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age Moisture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3초

유기 수단그라스의 사료가치, 사일리지 품질 및 기호성 평가 (Evaluation of Organic Sudangrass for Feed Value, Silage Quality and Palatability in Korea)

  • 김종덕;심금섭;주종철;이현진;전경협;윤영유;오응용;이효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44-147
    • /
    • 2011
  • The main nutritional problem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times}$Sorghum sudanese) silage is low quality and palatabilit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organic com grain and crushed rice addition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increases forage quality of the silage. The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s with added com grain and crushed rice were similar to conventional com silage in moisture content. However organic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had low pH values. Silage added with gain and byproduct had higher crude ash,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than control com silages, while its non-fiber carbohydrate (NFC)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showed the opposite results. Lactic acid, butyric acid and lactic percentage of total organic acid (L/T)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 silage, but acetic acid was higher than control.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of com silage was higher than other sorghum silages. Feed intake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added with crushed rice was highest among silages. Therefore, these data indicate that crushed rice and com grain added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ilage could be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creasing silage quality and palatability.

호박 Silage의 품질(品質) 및 이용성(利用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Quality and Utilization of Pumpkin Silages)

  • 김용국;김상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77-84
    • /
    • 1976
  • 최근(最近)에 사료(飼料)의 요구량(要求量)이 급증(急增)되고 사료용(飼料用) 호박이 도입(導入) 재배(裁培)되므로서 호박의 사료화(飼料化)에 대(對)한 관심(關心)이 많아졌다. 이에 본시험(本試驗)은 사료용(飼料用) 호박으로 Mammoth pumpkin(C. Maxima), Queensland blue pumpkin(C. Maxima), Korean pumpkin(C. Moschata)으로 부터 밀기울을 0, 10, 20%씩 각각(各各) 첨가(添加)하면서 Silage 제조(製造) 하였으며, 제조후(製造後) 40~60일(日) 사이에 화학적(化學的) 조성분(組成分), pH,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을 분석(分折)하고 산란계(産卵鷄)에 대(對)한 급여시험(給與試驗)을 하여 호박의 사료적(飼料的) 가치(價値) 및 이용성등(利用性等)을 조사(調査)하고 그 결과(結果)를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Silage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재료(材料)인 호박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Mammoth pumpkin의 경우(境遇) 약(約) 97%, Queensland pumpkin이 94%, Korean pumpkin이 91%였던 관계(關係)로 상당히 높았으며 Silige제조후(製造後) 성분변화(成分變化)는 가용무질소량(可溶無窒素量)이 약간(約間) 감소(減少)하였을 뿐, 기타(其他)의 성분(成分)은 변화(變化)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밀기울을 첨가(添加)하므로서 수분(水分)을 조절(調節)할 수 있었고 영양분(營養分)도 증가(增加)되었으나 이는 단지 밀기울의 성분함량(成分含量)에 좌우(左右)되었다. 또한 Silage의 성분손실량(成分損失量)은 제조후(製造後) 2주(週)에서 1개월(個月)사이에 10%정도(程度)였으며 그후(後) 약간씩 감소(減少)하여 6개월후(個月後)에는 15%정도(程度)였는데 호박을 그대로 저장(貯藏)했을 시(時)는 9월(月)부터 12월(月)사이에는 수분함량(水分含量)이 특(特)히 많은 Mammoth pumpkin을 제외(除外)하고 그 감량(減量)이 심(甚)하지 않았으나 월동(越冬)을 한 2월(月)에는 3종(種)의 호박 거의가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상실(喪失)하였다. 2. Silage의 품질(品質) 또한 처리구간(處理區問)에는 특별(特別)한 차이(差異)가 없이 pH가 3.8~4.1, 유기산중(有機酸中) 유산(乳酸)이 2.09~2.93%였고 초산(醋酸)이 0.68~1.71%, 낙산(酪酸)은 0%로서 Flieg씨(氏) 평점법(評點法)에 의(依)하면 모두 98~100점(點)으로 양질(良質)의 Silage가 제조(製造)되었다. 3. Mammoth pumpkin silage를 산란계(産卵鷄)에 급여(給與)하여 사료섭취율(飼料攝取率), 산란율(産卵率), 난중(卵重) 및 Haugh unit등(等)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고형물기준(固形物基準)으로 Silage를 5.0%와 7.5%급여구(給與區)가 가장 좋았고 다음이 2.5%구(區)였으며 10%급여구(給與區)는 대조구(對照區)보다 떨어졌다. (P<0.01). 이는 호박 Sil-age가 신선(新鮮)하므로 기호성(嗜好性)을 증진(增進)시켰고 Vitamin등(等) 풍부(豊富)하여 산란(産卵)을 촉진(促進)시키는 것으로 사료(恩料)되나 10%이상(以上)의 급여(給與)는 양(量)이 너무 많아 효과적(效果的)인 급여(給與)가 못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호박을 이용(利用)하여 양질(良質)의 Silage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고 또한 산란계(産卵鷄)에 급여(給與)한 결과(結果) 산란율(産卵率)도 증진(增進)되었으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너무 많은 관계(關係)로 다량(多量)의 Silage가 요구(要求)되므로 가축(家畜)의 기본사료(基本飼料)로는 적당치 않고 단지 사료가치(飼料價値)가 떨어지는 타사료(他飼料)와 혼합(混合)하여 Silage를 제조(製造) 이용(利用)하므로서 타사료(他飼料)의 기호성(嗜好性)을 향상(向上)시켜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증진(增進)시키고 아울러 Vitamin을 공급(供給)할 수 있는 방향(方向)으로 Silage를 제조(製造) 이용(利用)함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Improving quality of common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silage with additives

  • Asano, Keigo;Ishikawa, Takahiro;Araie, Ayako;Ishida, Motohik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747-1755
    • /
    • 2018
  • Objective: Common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could potentially provide an alternative resource for silage; however, its silage quality is po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 reed that contribute to poor quality and determine how the use of additives at ensiling could improve fermentation quality. Methods: In Experiment 1, we determined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presence of indigenous lactic acid bacteria (LAB) in reed. We further examined fermentation quality of reed silage under conditions without additives (NA) and treated glucose (G), lactic acid bacteria (L), and their combination (G+L). In Experiment 2, silage of NA, and with an addition of cellulase and lactic acid bacteria (CL) were prepared from harvested reed. The harvested reeds were fertilized at nitrogen concentrations of 0, 4, 8, and $12g\;N/m^2$ and were harvested thrice within one year. Results: The indigenous LAB and fermentable carbohydrates are at extremely low concentrations in reed. Reed silage, to which we added G+L, provided the highest quality silage among treatments in Experiment 1. In Experiment 2, N fertilization had no negative effect on silage quality of reed. The harvest times decreased fermentable carbohydrate content in reed. The CL treatment provided a higher lactic acid content compared to the NA treatment. However, the quality of CL treated silage at the second and third harves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at the first harvest, due to a reduction in carbohydrates caused by frequent harvesting. Conclusion: The causes of poor quality in reed silage are its lack of indigenous LAB and fermentable carbohydrates and its high moisture content. In addition, reed managed by frequent harvesting reduces carbohydrate content. Although the silage quality could be improved by adding CL, higher-quality silage could be prepared by adding fermentable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rather than adding cellulases).

포도박 첨가가 사일리지의 화학적 성분과 발효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dition of Grape Pomace on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Silage)

  • 조익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73-83
    • /
    • 2001
  • The qualities of the rice straw, black locust and orchardgrass silage added with grape pomac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d the amount of grape pomace added in different treatments were 0, 20, 40 and 50%, respectively. Crude protein contents of rice straw(6.5-10.6%) and orchardgrass silage(13.2-14.8%) added with grape pomace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at of 100% rice straw(5.3%) and orchard grass silage(12.8%), however the crude protein contents(14.9-15.6%) of black locust silage in supplementation were lower than that of 100% black locust silage(16.3%). With higher amount of addition of grape pomade to rice straw, black locust and orchardgrass silages, ADF, NDF and crude ash contents decreased significantly(p<0.75). Moisture contents decreased according to the higher proportion of grape pomace in the rice straw silages, but increased according to the higher proportion of grape pomace in the black locust and orchardgrass silage. Values of pH in 20∼60% addition of grape pomace in rice straw(4.0∼4.2), black locust(4.1∼4.3) and orchardgrass silages(4.2∼4.4) were lower than that of 100% in rice straw(4.6), black locust(5.4) and orchardgrass silages(4.7). The contents of acetic acid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levels of addition of grape pomace compared to the respective values of silage. However the contents of lactic acid in supplementation of grape pomace were lower than that of 100% black locust silage.

  • PDF

잡초로 취급된 유채의 사일리지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Silage Manufacture of Rape Treated as Weed)

  • 최기춘;류재혁;정민웅;박형수;김원호;김다혜;김천만;김종근;김맹중;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5-41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관상용으로써 가치가 없어지면 잡초로 변해 버린 유채를 조사료원으로써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천안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자원개발부 초지사료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유채는 생육시기별 3회(개화기, 유숙기, 호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한 후 사료가치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예건에 의해서 사일리지 제조 적기 수분함량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호숙기는 거의 헤일리지 수준의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유채의 원형곤포 사일리지는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섬유소인 ADF 및 NDF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그리고 유채 사일리지의 TDN 함량도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수확시기에 따른 사일리지의 pH는 3.8~4.4을 유지하였으며, 호숙기의 pH는 개화기나 유숙기 보다 높았다(p<0.05)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젖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나(p<0.05) 초산 함량은 감소하였다(p<0.05). Flieg법에 의한 유채의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품질등급은 개화기(100), 유숙기(100) 및 호숙기(88) 모두 우수등급을 나타났다.

수산물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II-가공방법에 따른 가다랭이 내장 silage의 저장 중 성분변화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Wastes from Fish Processing II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of Skipjack Tuna Viscera Silage during Storage by the Processing Method)

  • 윤호동;이두석;서상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5
    • /
    • 1997
  • 가다랭이 통조림 제조시 부산물로 대량 생산되는 내장을 유효하게 이용할 목적으로 유산균을 이용한 방법과 산첨가 방법에 따라 silage를 제조하고, 저장기간 중 성분변화를 검토한 결과, 산첨가 silage는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및 무기질의 함량이 유산균 발효 silage보다 높은 반면에, 탄수화물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낮았다. 특히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산균 발효 silage의 n-3 지방산 함량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산첨가 및 유산균 발효 silage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 Asp, Leu, Gly 및 Ala 이었다. 산첨가 silage는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함량이 원료 내장에 비하여 $30\%$ 감소하였으나, 유산균 발효 silage는 $5\%$ 감소하였다. 또한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산균 발효 silage의 비타민 $B_1$$B_2$ 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산첨가 silage는 $B_1$ 함량만 미미하게 증가하였고, $B_2$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첨가 silage는 회갈색을 띄고 비린내 및 젓갈냄새가 났으나, 유산균 발효 silage는 다갈색을 띄고 생성된 유기산에 의하여 산미를 나타내었다.

  • PDF

호남지역 수확시기에 따른 밀 곡실 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Wheat Grain Silage with Respect to Days after Heading in Honam Region of Korea)

  • 박종호;정영근;김경호;박태일;김양길;강천식;윤영미;손재한;이석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2-119
    • /
    • 2018
  • 출수 후 수확일수에 따라 수량 및 사료가치를 고려해 보면 밀 수량은 출수 후 30일부터 42일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최대 수량은 42일차에 5.57T/ha이었는데, 39일, 42일차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가치의 경우 조단백, 조섬유, 조회분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이나, 조지방, TDN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발효에 영향을 주는 pH는 30일부터 39일까지는 pH 3.8-4.2까지 안정을 유지하다가 42일차부터는 pH4.5로 증가하여 일부 품종의 경우 발효에 적합하지 않았다(p<0.05). 따라서 밀의 곡실 발효사료 제조를 위한 최적 수확시기는 출수 후 39일차였다.

Change in Nitrogen Fractions and Ruminal Nitrogen Degradability of Orchardgrass Ensiled at Various Moisture Contents and the Subsequent Effects on Nitrogen Utilization by Sheep

  • Nguyen, H.V.;Kawai, M.;Takahashi, J.;Matsuok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9호
    • /
    • pp.1267-1272
    • /
    • 2005
  • The effect of various moisture contents of fresh forage on the change in nitrogen (N) fractions, in vitro ruminal N degradability, and the subsequent N utilization of silage in sheep were evaluated.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with high (HM, 76%), medium (MM, 65%) and low (LM, 40%) moisture contents were ensiled into silos of 120 L capacity for 120 days. A nitrogen balance trial was conducted using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consisting of four dietary treatments (i.e. fresh forage, HM, MM and LM silages) and four wethers. With respect to N fractions, fraction 1 (buffer solution soluble N), fraction 2 (buffer solution insoluble N-neutral detergent insoluble N), fraction 3 (neutral detergent insoluble N-acid detergent insoluble N), and fraction 4 (acid detergent insoluble N) were determined. The proportion of fraction 1 in silages tended to decrease, while the in vitro ruminal degradability of insoluble N increased (p<0.05) with lower moisture contents at ensiling. Consequently, nitrogen utilization in sheep tended to improve as the moisture content of ensiled grass was decreased, with a negative correlation (p<0.01) between urinary N and the in vitro ruminal degradability of insoluble N. The averaged N retentions for HM, MM, and LM silage treatments were 59, 73 and 79% of that for fresh forage, respectively.

볏짚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Gross var. Coreana Gross ex Nakai)의 혼합Silage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lage from Rice Straw and Persicaria Thunbergii)

  • 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15-119
    • /
    • 1978
  • 볏짚의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증진(增進)하고 아울러 고마리의 사료가치(飼料價値)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볏짚과 고마리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을 각각(各各) 10 : 90($T_1$), 20 : 80($T_2$), 30 : 70($T_3$), 및 40 : 60($T_4$)로 처리(處理)하여 혼합(混合)Silage를 제조(製造)한 후(後) 이들 재료(材料)와 Silage의 조성분석(組成分析)하고 Silage의 품질(品質)을 판정(判定)하여 그 결과(結果)를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통일계(統一系)(노풍)볏짚의 조성분중(粗成分中) 조단질(粗蛋質)과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이 고형물비(固形物比)로 각각(各各) 8.18% 및 44.66%로 일반(一般)볏짚보다 사료가치(飼料價値)가 양호(良好)해 보였고 고마리도 고형물(固形物) 기준(基準)으로 조단백질(粗蛋白質)이 14.47%로 일반적(一般的)으로 화본과목(禾本科牧草)보다 높았고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은 51.13%로 대략 화본과(禾本科)나 두과목초(豆科牧草)보다 높아 보였다. 2. Silage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T_2$가 72.12%, $T_3$가 66.43%로 비교적 수분함량(水分含量)이 적당(適當)했고 모든 처리구(處理區)가 타(他) Silage에 비(比)하여 조단백질량(粗蛋白質量)이 높아 보였다. 3. Silage의 pH는 $T_1$이 pH 3.8로 가장 양호(良好)하였고 $T_4$가 pH 4.5로 가장 높았으며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은 $T_1$이 가장 적었고 $T_4$가 가장 많았으나 총산(總酸)에 대(對)한 유산비율(乳酸比率)은 $T_1$쪽이 높고 $T_4$가 떨어졌다. 4. 볏짚과 고마리의 혼합(混合)으로 양질(良質)의 Silage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으며 볏짚과 고마리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은 20 : 80~30 : 70 범위가 적당(適當)했으며, 앞으로 혼합(混合) Silage의 이용가치(利用價値)가 기대(期待)된다.

  • PDF

THE EFFECT OF WILTING ON SILAGE MAKING FROM THE VIEWPOINT IN CONNECTION WITH MONSOON ASIA (A REVIEW)

  • Uchida, S.;Kim, K.H.;Yun, I.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43-49
    • /
    • 1989
  • In spite of the well confirmed advantages of wilting on the fermentation quality, wilting silages are difficult to make at optimum dry matter content. The prolonged wilting, especially in humid condition, result in lower 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contents, extensive protein breakdown and sometimes higher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during wilting an ensilage. Apart from difficulty of controlling moisture content, another problem associated with wilted silages is different evaluation on the potential productivity. In temperature climate of Asia, therefore further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wilting on the silage fermentation and potential productivity seen to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