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pping place typ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9초

북미 쇼핑몰의 변화에 따른 평면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 북미 교외지역 쇼핑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ology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Shopping Malls in North America - With reference to out-of-town regional shopping mall in North America -)

  • 김형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55-162
    • /
    • 2010
  • Shopping became a meaning of simply buying goods and service as well as buying place and cultural experiences to people living nowaday. Many people make an appointment, watch movies and enjoy shopping in shopping malls. This Change of meaning of shopping made shopping center to be a place for pubic space gradually. Although shopping mall, a type of shopping center, existed from the past, contemporary shopping mall that is enclosed from air started to be established in 1950's in North America. After that lifestyle and shopping environment having been changed continuously and shopping mall in terms of architectural typology has been changed as well. Now shopping mall provides leisure and entertainment to people and also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redeveloping a city and revitalizing a town. This study will take a look at changes of typology of out-of-town regional shopping mall in north America and analyze reason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since 1960's shopping ma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 of out-of-town regional shopping mall and to find application method in shopping mall design in Korea.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Shopping Situation and the Product Display Type on the Consumer Response in Mobile Shopping

  • Choi, Seung-Hoon;Lee, Dong Il;Lee, Hyej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119-13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duct display type on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ttitude toward store, and revisit intention in the various mobile shopping situations. To test the hypothesis, between-subjects experiment with 3 mobile shopping situations (outdoor place, public transportation, commercial facilities) by 3 product display types (search, category, product) was conducted, and analyzed with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s there are no main effects of the mobile shopping situations and the product display types, b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product display type and the mobile shopping situat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the revisit inten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attitude toward the store is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Experiment results suggest that the positive consumer responses in terms of the purchase and revisit intention can be achieved when the product display is matched with the situation in the mobile shopping setting. Controlling consumers' evaluation on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ir experience of online shopping, we can take these effect as the results of match-up between the product display type and the situational factors surrounding mobile shopping. The result provides strong support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in mobile shopping. Most of the mobile device can utilize the consumers' location which can be easily interpreted as the situational factors. With regard of the level of the external stimulation, the shopping service providers can offer the main interface with the right match with the consumers' situations. When the external stimulation level is high, they should provide the category display or product display in the target promotion in their mobile shopping apps. However if the target is on the way with the low external stimulation level, they should provide the search format as the main interface in their apps. More interestingly, this kind of manipulation does not affect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store according to our research result. Future research direction is discussed.

  • PDF

시간제약 소비자의 쇼핑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Shopping Behavior of consumer under the perception of Time Pressure)

  • 정순희;김현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6권2호
    • /
    • pp.15-2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shopping and shopping behavior of consumer under the perception of time pressure. In this study, qualitative methods such as participation observation, depth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consumer under the perception of time pressure defined shopping is mainly' grocery purchasing'. Second, they go shopping on weekend, in familiar store and buy the same kind of goods. Like this, their shopping patterns appear fixed type. Third, this study ascertained proposed time management strategies applied to shopping. Finally, a place of residence, driving or not, house helper, children and standard of family influence on consumer's shopping behavior additionally.

  • PDF

Comparison on the High School Girls' Purchasing Pattern of Fashion Products at Online and Offline Markets

  • Min, Hye-Kyung;Hwang, Choon-Sup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6호
    • /
    • pp.124-137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high school girls' buying patterns of fashion products at online and offline shopping malls; and to obtain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and offline mall marketing strategie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s. The sample consisted of 242 girls from fou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d a paired t-test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high school girls (82.2%) had experience of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t online shopping malls. And, those who have purchasing experience at online shopping malls, compared to those who do not have such purchasing experience, showed a higher purchasing intension at online shopping malls. Second, both the degree of pre-purchase searching and ongoing searching was higher in online shopping than in offline shopping. Third, the quality of material, place produced, brand name, and store atmosphere/type were considered more in offline shopping than in online shopping. Shopping convenience and information service about the products were considered more in online shopping than in offline shopping. Fourth, the purchasing frequency of underwear and hair accessaries was higher at offline stores than online shopping malls, but the purchasing frequency of bags was higher in online stores than offline stores. Whe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urchasing patterns at online shopping malls and offline stores are considered carefully, marketing activities would be more effective.

여행동기에 따른 해외여행자 집단별 쇼핑행동 비교 (Comparative Study on Shopping Behavior of Korean Overseas Tourist Groups Based on Travel Motivation)

  • 전양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5-3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여행 동기에 따라 여행자들의 집단을 나누고 각 집단별로 해외여행시 구매하는 상품이나 이용 매장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여행동기와 구매상품의 종류와 속성, 쇼핑장소의 유형과 속성에 대한 주요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20-50대 해외여행 경험자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적극적 집단, 소극적 집단, 자연 쾌락추구 집단, 가족 발견추구 집단의 4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해외에서 구매하는 모든 상품종류에 대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다른 세 집단보다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특히 소극적인 여행자나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들보다 패션 사치품이나 기념품 구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품 속성에서 디자인과 명성, 실용성, 가격과 품질 등의 요인들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구매 장소 측면에서는 적극적 집단은 지역 시장, 패션매장, 선물매장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소극적인 여행자들은 패션매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장소 속성의 중요도는 편의성, 디스플레이, 매장위치 및 판촉활동 순으로 중요시되었으며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다른 세 집단 여행자들보다 매장 편의성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 발견중심 여행자와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 집단은 쇼핑행동이 비슷하거나 일부 요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소극적 여행자들은 나머지 세 집단과 구별되게 모든 쇼핑행동에 대한 관심이 낮았다. 여행동기에 근거한 시장세분화는 서로 다른 쇼핑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변별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플랫폼 형태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hopping Mall on Revisit -Focusing on the difference in online platform form-)

  • 신종국;김재훈;이승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73-88
    • /
    • 2021
  • 현대 산업의 발전과 COVID-19의 출현으로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에 변화가 생기면서, 특히 온라인상의 소비가 활발해졌다.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온라인 쇼핑몰에는 크게 독립형, 임대형, 오픈 마켓형 그리고 스토어팜으로 4가지 플랫폼 유형이 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독립형과 스토어팜 형을 비교하여 플랫폼 유형이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과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의 설문조사 202건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인 신뢰성, 정보성, 편의성 그리고 프로모션 중에서 신뢰성과 정보성은 심리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프로모션과 편의성은 경제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관계 혜택인 심리적, 경제적 혜택은 재방문 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절 변수인 플랫폼의 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구매자 집단과 비 구매자 집단의 쇼핑성향의 차이 (Shopping Orientation's Differentiation between On-line Consumer Group and Off-line Consumer Group)

  • 조경섭;송형철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0권
    • /
    • pp.71-89
    • /
    • 2002
  • 온라인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는 환경 하에서 온라인 소비자와 오프라인 소비자에 대한 차이점을 밝히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온라인 소비자와 오프라인 소비자 두 집단의 차이점을 밝히는 것은 각 소매업자들에게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소비자와 오프라인 소비자 두 집단의 쇼핑성향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변수를 찾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쇼핑성향을 쇼핑즐거움, 위험지각, 가격의식, 그리고 펀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쇼핑즐거움은 기각되었으며, 위험에 대한 지각과 가격의식 그리고 편리성은 두 집단을 구분하는 유의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즉 온라인 소비자는 위험에 대한 지각을 낮게 하였으며, 가격에 민감하였고, 펀리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장소에 따른 방문자의 방문 동기 유형 및 평가 결정요인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 with Motivation of Visiting and Evaluation by Location Type)

  • 최열;이재현;성유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3D호
    • /
    • pp.275-281
    • /
    • 2012
  • 본 연구는 동기와 방문의 관련성을 해안형과 도심형으로 장소 유형을 분류하여 부산지역 특정 장소를 방문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문객들은 방문지를 선택하는 데 있어 다양한 목적과 동기를 가지고 참여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방문 동기는 방문객들의 방문 행동을 이해하거나 방문지 선택과정에 중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방문객들이 왜 특정 장소를 선택하여 방문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방문 대상지의 정책 수립이나 마케팅에도 강력한 도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접 설문을 통하여 이러한 동기와 방문의 관련성을 부산지역 특정 장소를 방문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소의 방문 동기별 방문의 관련성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관계를 직접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정한 속성 및 서비스의 집중과 대상지의 마케팅 계획수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근거를 Ordinal Logit Model을 이용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산역(釜山驛) 상점가(商店街)의 패턴( I ) (The Pattern of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I ))

  • 김원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75
    • /
    • 1999
  • `역전(驛前) 상점가(商店街)'는 도시 내부에 있어서 자연적 혹은 유기적인 중심지의 계층구조에 의해서 결절된 중심지가 아니다. '기차역'이라고 하는 특수한 기능의 견인력에 의해서 그 부근에 형성된, 오히려 특수 상점가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지역은 개항(開港) 이전에는 왜관(倭館)이 있었던 곳이며, 개항 후에는 왜관이 일본인 거류민지로 승격하게 된다. 또한 지금은 점차 쇠퇴하고 있긴 하지만 '차이나 타운'이라고 하여 중국인의 거주지가 이 지역의 서부지대에 아직까지 존속하고 있다. 이곳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지역에 '텍사스 타운'이 있어서 과거부터 주한미군(駐韓美軍)과 외국인 선원들을 고객으로 하는 환락가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이곳은 '러시아 타운'으로 변하여 가로의 대부분의 간판은 러시아어로 되어 있다. 이 가로를 따라서 가면 러시아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이 상점가와 인접하여 '초량시장'이 위치하고 있어서 과거부터 인근의 주택지를 serve하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69년 6월 10일에 새로운 역사(驛舍)가 준공되고 부산역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해 오면서 과거의 기능에 기차역이 견인하는 기능이 부가하게 된다. 크게 보면, 이러한 두 가지의 속성이 현재 부산역 상점가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역사(驛舍)가 있는 동부지대와 전통적으로 형성되어 왔던 서부지대는 그 토지이용과 구조면에서 않은 차이가 있다. 동부지대는 업무관리기능이 집적하고 있는 반면에 소매업 중에서도 상점가의 계층을 결정할 수 있는 중심성 상점은 전혀 입지하지 않고 있다. 이 지대는 대형의 고충건물이 많은 업무지구이다. 이것은 도심의 축소판으로서의 경향을 오히려 부도심보다도 더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부산역 상점가에 대해서 그 기능구성과 분포를 중심으로 패턴을 밝히려고 한다. 이 연구는 부산시 전체의 내부공간 구조를 밝히려는 일련의 연구의 한 부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PDF

대행 인터넷 쇼핑몰에서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ived Risks and Information Search on Satisfaction with Surrogate Internet Shopping Malls)

  • 김연희;배정훈;박재옥;이규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70-679
    • /
    • 2007
  • Contemporary consumers interested in fashion develop global tastes regarding consumption and senses on how much certain products cost in the global market place. Demand for foreign brands and products produced a new type of e-tailor called surrogate Internet shopping malls. Due to the unfamiliarity of such retailers, consumers may perceive different types of risks and may show different styles of seeking informations. The research interes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isk perception and information search between surrogate e-mall shoppers and general e-mall shopper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se two variables on consumer satisfaction.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Measures of three types of e-shopping risks (delivery, transaction, service), information search and satisfaction were included. Data from surrogate e-mall consumers and general e-mall consum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Surrogate e-mall shoppers showed a higher level of product delivery risk and customer service risk than general e-mall shoppers. They also spend more time in seeking information before making purchase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risk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information search and consumer satisfaction for surrogate e-mall shoppers, whereas for general e-mall shoppers, no significant influence was detected. The findings should assist marketers and academics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rrogate e-shopping ma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