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berian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8초

Laminar Cortical Necrosis (Polioencephalomalacia) caused by Postoperative Fluid Overload in a Dog with Pyometra

  • Jeong, Yoon-Soo;Kim, Ill-Hwa;Kang, Hyun-Gu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8-102
    • /
    • 2017
  • A 7-year-old, intact, female Siberian husky presented with vomiting and diarrhea after a fight with a dog with which it lived. The bitch was diagnosed with pyometra and severe dehydration. The patient received IV fluid therapy for 2 day pre- and post-operatively. Four days post-surgery, the patient had a decreased level of consciousness and suffered a tonic-clonic generalized seizure.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a diagnosis of laminar cortical necrosis caused by fluid overload was made. This case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potential for fluid overload in a dehydrated patient giving rise to critical condition and death.

AMSR-E 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북극해빙분포의 계절 변동 및 연 변동 조사: 2002년 7월 ~ 2009년 5월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s of Sea Ice Distribution in the Arctic Using AMSR-E Data: July 2002 to May 2009)

  • 양찬수;나재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23-434
    • /
    • 2009
  • 북극의 환경은 해빙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해빙(sea-ice)의 증감은 지구 온난화의 지표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구의 기후변동의 과정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북극 해빙의 변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1970년대부터 인공위성의 원격탐사방법인 수동마이크로파 센서를 사용해 왔으며, 해빙의 면적과 유형을 판단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북극 해빙분포의 계절 및 연 변동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북위 60이상의 영역에 대한 2002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의 수동마이크로파 센서 AMSR-E 12.5km 해빙농도(SIC)데이터(기존 수동마이크로파 센서보다 5배의 해상도)를 사용하였다. 여름 최저 해빙역 시점의 데이터에 의하면, 북극 해빙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감소율은 연간 3.1%로 이것은 약 0.2백만$km^2$의 해빙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향은 여름철 해수면수온과 기온의 증가와 관련 있는 다년빙(Multi-Hear ice)의 감소와 함께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1년빙(First-year ice)의 면적은 최저의 해빙면적을 기록하였던 2007까지 감소하나, 갑작스런 다년빙(Multi-year ice)의 감소는 2008-2009년 기간의 1년빙의 증가로 이어졌다. 계절에 따른 연 변동에 있어서는, 1월-3월기간에 걸처 바렌츠해(Barents Sea)와 래브라도해(Labrador Sea)에서 공간변동이 크고, 8월-10월 기간에는 동시베리아해(East Siberian Sea)에서 북극점에 이르는 범위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7년 동안 녹지 않은 다년빙의 공간분포도에 의하면, 다년빙이 러시아해역의 동시베리아해, 랍데브해(Laptev Sea)와 카라해(Kara Sea)에서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어서 가까운 장래에 북동항로(Northeast Passage)의 이용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북극 척치해 아라온 마운드 퇴적물의 기원지에 관한 연구 (Provenance of the Sediments of the Araon Mound in the Chukchi Sea, Arctic Ocean)

  • 장정규;구효진;조현구
    • 광물과 암석
    • /
    • 제34권1호
    • /
    • pp.15-29
    • /
    • 2021
  • 북극해는 기후 변화에 따라 북극의 해빙과 빙상의 분포가 달라지며 쇄설성 퇴적물 내 광물의 특성이 변화한다. 따라서 해빙이나 빙산에 의해 운송된 해양 퇴적물을 연구하는 것은 지구 기후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척치해저고원의 아라온 마운드에서 채취한 4개의 중력코어와 아라온 마운드 사이 사면에서 채취한 1개의 중력코어를 사용하여, 벌크광물조성, 점토광물조성, 빙운쇄설물 연구를 통해 쇄설성 퇴적물의 기원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서북극해의 고환경 변화를 재구성하였다. 코어 퇴적물들은 갈색, 회색, 녹회색을 띠며 서북극해에서 나타나는 간빙기/빙기 순환에 따른 퇴적물 색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척치해저고원에서 획득한 코어 퇴적물을 광물 특성과 주변에서 수행된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총 3개의 유닛으로 구분하였다. 최후빙기극대기에 퇴적된 유닛 3 퇴적물은 동시베리아해로 유입되는 콜리마 강과 인디기르카 강 퇴적물들이 동시베리아해 대륙붕에 퇴적된 후, 해빙이나 해류에 의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퇴빙기에 해당하는 유닛 2 퇴적물은 동시베리아해로 유입되는 콜리마 강, 인디기르카 강, 보퍼트해로 유입되는 맥켄지강과 캐나다 군도로부터 함께 공급된 것으로 보이며, 로렌타이드 빙상의 융해에 의하여 다량의 빙운쇄설물들이 유입되었다. 간빙기 퇴적물인 유닛 1의 경우, 세립질 퇴적물들은 캐나다 북부와 동시베리아해로부터 해빙과 해류에 의해 공급되었으며, 조립질 퇴적물들은 캐나다 군도로부터 해빙에 의해 유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동시베리아해 대륙붕에서 산출되는 망가니즈단괴의 수심에 따른 형태학적·지화학적 특성 변화 (Variations in Morpho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 Manganese Nodules from the East Siberian Arctic Shelf with Varying Water Depths)

  • 구효진;조현구;이상미;임기택;김효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1호
    • /
    • pp.1-11
    • /
    • 2023
  • 이번 연구에서는 2021년 ARA12B 탐사를 통해 동시베리아해 대륙붕의 서로 다른 수심을 갖는 2개의 정점에서 수집한 망가니즈단괴 440개[ARA12B-St52 (150 m, n = 239), ARA12B-St58i (73 m, n = 201)]에 대하여 형태학적·지화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수심에 따른 단괴의 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단괴의 크기는 두 정점 모두에서 3 cm 이상의 크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단괴의 외형적 특징은 수심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다. 수심 150 m에서 획득된 단괴의 일반적인 형태는 거친 표면조직을 가지는 갈색-흑색의 판상형, 원통형 및 타원체형이다. 반면, 수심 73 m에서 회수된 단괴들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노랑-갈색의 판상형 단괴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단괴의 내부조직, 공극률 및 구성원소와 관련이 있는 크기와 무게 간 추세선의 기울기는 150 m의 단괴의 경우 약 1.60, 83 m 단괴는 약 0.84로 큰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단괴의 내부조직 및 화학조성에 차이로부터 기인한다. 단괴의 내부조직과 화학조성 분석 결과, 수심 150 m의 단괴들은 핵을 중심으로 두꺼운 Mn층과 얇은 Fe층들로 이루어진 반면, 83 m의 단괴들은 핵을 중심으로 얇은 Mn 및 Fe층이 교호하며 성장한다. 마이크로 X선 형광분석(µ-XRF)을 통해 단괴의 절개면에서 분석된 평균 화학조성은 150 m 단괴의 경우 Mn 40.6 wt%, Fe 5.2 wt%, Mn/Fe 비 7.9이며, 83 m 단괴의 경우 Mn 10.3 wt%, Fe 19.0 wt%, Mn/Fe 비 0.6이다. 타 해역 단괴들의 화학조성과 비교한 결과 수심 150 m에서 회수된 단괴의 조성은 태평양의 페루 분지의 단괴들과 유사한 반면, 83 m에서 획득된 단괴의 조성은 태평양의 쿡 섬 또는 발트해의 단괴들과 유사하다. 관찰된 단괴들의 형태학적·지화학적 특성은 두 정점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며, 이는 북극해 대륙붕의 수심에 따라 단괴의 형성 당시의 환경적 조건에 명확한 차이가 있음을 지시한다.

앙상블 경험적 모드 분해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봄 시작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iming of Spring Onset over the Republic of Korea Using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 권재일;최영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75-6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앙상블 경험적 모드 분해법을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봄 시작일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시 공간적인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봄 시작일의 변동성을 분석하여, 봄 시작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우리나라 평균 봄 시작일은 3월 11일로 나타났고, 연구기간 동안 2.6일/10년으로 빨라졌다. 봄 시작일은 일반적으로 위도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리고 해안에서 내륙으로 갈수록 늦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봄 시작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하였고, 전구평균기온, 북극진동(Arctic Oscillation, AO), 시베리아 고기압이 우리나라 봄 시작일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봄 시작일에 영향을 미치는 지수들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세 가지 변수가 모두 입력된 모형은 64.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봄 시작일에 미치는 영향은 전구평균기온이 가장 크고, AO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봄 시작일에 영향을 미치는 종관적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기압장 및 바람장을 분석한 결과, 시베리아 고기압, 알류샨 저기압, 상층 기압골의 강도 및 위치에 따른 북풍계열 바람의 강도가 봄 시작일을 결정하는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의 동계한발의 종관기후학적 특성 (Synoptic Climot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 Droughts in Korea)

  • 양진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29-439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에 있어서 동계한발의 지역적 출현빈도 분포특성과 한발시 해면기압장 및 500hPa면의 종관기후학적 특성을 평년과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의 동계한발의 출현빈도 분포는 월별 지역적 강수변동률의 분포를 반영하여 1 12월은 강수변동률이 높은 한국의 동부가 높고 강수변동률이 낮은 서부가 낮아서 동고 서저유형, 2월은 북고 남저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해면기압 및 500hPa면 고도편차 분포에서 1, 2월의 한발시 한반도 주변 및 시베리아 고기압 지역은 양의 편차, 알류샨 저기압 지역 및 북태평양 서안은 음의 편차를 나타내므로 서고 동저형의 기압배치가 탁월하여 남동쪽으로부터 온난습윤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때 한발이 출현한다. 따라서 이 때 한반도 주변은 동서풍의 풍속은 강하다. 12월의 한발 시에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중위도 전역이 양의 편차를 나타내어 남쪽으로부터 온난습윤한 공기의 유입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저기압 통과의 빈도가 적음을 반영하고 있다.

  • PDF

관측과 모델 자료를 활용한 겨울철 영동지역 한기 축적(Yeongdong Cold Air Damming; YCAD)의 공간 규모 분석 (An Analysis on the Spatial Scale of Yeongdong Cold Air Damming (YCAD) in Winter Using Observation and Numerical Weather Model)

  • 남형구;정종혁;김현욱;심재관;김백조;김승범;김병곤
    • 대기
    • /
    • 제30권2호
    • /
    • pp.183-193
    • /
    • 2020
  • In this study, Yeongdong cold air damming (YCAD) cases that occur in winters have been selected using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of the Yeongdong region of Korea.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cales of YCAD were analyzed using rawinsonde and numerical weather model. YCAD occurred in two typical synoptic patterns such that low pressure and trough systems crossing and passing over Korea (low crossing type: LC and low passing type: LP). When the Siberian high does not expand enough to the Korean peninsula, low pressure and trough systems are likely to move over Korea. Eventually this could lead to surface temperature (3.1℃) higher during YCAD than the average in the winter season (1.6℃). The surface temperature during YCAD, however, was decrease by 1.3℃. The cold air layer was elevated around 120 m~450 m for LP-type. For LC-type, the cold layer were found at less than approximately 400 m and over 1,000 m, which could be thought of combined phenomena with synoptic and local weather forcing. The cross-sectional analysis results indicate the accumulation of cold air on the east mountain slope. Additionally, the north or northeasterly winds turned to the northwesterly wind near the coast in all cases. The horizontal wind turning point of LC-type was farther from the top of the mountain (52.2 km~71.5 km) than that of LP-type (20.0 km~43.0 km).

Study on the Synoptic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ndstorms Occurring on the Korean Peninsula

  • Park, Jong-Kil;Jung, Woo-Sik;Kim, Eun-Byul;Lee, Bo-Ram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673-1691
    • /
    • 2014
  • Although most natural disaster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recently have been related to typhoons or severe rainstorm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disasters due to windstorms or rainstorms is also high. To reduce the strong wind damage caused by strong windstorms due to climate change, basic studies of strong winds are necessar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ypes and representative cases of windstorms that were observed to have been higher than 14 m/s, which is the criterion for strong-wind warnings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re selected from among those windstorm cases that occurred on the Korean Peninsula for 10 years to conduct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m and determine their synoptic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ases of windstorms occurring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divided into six weather patterns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the anticyclones/cyclones. Among these types, the SH type, which occurs when Siberian Highs expand into the Korean Peninsula, showed the highest occurrence frequency, accounting for at least the majority of the entire occurrence frequency of windstorms together with that of the EC type, which occurs when cyclones develop on the East Sea, and there was no clear yearly trend of the occurrence frequencies of windstorms. The monthly occurrence frequencies of windstorms were formed mainly by typhoons in the summer and the Siberian Highs in the winter, and the months with the highest windstorm occurrence frequencies were December and January, in which mainly the SH and EC type windstorms occurred. March showed the next highest occurrence frequency with10 times, and SH windstorms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in March, followed by the CC, SC, and EC types of windstorms, in order of precedence. Therefore, attention to these types of windstorms is required. Countermeasures against storm and flood damage in Korea targeting the summer should be re-reviewed together with pre-disaster prevention plans, because cases of storm and flood damage due to windstorms occur more frequently than those due to typhoons, and they occur throughout the year.

주요(主要) 침엽수(針葉樹)의 섬유(纖維) 경사도(傾斜度)와 비틀림 (Slope of Grain and Twist of Major Softwood Species)

  • 강선구;심상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45-52
    • /
    • 1993
  • Surveyed results on the slope of grain and the twist of sawn lumber of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Pinus densiflora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lope of grain of Pinus koraiensis has a Z-grain in the stem axis. The slope of grain was found to be the lowest at near to the pith and then constantly increased. At the height of 0.2m from the base of stem. a cross section of 35 annual rings was found to have a repeatedly increasing and decreasing slope of grain and then constantly decreased. At the height of 1.2m to 7.2m from the base of stem, the slope of grain increased conspicuously until the 10th annual ring, after which it increased near to the bark with repeatedly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2. Pinus densiflora has a S-grain in the stem axis. The lowest slope of grain was found at near to the pith, and the highest in the 10 to 35 annual rings from the pith. 3. Larix leptolepis has a S-grain. At the height of 3.2m from the base of stem, the big fluctuation of the slope of grain was found without any particular trend. 4. The slope of grain and the twist between natural and reforested timber of Pinus koraiensis were found to be almost the same trend in viewpoint of the annual ring. The maximum slope of grain of imported Siberian timber of Pinus koraiensis was found at the 10 annual rings, which was quite similar to that of native species in Korea, but the big difference of the twist was found at 140 annual rings. 5. The twist was little at the mature wood of reforested Pinus koraiensis and Siberians and the duplicated part of mature and juvenile woods of those. On the contrary, the twist was great at the duplicated part of mature and juvenile woods of Pinus koraiensis. 6. The twist of Larix leptolepis showed the S-direction which coincided with that of slope of grain. The twist was greatest at the part of juvenile wood and little at the duplicated part of mature and juvenile woods, and little difference of twist was found between mature and juvenile woods. 7. Siberian larix having a minimum slope of grain showed the lowest twist, and the twist at the duplicated part of mature and juvenile woods showed a middle level of both mature and juvenile woods' portions.

  • PDF

A Role for Ginseng in the Control of Postprandial Glycemia and Type 2 Diabetes

  • Vuksan Vladimir;Sievenpiper John L;Xu Zheng;Zdravkovic Uljana Beljan;Jenkins Alexandra L;Arnason John T;Bateman Ryon M.;Leiter Lawrence A;Josse Robert G;Francis Thomas;Stavro Mark P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9
    • /
    • 2002
  • The use of herbals has increased considerably while their efficacy and safety remain untested. This unsupported surge in demand has prompted a call for their clinical evaluation. One area in which evaluations are emerging is ginseng and diabetes. Growing evidence is accumulating from in vitro and animal models indicating that various ginseng species, American (Panax quinquefolius L), Asian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Red, San-chi (Panax notoginseng [Burk.] P.R. Chen), and the non-panax species Siberian (Eleutherococcus senticossus) ginsing, and their fractions, saponins (ginsenosides) and peptidoglycans (panaxans for panax species and eleutehrans for Siberian ginseng), might affect carbohydrate metabolism and related signaling molecules. Recent human studies from our laboratory have also shown a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of American ginseng (AG) and some other ginseng spices postprandially after acute administration and chronically after administration for 8-weeks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Although generally encouraging, these data only indicate a need for more evaluations of ginsengs safety and efficacy. Because of poor industry standardization, it is not known whether all ginsengs will affect blood glucose. In this regards some ginseng batches have demonstrated null effects while others have even raised postprandial glycemia. Clinical research should therefore focus on components involved in its glucose lowering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