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icate Polymeriza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5초

Poly(methyl methacrylate-co-styrene)/Silicate Nanocomposites Synthesized by Multistep Emulsion Polymerization

  • Park, Yeong-Suk;Kim, Yoon-Kyung;Chung, In-J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6호
    • /
    • pp.418-424
    • /
    • 2003
  • Exfoliated poly(methyl methacrylate-co-styrene) [P(MMA-co-ST)]/silicate nanocomposites were synthesized through a multistep emulsion polymerization. The methyl methacrylate monomers were polymerized first and then the styrene monomers were polymerized. The nanocomposites had core-shell structures consisting of PMMA (core) and PS (shell); these structures were confirmed by $^1$H NMR spectroscopy and TEM, respectively. P(MMA-co-ST) copolymers showed two molecular weight profiles and two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T$_{g}$) in GPC and DMA measurements. At 30 $^{\circ}C$, the nanocomposites exhibited 83 and 91 % increases in their storage moduli relative to the neat copolymer because the silicate layers were dispersed uniformly in the polymer matrix.x.

Poly(n-butyl acrylate-co-methyl methacrylate) and Poly(n-butyl acrylate-co-styrene)/Silicate Nanocomposites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 Park, Yeong-Suk;Chung, In-J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6호
    • /
    • pp.425-430
    • /
    • 2003
  • Two types of poly(n-butyl acrylate) copolymer/silicate nanocomposites have been produced: poly(n-butyl acrylate-co-methyl methacrylate) [P(BA-co-MMA)]/silicate nanocomposites and poly(n-butyl acrylate-co-styrene) [P(BA-co-ST)]/silicate nanocomposites. The P(BA-co-MMA)/silicate nanocomposites shows the exfoliated structures but a P(BA-co-ST)/silicate nanocomposites have intercalated structures, because the BA/MMA comonomer has a higher polarity (e-value in Q-e scheme) than the BA/ST comonomer. The BA/MMA comonomer expanded the interlayer space of the silicate wider than did the BA/ST comonomer. The thermal degradation onset point of the P(BA-co-MMA)/silicate nanocomposites was 43$^{\circ}C$ higher than that of pure P(BA-co-MMA). P(BA-co-MMA)T5%, P(BA-co-MMA)T10%, and P(BA-co-MMA)T20% exhibit 134,302, and 195% increases, respectively, in their storage moduli at -20$^{\circ}C$ relative to the pure copolymer.

에틸렌 중합을 위한 陽이온이 交換된 규산염 觸媒 (Cation Exchanged Silicate Catalyst for Ethylene Polymerization)

  • 손종락;박현배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282-290
    • /
    • 1982
  • Montmorillonite가 주성분인 산성백토로부터 여러 양이온을 교환시켜 촉매를 제조하여 ethylene의 중합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Ni^{2+}$-Mont촉매상에서는 ethylene이 선택적으로 n-butene으로 이량화 되었으며, 그 활성은 150$^{\circ}$C 의 진공온도에서 최고로 나타났다. 그리고 촉매활성의 변화는 촉매의 산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Ni^{2+}$-Mont 촉매는 ethylene의 중합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활성은 450$^{\circ}C$의 진공온도에서 최고로 나타났다. 그리고 $Cr^{3+}$-Mont의 활성점은 $Cr^{3+}$이온으로 생각되었다.

  • PDF

Morphology and Properties of Polyacrylonitrile/Na-MMT Nanocomposites Prepared via in-situ Polymerization with Macroazoinitiator

  • Jeong Han-Mo;Choi Mi-Yeon;Ahn Young-T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12-317
    • /
    • 2006
  • In the preparation of a polyacrylonitrile (PAN)/sodium montmorillonite (Na-MMT) nanocomposite via an in-situ polymerization method, macroazoinitiator (MAI) was intercalated in the gallery of Na-MMT to enhance the delamination of silicate layers by intergallery polymerization. The exfoliated fine dispersion observed by X-ray diffraction patter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enhanced tensile storage modulus and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showed that the intercalated MAI was effective in inducing intergallery polymerization and that a poly(ethylene glycol) block linked to a PAN block improved the dispersion of hydrophilic Na-MMT in the polymer matrix.

Preparation of SAN/Silicate Nanocomposites Using PMMA as a Compatibilizer

  • Kim, Ki-Hong;Jo, Won-Ho;Jho, Jae-Young;Lee, Moo-Sung;Lim, Gyun-Taek
    • Fibers and Polymers
    • /
    • 제4권3호
    • /
    • pp.97-101
    • /
    • 2003
  • Polymer/silicate nanocomposites were prepared via two-step manufacturing process: a master batch preparation and then mixing with matrix polymer. A hybrid of PMMA and Na-MMT with exfoliated structure was first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MMA in the presence of Na-MMT. For the case that SAN24, miscible with PMMA, is used as matrix, we could prepare a nanocomposite with exfoliated structure. However, SAN31 nanocomposite shows the aggregation and/or reordering of the silicate layers due to the immiscibility between SAN31 and PMMA.

광중합 시간과 거리의 변화에 따른 TheraCal LC의 중합도 평가 (Evaluation of the Changes in Polymerization of TheraCal LC with Various Light-curing Time and Distance)

  • 배상용;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2-39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tricalcium silicate cement 중 하나인 TheraCal LC의 광중합 시간과 거리에 따른 중합도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금속주형을 이용해 시편을 제작하여 Vickers hardness number (VHN)를 측정하였으며, 중합시간과 조사시간에 따른 시편의 미세경도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군에서 상면의 VHN이 하면의 VHN보다 유의성 있게 컸다(p < 0.05). 하면의 VHN은 모든 중합거리에서 중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5), 중합시간이 일정하고 중합거리가 4.0 mm 이상이 되었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또한 시편을 20초간 중합한 경우 하면의 VHN은 2를 넘지 못했으며 이는 상면의 10%에 해당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모든 중합거리에서 TheraCal LC 시편의 하면까지 중합하기에 20초의 광중합 시간은 충분하지 않았으며, 중합도를 높이기 위해서 중합시간의 증가와 도포 두께의 감소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Tricalcium Silicate의 초기수화반응(II) (Early Hydration of Tricalcium Silicate(II))

  • 오희갑;최상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3-138
    • /
    • 1987
  • The behavior of CaO and SiO2 in the reaction produced which produced in the early hydration of C3S was studied by XRD and thermal analyzer. Polymerization of hydrated siltcates was also studied by TMS method. TMS derivatives were separated by gaschromatography. Cao/SiO2 molar ratios of the produced CSH gel under the air atmosphere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CO2. Dimerization rate of hydrated silicates was very fast in the early hydration stage. Trimer began to appear later than dimer and its increasing rate was very low. The amount of dimer and trimer formed under the CO2 atmosphere was less than that in the air.

  • PDF

수 중 존재하는 실리케이트의 존재형태가 불용성 알루미늄실리케이트 형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Silicate Polymerization on the Formation of Insoluble Aluminium Silicate)

  • 권은미;홍승관;김지형;정욱진;유명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54-66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의 형성으로 인한 파울링 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잔류 알루미늄농도와 실리케이트의 존재형태가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배치실험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Al과 Si의 조성이 다른 용액에서 생성되는 침전물의 양을 정량하고 생성된 침전물의 형상과 원자조성비를 SEM-EDS로 관찰하였다. 아울러 용액과 침전물중의 실리케이트 형태를 분석하여 불용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의 형성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생성된 알루미늄실리 케이트의 양은 용액 중 총 실리케이트 농도와 알루미늄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 중 pH 2.7에서도 녹지 않고 남아있는 침전물은 용액 중 실리케이트가 거의 반응성형태로 존재한 시료 2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생성된 침전물의 반응성실리케이트의 함량은 용액 중 반응성 실리케이트농도가 높은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용액의 실리케이트의 농도가 같은 시료 중에서는 알루미늄의 농도가 높은 시료에서 높았다. 생성된 침전물의 형상을 SEM - EDS로 관찰한 결과 시료 2에서 pH 2.7에서도 녹지 않는 불용성 염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성된 침전물의 Al/Si비율은 $0.48\sim3.14$였으며, 불용성 염이 뚜렷하게 관찰된 시료 2의 Al/Si 비율이 3.14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막에서 비가역적 파울링의 원인이 되는 불용성 알루미늄실리케이트는 용액의 실리케이트가 반응성 물질로 존재할 때 생성되기 쉬우며, 아울러 공존하는 잔류알루미늄의 농도비도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제조 및 열적특성 연구 (Study on Fabrica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ABS/silicate Composites)

  • 윤이슬;김연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3호
    • /
    • pp.301-305
    • /
    • 2011
  • ABS/실리케이트 복합체를 clay의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키며 에멀젼 중합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ABS의 화학구조는 적외선분광기(FT-IR)를 이용하여 이중결합 C-H 신축진동 피크(3000 $cm^{-1}$ 근처)의 변화를 통해 확인하였다. ABS/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열적특성은 시차주사열용량분석기(DSC) 와 열중량분석기(TGA)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Clay의 종류에 따른 ABS의 유리전이온도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GA에 의한 분해온도는 20A의 함량이 3 wt%인 ABS/20A 복합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합체의 실리케이트 분산정도는 X-선회절(XRD)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BS/20A 복합체의 실리케이트 분산은 20A 함량에 의존하였고, 함량이 5 wt% 이상 첨가되었을 때 20A의 회절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Polycondensation of ε-Caprolactone in the Layer Spaces of Organophilic Montmorillonite and Its Characterization

  • Cho, Sung-Ju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24-231
    • /
    • 2005
  • The polymerization of $\varepsilon-caprolactone$ in the layers of the [DEACOOH]-Montmorillonite intercalations complex was attempted using 10-Carboxy-n-dec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 and Na-Montmorillonite to achieve [DEACOOH]-Polycaprolactone-Montmorillonite in which the inorganic material (montmorillonite) and the organic material (polycaprolactone) are chemically linked each other. The results of X-ray- and IR-analysis for the samples obtained after polymerization showed tha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has been successfully accomplished. In order to study the polymeric reaction products more precisely we have separated the polymerized product from the silicate layers and analyzed it with X-ray diffractometer, IR-spectrometer and TEM.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X-ray- and IR-analysis for the separated polymer with them for the polymer which was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varepsilon-caprolactone$ only with the organic cation without montmorillonite showed that the obtained both polymers are the same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