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kha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6초

「갑오 재동 제물정례책(甲午 齋洞 祭物定例冊)」에 기록된 복온공주의 다례를 통해 살펴본 궁중음식 고찰 (Analytical Review of Korean Royal Cuisine as Viewed through the Darye for Princess Bokon and Recorded in Gabo Jaedong Jemuljeongnyechaek)

  • 이소영;한복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95-507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abo Jaedong Jemuljeongnyechaek, which is the recording of the darye executed over a period of a year in 1834 ($34^{th}$ year of reign by King Sunjo)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wo years after the death of Princess Bokon, the $2^{nd}$ daughter of King Sunjo. Accordingly, we examined the types of darye (tea ceremon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of foods at ancestral rites of the royal families of Joseon. Moreover, we also analyzed the cook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food terminologies used in the darye. This includes 39 categories of food and ingredients used for tea ceremonies held for one year, on behalf of the deceased Princess Bokon in 1834. The darye for the monthly national holiday was held along with the darye on the $1^{st}$ and the $15^{th}$ day of every month. The darye for rising up and the birthday darye were held on May $12^{th}$ and October $26^{th}$ of the lunar calendar, being the anniversaries of the death and the birth of Princess Bokon, respectively. The birthday darye and the darye for New Year's Day, Hansik ($105^{th}$ day after winter solstice), Dano ($5^{th}$ day of the $5^{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and Thanksgiving "Chuseok" were held in the palace and at the burial site of the Princess. During the darye for rising up in May and the Thanksgiving darye at the burial site in August, rituals offering meals to the deceased were also performed. The birthday darye at the burial site of Princess Bokon featured the most extensive range of foods offered, with a total of 33 dishes. Foods ranging 13~25 dishes were offered at the national holiday darye, while the darye on the $1^{st}$ and the $15^{th}$ of the month included 9~11 food preparations, making them more simplified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of foods offered at the ceremony, in comparison to the national holiday darye. The dishes were composed of ddeok, jogwa, silgea, hwachae, foods such as tang, jeok, jjim, hoe, and sikhae, and grain-based foods such as myeon, mandu, and juk. Foods offered at the burial site darye included 12~13 dishes comprising ban, tang, jochi, namul, chimchae, and jang. Meals offered at the darye had a composition similar to that of the daily royal table (sura). Darye recorded in the Jemuljeongnyechaek displayed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al foods of Korea. Jemuljeongnyechaek has detailed recordings of the materials, quantities, and prices of the materials required for preparations of the darye. It is quite certain that Jemuljeongnyechaek would have functioned as an essential reference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and preparing the food materials for the darye, that were repeated quite frequently at the time.

구 소련거주(독립국가연합) 한인들의 김치 이용의 실태에 관한 조사 1. 김치와 식생활 (A Research on Kimchi Culture for the Koreans in CIS 1. Dining Habits in Relation to Kimchi)

  • 김영희;김영숙;이경임;신애숙;박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93-600
    • /
    • 1996
  • 구 소련(독립국가연합) 중 비교적 한인이 많이 살고 있는 모스크바, 사할린, 우즈베크스탄, 카자흐스탄 지역의 한인 199명을 대상으로 김치와 식생활에 관한 조사를 실시 한 결과, 식사형태는 조사대상자의 90.5%가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지역적으로 볼 때 모스크바가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은 반면 사할린은 거의 대부분이 한식 형태였다. 또한 고연령으로 갈수록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고 연령이 낮거나 이주 후 세대를 거칠수록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았다. 김치에 대한 기호도는, 응답자의 85.9%가 김치를 좋아 하였으며 좋아하는 이유는 대부분이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이라는 자부심과 김치가 맛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김치 섭취횟수는 응답자의 95%가 하루 한끼 이상은 김치를 섭취 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할린은 매끼 마다 섭취하는 사람이 많았다(88%). 또 연령과 이주세대에 따른 섭취 횟수의 차이는 나이가 어리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김치 섭취횟수가 줄어들었다. 과거와 현재의 김치 섭취량의 차이는, 41.7%가 과거 보다 많이 섭취하였고 21.6%는 별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별로는 사할린은 섭취량이 많아진 경우가 많았고 모스크바는 섭취량이 적어진 경우가 더 많아 두 지역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 나이가 적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과거 보다 섭취량이 줄어들어 나이가 적을수록 현지의 음식에 적응하여 섭취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어보거나 본 적이 있는 김치로는 배추김치 (99%)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오이김치(91.5%), 양배추김치(띨.4%), 물김치(82.4%), 가자미식해 (75.4%) 등의 순으로 우리나라에서 상용하는 깍두기, 총각김치 , 부추김치 등의 비율이 낮고 양배추김치, 가자미식해 등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특히 사할린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김치 경험이 다양한 결과를 보여 한국에서의 김치 문화가 많이 남아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또 김치를 이용해 많이 해먹는 음식으로는 주로 김치찌개와 김치볶음 등이었으나 이것도 50%대에 머물고 있어 김치로 다른 음식까지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양적인 여유가 없다는 것을 짐작할 수가 있었다. 김치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반응은, '김치를 잘 먹었다'는 응답이 99.5%이고 '전혀 못먹었다'는 사람은 한명도 없었는데 이로써 양식 위주의 서양인에게도 김치가 잘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또한 김치 이용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