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ulder Angle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3초

생리학적인 하중 조건에서 소 상완골 연골의 기계적 특성 (In Situ Mechanical Response of Bovine Humeral Head Articular Cartilage in a Physiological Loading Environment)

  • 박성훈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5-150
    • /
    • 2008
  • One of the unresolved questions in articular cartilage biomechanics is the magnitude of the dynamic modulus and tissue compressive strains under physiological loading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dynamic modulus and compressive strain magnitudes of bovine articular cartilage at physiological compressive stress level and loading frequency. Four bovine calf shoulder joints (ages 2-4 months) were loaded in Instron testing system under load control, with a load amplitude up to 800 N and loading frequency of 1 Hz, resulting in peak engineering stress amplitude of ${\sim}5.8\;MPa$. The corresponding peak deformation of the articular layer reached ${\sim}27%$ of its thickness. The effective dynamic modulus determined from the slope of stress versus strain curve was ${\sim}23\;MPa$, and the phas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applied stress and measured strain which is equivalent to the area of the hystresis loop in the stress-strain response was ${\sim}8.3^{\circ}$. These results are representative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articular cartilage in a physiological loading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s novel experimental findings on the physiological strain magnitudes and dynamic modulus achieved in intact articular layers under cyclical loading conditions.

평행봉 Kenmotsu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A Kinematical Analysis of the Kenmotsu on the Parallel Bars)

  • 공태웅;김용선;윤창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1-70
    • /
    • 2005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ematic variables of Kenmotsu motion in Parallel bars. To this study, by 3 dimensional kinematical analysis of 4 male national gymnasts participants in the 28th Athens Olympic Game in 2004, kinematic data collected using video camera. Coordinate data were smoothed by using a fourth-order Butterworth low pass digital filter with cutoff frequency of 6Hz.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In P2, because the constrained swing movement made the movement of a rising back difficult7, the movements of Reg. were performed at low position after Air phase. 2. In E5 event, for the shake of a stable handstand and applied techniques like a Belle(E-value), a Belle Piked(super E-value), a vertical velocity in E2, a horizontal velocity in E3 and a vertical velocity in E4 were necessary for high velocities. 3. In E4 event, it was appeared that for a flexible body's movement of a vertical up-flight, the large angle of the shoulder joint and the flexion & extension of the hip joint were necessary in Air phase and a long flight time and vertical displacement made Reg. movements stable at the high position.

Musculoskeletal Model for Assessing Firefighters' Internal Forces and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Disorders During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Carriage

  • Wang, Shitan;Wang, Yuny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3호
    • /
    • pp.315-325
    • /
    • 2022
  • Background: Firefighters are required to carry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which increase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This study assessed the newly recruited firefighters' internal forces and potential musculoskeletal disorders when carrying SCBA. The effects of SCBA strap lengths were also evaluated. Methods: Kinematic parameters of twelve male subjects running in a control condition with no SCBA equipped and three varying-strapped SCBAs were measured using 3D inertial motion capture. Subsequently, motion data and predicted ground reaction force were inputted for subject-specific musculoskeletal modeling to estimate joint and muscle forces. Results: The knee was exposed to the highest internal force when carrying SCBA, followed by the rectus femoris and hip, while the shoulder had the lowest force compared to the no-SCBA condition. Our model also revealed that adjusting SCBA straps length was an efficient strategy to influence the force that occurred at the lumbar spine, hip, and knee regions. Grey 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eviation of the center of mass, step length, and knee flexion-extension angle could be used as the predictor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Conclusion: The finding suggested that the training of the newly recruits focuses on the coordinated movement of muscle and joints in the lower limb. The strap lengths around 98-105 cm were also recommended.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injury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f the newly recruited firefighters.

철봉 내리기 공중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I) (Kinematic Analysis of Airborne Movement of Dismount from High Bar(I))

  • 최지영;김용이;진영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9-177
    • /
    • 2002
  • 본 연구는 철봉운동에서 기본이 되는 동작인 몸펴 한번 뒤돌아 내리기 동작을 단계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하여 현재 시합상황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응용동작인 몸펴 두 번 뒤돌아 내리기 동작과 몸펴 두 번 뒤돌며 한번 비틀어 내리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개개분절 간의 상호작용을 해부학적 3차원 각운동과 각속도로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운동학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피험자들은 현재 K대학교에 재학중이며 대학 대표선수인 남자 기계체조 선수 7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인체의 모델은 Zatsiorsky와 Seluyanov(1983, 1985)이 사용한 16개의 분절로 이루어진 인체의 모델을 사용하였다. 신체무게중심이 이동방향을 설명할 수 있는 투사각도 및 투사속도는 공중동작의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신체무게중심이 투사되는 각도가 증가되며, 이렇게 증가된 신체무게중심의 투사각도는 신체무게중심의 최고점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3차원 투사속도를 살펴본 결과 Z방향(수직방향)은 공중돌기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운동진행 방향인 Y방향 속도와 좌우측 기울기를 설명할 수 있는 X방향 속도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철봉 내리기 공중동작에서의 신체분절 및 각도 변화도 중요하지만 각운동량을 만들어내기 위한 동작준비구간의 각도 변화가 더욱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상체가 철봉 아래 봉과 수직될 때부터 릴리즈 순간까지의 각도 변화에 주목해야 하는 데,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어깨관절 각도와 엉덩관절 각도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준비구간의 추기기 동작(Whip swing)의 주된 관절로 작용을 한다. 관성좌표계에 대한 상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3차원 방향의 각도 즉, 뒤돌기(somersault)각도, 틀기(twist)각도 그리고 기울기(tilt)각도로 설명이 되는데, 본 연구의 결과 릴리즈시 뒤돌기 각은 세가지 내리기 동작 유형에 따라 평균 57,7도, 38.8도 그리고 39.7도로 나타났으며, 기울기 각은 평균 -1.5도, -5.4도 그리고 -8.4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틀기각도는 평균 13.4도, 10.6도 그리고 23.3도로 몸펴 두번 뒤돌며 한번 비틀어 내리기 경우 가장 큰 수치를 나타냈다.

근위 상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삼각근 분할 도달법과 삼각 대흉간 도달법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 비교 (Comparison Study of Different Approach (Deltoid Splitting Approach and Delto-pectoral Interval Approach) for Proximal Humeral Fractures)

  • 김승희;단진명;김병국;이윤석;김형종;류근정;이진현;김재화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1호
    • /
    • pp.17-26
    • /
    • 2013
  • 목적: 삼각근 분할 도달법 또는 삼각 대흉간 도달법을 이용하여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 술을 실시한 근위 상완골 골절의 환자에서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근위 상완골 불안정성 골절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골절의 정복 및 고정술을 실시한 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38.2주의 추시를 하였으며 각 군에서 수술 후 상완골의 경간각의 변화를 방사선학적 결과로 측정하고, 기능적 결과로 KSS 및 Constant score 차이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도달법에 따른 방사선학적 결과에서 상완골 경간각의 차이는 삼각근 분할 도달법에서 평균 12.04도와 삼각 대흉간 도달법에서 평균 10.20도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능적 결과에서 KSS의 차이와 Constant score의 차이는 삼각근 분할 도달법이 22.74점 및 13.78점으로 삼각 대흉간 도달법의 31.13점과 19.41점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불안정한 근위 상완골 골절의 치료에서 삼각근 분할 도달법을 통한 골절의 정복과 잠김 압박 금속판을 사용한 고정술이 기능적인 결과의 회복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골프 드라이브 스윙시 구질 변화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Biomechanics analysis by golf drive swing pattern)

  • 최성진;박종진;양동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9-27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볼 구질의 변화에 따른 스윙 동작의 운동학적인 변인을 3차원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스윙 동작의 운동역학적인 원리를 제시하며, 볼 구질이 다른 스윙 동작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며, 프로골퍼로 경력 3년 이상의 남자 선수 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이트 성공, 페이드 성공과 실패로 구분하여 골프 스윙의 운동학적 변인들을 과학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페이드 성공시에는 임팩트를 지나서도 계속 손목의 각도가 근소한 차이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패시에는 각 프레임의 각도가 규칙적으로 변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이트 성공과 페이드 성공에 대한 손목각도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요인과 손목각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페이드 실패의 경우는 임팩트시의 몸통 비틀림각도가 성공때 보다 작아지면서 클럽헤드가 오픈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스윙의 형태의 변화로 인하여 어깨관절의 회전력을 더 많이 사용하여 파워을 증진시키기 위한 동작이며, 골프 스윙에서 어깨회전 운동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어깨회전각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이트 성공시 보다 페이드 성공시에 고관절의 회전각도가 점진적으로 일정하게 각이 커졌다. 이는 고관절의 회전을 더 크게 하여 지연히팅을 보다 자연스럽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드 볼 구사시 임팩트 존에서 클럽의 페이스가 닫히는 것과 팔의 자연스러운 롤링 동작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구질 변화에 따른 골프 스윙 동작을 스트레이트 성공, 페이드 성공과 실패시로 구분하여 운동학적 변인들을 3차원 동작 분석을 통하여 경기력 향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각 종목에 있어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역학적인 분석이 계속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테니스 플랫 서브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Tennis Flat Serve Motion)

  • 오정환;최수남;남택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7-108
    • /
    • 2006
  • C. H. OH, S. N. CHOI, T. G. NAM,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Tennis Flat Serve Motion, Korean Jiurnal of Sports Biomechanics, Vol. 16, No. 2, pp. 97-108, 2006. By the comparison a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 factors during the tennis flat serve motion such as the required time per section,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racket, the velocity of the upper limbs joints, the physical center of gravity, and the angle and the angular velocity of the upper limbs joints between an ace player and a mediocre player, thes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the experiment result of the total time required per section in a tennis flat serve motion showed that an ace player was faster than a mediocre player by 0.4 seconds. This result suggested that it was required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racket head by a swift swing to perform an effective flat serve motion. Second, the experiment result of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racket in the tennis flat serve motion showed that an ace player greatly moved toward the left side on an x-axis. But both an ace and a mediocre player were shown to be at the similar points on a y-axis at the moment of the impact of the racket. An ace player was also shown to be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on a z-axis by 0.23m. Third, the velocity of the center of gravity of an ace player was faster in every phase than that of a mediocre player in a tennis flat serve motion. Fourth, the velocity of the upper limb joints of an ace player was faster in every phase than that of a mediocre player in a tennis flat serve motion. Fifth, the experiment result of the speed of the racket head in tennis flat serve motion showed that a mediocre player was faster than an ace player in the first phase, but the latter was faster than the former in the second, third, and the fourth phases. Sixth, at the moment of impact of a tennis flat serve, an ace player had greater flexion of the angle of the wrist joints by an 11.8 degree than a mediocre player. An ace player also had greater extension of the angle of the elbow joint and the shoulder joint respectively by a 5.2 degree and a 1.4 degree with a mediocre player. Seventh, an ace player had greater angular velocity of the upper limb joints and the hip joints than a mediocre player at the moment of the impact of tennis flat serve. Eighth, an ace player was shown to have a greater change of the forward and the backward inclination (or the anterior and posterior inclination) of the upper body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측두하악장애(TMD) 유병율과 그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 (The Prevalence Study of TMD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 김명희;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23-538
    • /
    • 1997
  • 서울대학교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한 6세 1개월에서 45세 8개월사이(평균 19세 6개월)의 부정교합자 205명(남 67명, 여 138명)을 대상으로 TMD 증상과 기여요인에 관한 설문조사와 Orthopantomogram, 경두개 방사선 사진(transcranial view)의 판독, 교정모형 검사 등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elkimo Anamnestic index는 Ai 0 $46.8\%$, Ai I $22.0\%$, Ai II $31.2\%$로 TND의 주관적 증상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p<0.001)를 보였으며 여성에서 높았다(p<0.05). 2. Orthopantomogram상 하악두의 이상소견은 flattening($4.4\%$)이 가장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한가지 이상의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8.3\%$였다. 3. 목과 어깨의 동통(p<0.001) 이악물기, 입술을 깨무는 습관(이상 p<0.01). 두통(p<0.05)이 있는 경우 Ai가 높았다. 4. Angle II급에서 Orthopantomogram상 하악두 이상소견의 빈도가 높았고, 상악 대구치의 교모가 있을때 Ai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이상 p<0.05). 그외의 교합 요소는 TMD의 증상과 무관하였다. 5. 하악두 길이(Co'-Inc')와 하악지 길이(Co'-Go')가 짧고 하악두의 비율(Co'-Inc'/Co'-Go')이 낮을때, 그리고 좌우 하악지 길이 (Co'-Go'), 하악두 비율(Co'-Inc'/Co'-Go')이 다를때 Orthopantomogram상 하악두 이상소견이 많았다.

  • PDF

병원 내원한 환자 견갑골(scapula) 진단을 위한 연구 (The shoulder diagnosis Scapula study of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 안병주;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20
    • /
    • 2010
  • 견갑골의 골절 유 무와 외상에 의한 탈구를 진단하는데 있어 견갑골의 정측면상의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측방향 촬영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회전 각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견갑골의 촬영을 위해 내원한 환자 20명(여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35.4세(15세부터 66세)였다. 수동각도기의 거상각도를 $30^{\circ}$, $40^{\circ}$, $45^{\circ}$로 하여 전 후방향 촬영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전문가 5명이 내측연과 외측연의 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4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불완전 겹침이 있는 영상은 3점, 견갑골체 내측연과 외측연이 겹침이 없는 영상은 2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사방향으로 나타난 영상은 1점으로 4단계로 나누어 blind test를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한 각도별 평균점수는 $30^{\circ}$$1.53{\pm}0.39$점, $40^{\circ}$$3.83{\pm}0.15$점, $45^{\circ}$$2.17{\pm}0.43$ 점으로 나타났다. 도한 가슴둘레가 100cm이상인 군과 100cm이하인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p<0. 05) 없었고, 남자와 여자 간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는데 적합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측을 $40^{\circ}$ 회전하며 검사측 상완골을 반대쪽으로 들며 촬영하는 것이 한국인 성인에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견갑골의 측방향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세 가지 다른 인레이 와동 형태가 CEREC3 CAD/CAM의 변연 및 내면 간극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REE DIFFERENT PREPARATION DESIGNS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S OF CEREC3 CAD/CAM INLAYS)

  • 서덕규;이영아;이윤;노병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77-183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다른 치아 삭제 형태에 따라 제작된 CEREC3 CAD/CAM의 인레이의 변연 및 내면 간극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CEREC3 인레이의 제작을 위해 다음의 제시된 방법에 따라 각 군당 10개의 시편을 준비 하였다. 제 I 군-기능 교두를 포함하는 전통적 방식의 capping과 shoulder margin, 제 II 군-교두를 수평으로 평평하게 삭제하는 단순화된 와동 형태, 제 III 군-교두의 완전한 삭제와 shoulder margin을 갖는 가장 단순화된 형태로 세 군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CEREC3로부터 제작된 인레이를 대응치아에 접착시킨 후, 치아 교합면의 중심을 지나게 협설면 방향으로 microsaw를 이용하여 절단하였다. 이후 Stereomicroscope을 사용하여 20배율에서 확대 영상을 촬영하였다. 그리고 미리 정해놓은 marginal, axial, angle, Horizontal 기준점에서 Leica application suit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편과 치아 사이의 변연 및 내면 간극을 측정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같은 기준 지점에서 세 군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각 군 안에서 여러 지점 사이의 차이 또한 알아보았다. Tukey's test로 95% 유의수준에서 사후 검정하였다. 세 군 모두에서 변연 부위에서 간극이 가장 작았으며, 변연 간극은 제 I 군 $80.0-97.8{\mu}m$, 제 II 군$42.0-194.8{\mu}m$, 제 III 군 $51.0-80.2{\mu}m$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내면 간극은 제 I 군 $90.5-304.1{\mu}m$, 제 II 군 $80.0-274.8{\mu}m$, 제 III 군 $79.7-296.7{\mu}m$의 범위를 나타냈고 horizontal wall 부위에서 가장 큰 간극을 보였다. CEREC3 CAD/CAM시스템을사용한 인레이 제작에 있어서 새롭게 제안된 두 가지의 단순화된 와동 형태는 변연 및 내면 간극이 전통적인 교두 피개 와동 형태보다 우수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