W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08-418
    • /
    • 2008
  • In this study, solar eclipse record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era of ancient Korea using astronomical calculations and numerical simulation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olar eclipses were actually observed at the well known capitals of the Three Kingdoms, I investigated the probabilities that the optimal observation areas of the Early Silla, Goguryeo, and Baekje records would appear around Chinese continent. I found higher probabilities than those suggested by Park and La (1994), although the numerical values are still low,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Early Silla records. On the other hand, the probability that the optimal observation area of the Later Silla records will be present around South Korea is only 13.6%, although the area shows a good match with the known capital. I also analyzed the number distribution of the eclipse records for the Three Kingdoms (except for the latter Silla's) according to the observers' locations: at the optimal observation areas and at the known capitals. And then I compared with the number distribution of all eclipses observable from those locations. From the $\chi^2$-test, I found that the Goguryeo and Baekje records had better representation of their population distributions at the latter regions ($\chi^2$=27.93 and 205.5) than at the former ones ($\chi^2$=34.19 and 211.5).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observers' location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either near China, as suggested by Park and La, or in the Korean peninsula, sol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thus recommended that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real observers' locations during the Three Kingdoms era.

신라대종의 맥놀이 조절 (Beat tuning of Silla Great Bell)

  • 김석현;이중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4-201
    • /
    • 2017
  • 신라대종은 성덕대왕신종을 재현하려는 목적으로 제작 되었으며, 동일한 구조와 문양을 갖도록 복원되었다. 가장 어려운 문제는 성덕대왕신종의 소리에 걸 맞는 웅장하고 조화로운 타격음과 끊어질 듯 이어지는 여음의 맥놀이를 재현하는 것이었다. 특히 맥놀이는 주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어 불가능한 미세 비대칭성에 기인하므로, 주조 전에는 그 특성을 예측하거나 제어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주조 후 맥놀이의 조절 작업을 통하여 신라대종의 맥놀이가 강하고 적절한 주기를 갖도록 만드는 방법과 과정을 소개한다. 강한 맥놀이를 만드는 모드 쌍과 당좌의 배치 조건을 구하였고, 적절한 주기를 갖도록 종 내부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감소시켰다. 이 작업은 등가 종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약하고 매우 길었던 초기의 맥놀이는 강하고 적절한 주기의 맥놀이로 만들어졌다.

9세기(世紀) 목조건축(木造建築)의 기법(技法) 연구(硏究) - 석조유구(石造遺構)의 건축요소(建築要素)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Wooden Architectural Techniques in 9 Century - Mainly about the Analysis of Historical Materials of Architecture -)

  • 윤희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1호
    • /
    • pp.49-6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nect the technics and form from ancient to Korea Dynast But in these period there is no buildings remains but paintings, fine arts, and stupas. In the historical materials there are many architectural form and signature revealings, so as a result these analysis, 1)The building showed in paintings of Silla, and Korea Dynasty reflect the architectural style their own Dynasty. 2)In detail, the architecture of Silla and Korea Dynasy was connected with Chinese architectur Liao, Song. But from the 8Century Koreans were succeeded the one of Silla Dynasty and had originility in architectural style. 3)The architectursl style in Silla and Korea Dynasty were very various and very rich content. And we must more serious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so that we improve the ancient a middle age of architcture in Korea.

  • PDF

고려시대의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 연구 (A Study on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in the Honam Region of Korea in Goryeo Period)

  • 탁경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4-21
    • /
    • 2016
  • 이제까지 호남지역의 석탑은 대체로 백제의 고토란 이유로 백제계 석탑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호남지역의 석탑은 94기이고, 이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백제계 석탑은 15기, 신라계 석탑은 34기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이제까지 백제계 석탑에 편중한 연구에서 신라계 석탑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호남지역 석탑의 새로운 면모를 밝히고자 하였다. 석탑의 지역적인 배치를 통해 본 결과, 통일신라시대에는 전라남도에 치중하여 신라 석탑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들어오면 호남지역 전역에 걸쳐 불국사 삼층석탑을 모방한 신라계 석탑이 건립된다. 이러한 점은 이전의 시기보다 신라계 세력의 호남지역에 대한 불교지배력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백제계 석탑과 신라계 석탑이 공존하는 김제, 정읍, 순창 담양, 영암 강진을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의 기단부의 형식은 이층기단은 21기, 단층기단은 12기이다. 이러한 현상은 신라 석탑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 하나인 이층기단을 계승하고자 했던 의도로 파악된다. 단층기단도 1매석, 또는 자연암반을 하층기단 삼아 단층기단으로 만들어진 탑도 2기가 있었다. 탑신부는 삼층석탑이 21기, 오층석탑이 12기이며, 1층탑신석을 1매석으로 만든 탑이 25기로 신라석탑의 전형적인 3층탑신부와 탑신석 1매석 제작 전통을 잘 계승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옥개받침은 3단, 4단, 5단 등 그 구성방법이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이층기단을 가지고 있는 석탑 중 상층기단과 하층기단에 탱주가 있는 석탑은 16기 중 12기가, 삼층석탑은 21기 중 15기가 전라남도에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신라계 석탑의 정형성을 잘 계승하여 더 많이 유행한 지역은 전라남도임을 알 수 있었다.

Central Asia and the Republic of Korea: A Sketch on Historical Relations

  • ABDUKHALIMOV, BAKHROM;KARIMOVA, NATALIA
    • Acta Via Serica
    • /
    • 제4권2호
    • /
    • pp.119-128
    • /
    • 2019
  •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little-known pages from the history of relations between the peoples of Central Asia and Korea based on materials derived from written sources and modern scientific literature, as well as from medieval wall paintings from the early medieval Afrasiab Palace of Varhuman, the ruler of Samarkand, and from stone sculptures of Sogdian figures contained in Silla royal tombs. Korea's interest in the western lands led to its contact with Buddhism, which spread and later flourished in all three Korean kingdoms (Koguryo, Paekche and Silla). The spread of Buddhism in turn motivated a number of Korean monks to undertake pilgrimages to India via Central Asia. Hyecho, a young Silla pilgrim, left evidence of his journey via the South China Sea to India in 723 AD. Paul Pelliot discovered a report from Hyecho's journey entitled Notes on Pilgrimage to Five Regions in India (Wang Wu Tianzhuguo zhuan) in the Dunhuang caves in 1908. Hyecho's contributions are worthy of attention, substantially complementing knowledge available for this little-studied period in the history of South and Central Asia.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Hyecho's manuscript is, in fact,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work of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Researc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Asia and Korea remains underdeveloped. Existing historical evidence, however, including the above mentioned Samarkand wall paintings, depicts the visits of two Korean ambassadors to Samarkand, and evidence from Silla tombs suggests the presence of diplomatic relations in addition to trade between the two regions. Overall,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Asia and Korea yields new insights into how and why these distant countries sustained trade and diplomatic and cultural exchange during this early period. Taking into account Korea's growing interest in Uzbekistan, especially in its history and culture, this article can act as a catalyst for studying the history of the two country's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