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O

검색결과 10,141건 처리시간 0.036초

Aurora kinase A induces migration and invasion by inducing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in colon cancer cells

  • Hong, On-Yu;Kang, Sang Yull;Noh, Eun-Mi;Yu, Hong-Nu;Jang, Hye-Yeon;Kim, Seong-Hun;Hong, Jingyu;Chung, Eun Yong;Kim, Jong-Suk
    • BMB Reports
    • /
    • 제55권2호
    • /
    • pp.87-91
    • /
    • 2022
  • Aurora kinase is a family of serine/threonine kinases intimately associated with mitotic progression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cancers. Studies have shown that aurora kinases are important for the protein kinase C (PKC)-induced invasion of colon cancer cell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aurora kinase A promotes distant metastasis by inducing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EMT) in colon cancer cells. However, the role of aurora kinase A in colon cancer metastasis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urora kinase A on PKC-induced cell invasion, migration, and EMT in human SW480 colon cancer cells. Treatment with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 changed the expression levels of EMT markers, increasing α-SMA, vimentin, and MMP-9 expression and decreasing E-cadherin expression, with changes in cell morphology. TPA treatment induced EMT in a PKC-dependent manner. Moreover, the inhibition of aurora kinase A by siRNAs and inhibitors (reversine and VX-680) suppressed TPA-induced cell invasion, migration, and EMT in SW480 human colon cells. Inhibition of aurora kinase A blocked TPA-induced vimentin and MMP-9 expression, and decreased E-cadherin expression. Furthermore, the knockdown of aurora kinase A decreas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F-κB and AP-1 in PKC-stimulated SW480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urora kinase A induces migration and invasion by inducing EMT in SW480 colon cancer cell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showed aurora kinase A is a key molecule in PKC-induced metastasis in colon cancer cells.

과일 숙성 에틸렌가스 지시계 기술개발 현황 (Ethylene Gas Indicator for Monitoring Climacteric Fruit Ripening)

  • 신동운;이승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7-53
    • /
    • 2022
  • 최근 식품의 품질을 확인하는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능형 식품포장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있다. 지능형 포장의 중요한 요소인 indicator는 특정 물질을 감지하거나 식품 품질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색변화를 나타낸다. Gas indicator는 식품 품질이 변할 때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을 감지하기 위해 식품 포장에 내장될 수 있다. 에틸렌 가스는 후숙과일의 호흡을 증가 시키며 후숙과일이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서 에틸렌가스가 다시 생성된다. 포장된 과일의 경우 headspace의 에틸렌가스 농도는 과일의 숙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틸렌 가스 흡수제를 제조하여 에틸렌가스를 제거하는 방법도 적용된다. 하지만 이는 소비자가 적숙기의 과일을 섭취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과일 포장에 사용할 수 있는 에틸렌가스 지시계가 있다면 소비자는 최적의 시간에 과일을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금속 물질 환원반응 활용 지시계, fluorescence 활용 지시계, pH 지시약 활용 지시계, 리포솜 활용 지시계 등의 다양한 에틸렌가스 지시계를 비교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에틸렌가스 지시계의 특성과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각 지표를 분석한 결과, 금속 물질 환원반응 기반 지표인 몰리브덴(Mo)에 팔라듐(Pd)을 촉매화하여 물리적 장벽의 수단인 SiO2와 30PDDA(polydiallyl dimethyl ammonium chloride)의 다중층에 적용한 지시계가 안정성, 에틸렌가스에 대한 민감도, 시각적 변화를 통한 정보 제공력에서 가장 적합한 지시계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얌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Yambean (Pachyrhizus erosus) Extract)

  • 이아름;김교남;김혜옥;송원정;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7-64
    • /
    • 2017
  • Objectives : Yam bean (Pachyrhizus erosus) possess various nutrients, it has been widely used as traditional cosmetic material in Indones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Yambean (Pachyrhizus erosus) extract and its fractions.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am bean extract assessed based on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To evaluate anti-melanogenic effects and cytotoxicity of Yambean extract and its fractions, B16F10 melanoma cell was used. Results : In results, total polyphenol content of yam bean water extract (YW) and Yambean 70% ethanol extract (YE) were $1.18{\pm}0.03mg/g$ (mg of gallic acid/g of sample), $1.16{\pm}0.01mg/g$. Total flavonoid contents of YW, YE were $3.55{\pm}0.06mg/g$ (mg of naringin/g of sample), $1.78{\pm}0.03mg/g$. Moreover, YE scavenged DPPH and ABTS effectively in $4mg/m{\ell}$ compared to YW. Cytotoxicity of YE and its fractions in B16F10 melanoma cell was measured using MTT assays. It had no cytotoxicity up to $500{\mu}g/m{\ell}$. Melanin accumulation in B16F10 melanoma cell was induced using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 and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B16F10 melanoma cell treated with $10-500{\mu}g/m{\ell}$ YE and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H_2O$ fractions for 24h. Non treated B16F10 melanoma cell (Control) markedly increased melanin contents. In contrast, YE ethylacetate fraction effectively suppressed melanin accu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Yambean extract has the potential as a cosmetic material which possess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개구리자리(Ranunculus sceleratus) 추출물의 AMPK 신호전달을 통한 지방생성 억제 효과 (Extract of Ranunculus sceleratus Reduced Adipogenesis by Inhibiting AMPK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 김예지;조성필;이희주;홍금란;김경현;류시윤;정주영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0-37
    • /
    • 2022
  • Objectives: Adipogenesis is the process by which pre-adipocytes are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adipocyte formation and lipid accumulation. Ranunculus sceleratus (R. sceleratus) extracts are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such as hepatitis, jaundice, and tuberous lymphadenitis in oriental medicine. However, its effect on adipogenesis has not yet been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 sceleratus o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Methods: Cells were treated with 50, 100, and 200 ㎍/ml of R. sceleratus and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To differentiate the 3T3-L1 preadipocytes, a 3-isobutyl-1-methylxanthine, dexamethasone, and insulin (MDI) solution were used.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The expression levels of adipogenesis-related proteins were also determined. Results: MDI solution differentiated the preadipocytes into adipocytes and accumulation of lipids was observed in the differentiated 3T3-L1 cells. Interestingly, the amount of lipid droplets was reduced after R. sceleratus treatment.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𝛼 (C/EBP-𝛼)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𝛾 (PPAR-𝛾) were also reduced after R. sceleratus treatment. Furthermore, R. sceleratus increased AMP-activated kinase (AMPK) phosphorylation and decrease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 expression.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R. sceleratus reduced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by inhibiting C/EBP-𝛼 and PPAR-𝛾 levels via the AMPK pathway. Therefore, we suggest that R. sceleratus may be potentially used as an anti-adipogenic agent.

Zeolite 시용에 의한 벼의 증수효과 및 요인해석 (Effects of Zeolite Application 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in Rice)

  • 계봉명;설권석;조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3-408
    • /
    • 1987
  • 사질답을 Zeolite 가용에 의한 증수효과의 실증을 해석적으로 평가하고저 1986년 공시품종 '봉광'를 사용해서 표준재배법으로 관리하여 조사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Zeolite 가용에 의하여 토양중의 K는 116%, Ca는 l8%, SiO$_2$는 22%, 그리고 CEC는 14%가 각각 증가하였다. 2. 10a당 백미수량은 542kg로서 표준재배구보다 11% 증수되었다. 이것은 주당수수가 많고, 임실율이 높고 수당입수도 많은 것에 기인되었다. 또한 1,000입중 및 1$\ell$중이 무겁고, 쇄미율은 낮고 밥맛은 좋았다. 3. 특이한 상관반응으로서는 정조수량-수중비율이 높은 정상관이며, 정상관이 인정되는 것은 주당수수-수중비율 및 등숙율-정조수량이다. 높은 부상관은 정조 1.000입중-제 4ㆍ5절 간장 비율이였다. 4. 수량에 대한 수량구성요소의 직접효과는 등숙율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큰 것은 수당입수였다. 5. 출수기 35일후의 식물 각기관의 건물중은 표준재배구보다 모두 무거웠으며, 특히 생엽은 26%, 경+엽초는 19%, 그리고 수는 5%나 각각 무거웠다. 6. 수의 1차지경 끝부위의 착립비율은 전착립수의 47%이며, 그의 상반부의 착립비율은 37%이다. 그리고 수축의 최선단에도 많이 착립하는 정전화의 우세효과가 뚜렷하였다.효과가 뚜렷하였다.

  • PDF

황강생태계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장기변화 (Long-term Studies on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Hwang River Ecosystem)

  • 고의정;허유지;주기재;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398-405
    • /
    • 2022
  • 본 연구는 황강의 주요 이화학적 및 수문학적 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대한 장기조사를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1995년부터 2013년까지 낙동강 중류에 위치한 황강에서 341회 조사를 통해 확인된 동물플랑크톤은 총 97종으로, 윤충류 77종, 지각류 16종, 요각류 4종이 출현하였다. 전체 동물플랑크톤 출현밀도와 종 수는 뚜렷한 시간적 변화를 보였다. 연평균 동물플랑크톤 밀도는 58.4±3.2 ind L-1 (n=341)이었으며, 최저 17.0±3.8 ind L-1 (1997, n= 20), 최대 151.5±32.3 ind L-1 (2010, n=22)으로 확인되었다. 19년의 조사기간 동안 동물플랑크톤 군집 중 크기가 작은 윤충류(Keratella sp., Brachionus sp., Trichotria sp.)가 우점하였다. 윤충류 밀도가 50%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 기간은 이산화규소(p=0.002) 및 수온(p<0.001)과의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연강수량 변동폭 및 강수 기간에 따라 지각류는 종 수 및 밀도의 큰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황강에서 동물플랑크톤 종 수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평균 밀도는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강 하류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수체의 부피가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유지될 수 있는 외적 요인과 수체 내 영양염류 유입을 통해 먹이원의 증가를 유도하는 내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코팅된 무색 합성 모이사나이트의 특징 (Characterization of coated colorless synthetic moissanite)

  • 최현민;김영출;장한수;석정원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1
    • /
    • 2022
  • 한미보석감정원은 최근에 5개의 투명한 합성 모이사나이트를 검사했다. 그 샘플들은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의 무색, 핑크, 황색, 청색, 적색 컬러와 0.93~0.96 ct 중량을 가지고 있었다. FT-IR과 Raman 분석 결과 합성 모이사나이트임을 확인하였고, 확대검사 결과 무색을 제외한 나머지 샘플에서 코팅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EDXRF 분석 결과 무색 샘플을 제외한 모든 샘플의 코팅부분에서 Ca, Ti, Co의 미량원소가 검출되었다. 무색 샘플의 Raman 분석에서 탄소 원자의 sp3 bonding에 의해 생성되는 1332 cm-1 또는 graphite와 관련된 sp2 bonding에 의해 생성되는 ~1550 cm-1는 발견되지 않았다. 무색 샘플의 SEM 이미지에서도 코팅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TEM 이미지에서 3~8 nm의 코팅층의 존재가 발견됐다. EDX line 프로파일과 EDX elements map을 통해 무색 샘플의 코팅층을 구성하는 원소는 C, Si, O로 추정된다.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의 수리지화학 및 통계 분석 (Hydrogeochemistry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Site in Gyeongju)

  • 옥순일;김시은;정성연;이충모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29-642
    • /
    • 2023
  • 국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영구적 격리를 위해 처분장에 매립하고 있으며 그 위치는 경주에 있다. 이러한 방사성폐기물의 영구적인 격리를 위한 처분시설은 공학적 방벽과 자연 방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 방벽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서는 2006년부터 부지특성조사를 수행하였고, 이후 부지감시 및 조사계획에 따른 감시를 수행하여 부지특성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중저준위 방폐장의 수리지화학적 환경은 자연 방벽의 평가를 위해 중요한 요소로 손꼽히고 있으나 동해와 가까운 경주의 지역적 특성상 해수의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처분 부지의 지하수 관정 7개 및 관정의 심도별 수질 자료를 취합해 지하수 자료 총 30개를 해수 2개소와 비교 분석하여 수리지화학적 환경을 해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수질 10개 항목(온도, EC, HCO3, Na, K, Ca, Mg, Cl, SO4, SiO2)을 2017년 3분기부터 2022년 3분기까지 총 5년간 20회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EC, HCO3, Na, Cl의 농도 변화를 통해 연구 지역의 배경 농도 및 관정의 구간별 해수의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시계열 군집 분석을 통해 담수, 기수, 해수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모니터링 방법으로는 확인하지 못한 부지내 수리지화학적 변화를 제시하였다.

Clinical Outcomes of Coil Embolization for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Categorized by Region and Hospital Size : A Nationwide Cohort Study in Korea

  • Bong-Gyu Ryu;Si Un Lee;Hwan Seok Shim;Jeong-Mee Park;Yong Jae Lee;Young-Deok Kim;Tackeun Kim;Seung Pil Ban;Hyoung Soo Byoun;Jae Seung Bang;O-Ki Kwon;Chang Wan Oh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6호
    • /
    • pp.690-702
    • /
    • 2023
  • Objective : To analyze the outcomes of coil embolization (CE) for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UIA) according to region and hospital size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 in South Korea. Methods :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cluding intracranial hemorrhage (ICRH) and cerebral infarction (CI), occurring within 3 months and the 1-year mortality rates in UIA patients who underwent CE in 2018 were analyzed. Hospitals were classified as tertiary referral general hospitals (TRGHs), general hospitals (GHs) or semigeneral hospitals (sGHs) according to their size,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outh Korea were divided into 15 regions. Results : In 2018, 8425 (TRGHs, 4438; GHs, 3617; sGHs, 370) CEs were performed for UIAs. Complications occurred in 5.69% of patients seen at TRGHs, 13.48% at GHs, and 20.45% at sGHs. The complication rate in TRGH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GHs (p=0.039) or sGHs (p=0.005), and that in GH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sGHs (p=0.030). The mortality rates in TRGHs, GHs, and sGHs were 0.81%, 2.16%, and 3.92%,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Despit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rtality rates, the complication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CE procedures per hospital decreased (p=0.001; rho=-0.635). Among the hospitals where more than 30 CEs were performed for UIAs, the incidence of CIs (p=0.096, rho=-0.205) and the mortality rates (3 months, p=0.048, rho=-0.243; 1 year, p=0.009, rho=-0.315)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number of CEs that were performed increase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ost-CE ICRH was observed. Conclusion : The complication rate in patients who underwent CE for UIA increased as the hospital size and physicians' experience in conducting CEs decreased. We recommend nationwide quality control policies CEs for UIAs.

3-Azidopropane-1,2-diol로 쇄연장된 GAP/PTMG 폴리우레탄의 상거동 (Phase Behaviors of the GAP/PTMG Polyurethanes Chain Extended with 3-Azidopropane-1,2-Diol)

  • 김형석;유종성;권정옥;김정수;이동선;노시태;장영욱;김동국;권순길
    • 공업화학
    • /
    • 제21권4호
    • /
    • pp.377-384
    • /
    • 2010
  • 에너지 함유 쇄연장제인 3-azidopropane-1,2-diol (AzPD)로 쇄연장된 에너지 함유 폴리우레탄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비교연구법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AzPD, 1,4-BD, 또는 1,5-PD 쇄연장제를 갖는 poly(glycidyl azide)/poly(tetramethylene oxide)계 에너지 함유 세그멘티드 폴리우레탄(energetic segmented polyurethane, GAP/PTMG ESPU)을 dimethyl formamide (DMF) 용매에서 합성하여 상거동을 고찰하였다. 상거동은 fourier transform infrared.attenuated total reflection spectroscopy (ATR FT.I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및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TR FT.IR spectrum 분석결과 7일 경과 시편의 GAP/PTMG AzESPU의 수소결합하지 않은 C=O 분율이 0.5로 각각 0.44 및 0.41인 GAP/PTMG BDESPU 및 GAP/PTMG PDESPU 보다 높았고, 제조 후 60일 경과 시편의 경우 0.26~0.29의 범위로 큰 차가 없었다. 제조 후 7일 경과 GAP/PTMG AzESPU 시편의 DMA curves는 무정형 고분자의 거동과 유사하였으며, GAP/PTMG BDESPU과 GAP/PTMG PDESPU는 고무평탄구간과 연성 흐름 구간을 갖는 점탄성 거동을 나타냈다. 그러나, 제조 후 60일 경과 GAP/PTMG AzESPU의 DMA curves는 GAP/PTMG PDESPU와 같이 고무평탄구간과 연성 흐름 구간을 갖는 점탄성 거동을 나타냈다. ATR FT-IR, DSC 및 DMA 분석을 이용한 상거동 고찰로부터 AzPD로 쇄연장된 GAP/PTMG ESPU는 1,4-BD 또는 1,5-PD로 쇄연장된 GAP/PTMG ESPU보다 구성성분간의 상혼합이 잘 이루어지나 적절한 조건에서 상형평에 도달되면 GAP/PTMG PDESPU와 유사한 TPE의 점탄성 거동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