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ing Length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2초

산꼬리풀의 효과적인 육묘를 위한 재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ivation Conditions on Effective Seedlings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 이상인;연수호;조주성;정미진;이철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1-188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특산식물이며 관상소재로 개발이 가능한 산꼬리풀의 효과적인 육묘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묘는 토양 종류와 비료 농도, 차광정도, 추비 농도, 종자의 광원 전처리 및 채종 시기별로 각 요인을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산꼬리풀은 원예상토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혼용토에서는 비료 첨가 시 생육이 억제되었다. 차광은 55% 차광조건에서 무차광에 비해 전체적인 생육이 향상되었다. 고농도(1000mg·L-1)의 Hyponex는 육묘 시 생육을 촉진하였으며, 파종 전 종자에 대한 적색광 조사는 추후 초장과 생체중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채종 시기는 2018년도 종자가 2017년 종자보다 생육이 우수하였다.

The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on early growth of milkweed (Calotropis procera L.) under drought stress

  • Taghvaei, Mansour;Kordestani, Mojtaba Dolat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343-349
    • /
    • 2012
  • The use of growth medium is often recommended milkweed seedlings to grow and develop after emergence, and it is affected by growth medium and local habitat conditions. The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on early growth of milkweed under drought stress (Calotropis procera L.) were studied in a field experiment. A split-split plot experimental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was carried out in the nursery. The main treatment plot was divided into two levels of shade; (no shading and partial shading). Sub treatment plot1 included growth medium at four levels (G1 = clay [suitable for milkweed growth], G2 = clay + sand, G3 = clay + perlite, G4 = clay + perlite + sand) and sub treatment plot2 included drought (irrigation intervals) at six levels (D1 = 2 [control], D2 = 4, D3 = 6, D4 = 8, D5 = 10, and D6 = 12 days per for three month). The results showed that drought stress significantly decreased emergence percentage, shoot length, shoot dry weight (SDW1), root dry weight (RDW), seedling dry weight (SDW2) and vigor index (VI). The use of growth medium increased all seedling characteristics. The G3 (clay + perlite) growth medium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especially in terms of emergence percentage and seedling dry weight. Partial shade improved shoot length, shoot dry weight, and vigor index. Our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treatment for high-vigor milkweed seedlings under drought stress was G3 (clay + perlite)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인삼생육의 최적광량에 관한 연구 제1보. 광도가 인삼의 지상부생육 및 근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Optimum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Punux ginseng ( I )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of Shoots and Roots of Ginseng Plants)

  • 이종화;이종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38-45
    • /
    • 1982
  • To determine the optimum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ginseng plants, change of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in son, occurrence alternaria blight, defoliation rate, chlorophyll contents, and growth of shoots and roots were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y such as 5%, 10%, 20% and 30% light transmittance rare(L.T.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Maximum temperature under the shading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whereas soil moisture content decreased 2.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stem and Peduncle length, leaf area, and chlorophyll contents decreased significantly but length and width of the leaf was not significant, while stem diameter, special leaf weight and chlorophyll a/chl. b ratio increased 3. Stem color was shown dark purp!e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4. Photosynthesis during the day was highest at 9 A.M. and decreased as time passed in all plots. The means of photouynthesis during the day showed in the order of 20%, 10%, 30%, 5% L.T.R., and optimum light intensity for highest photosxthesis was 18.4% L.T.R. by theoritical equation. 5. It was showed a tendency that alternaria leaf blight of ginseng plants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6. Defoliation rate of ginseng plants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especially all plants were defoliated by late June without shading. 7. Yield percentage of the rear line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Root weight per plant showed in the order of 20%, 10%, 30%, 5% L.T.R., and optimum light intensity for the best yield was 18.5% L.T.R. by theeritical equation.

  • PDF

특산식물 말오줌나무와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발아 및 분화묘 재배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Potted Seedlings Growth of Endemic Species,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and Sambucus sieboldiana for. xanthocarpa)

  • 이수광;이동준;김효연;구자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59-367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특산식물 말오줌나무와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저장방법 및 전처리가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과 토양종류 및 차광이 분화묘 재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말오줌나무의 종자 발아율은 60일간 노천매장 후 $GA_3$ 100 ppm 24시간 침지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48.6%)을 보였다.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 발아율은 30일간 저온습윤처리 후 $GA_3$ 100 ppm 24시간 침지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51.4%)을 나타내었다. 발아된 말오줌나무 유묘(신초 2 cm, 뿌리 3 cm)를 원예용상토로 충진된 분화 용기에 이식하여 50% 차광처리 조건에서 75일간 재배하면 초장 41 cm, 엽수 8매, 엽폭 16 cm, 엽장 18 cm, 근장 22 cm, 생중량 상/하, 20/6.9 g, 건중량 상/하, 4.5/2.0 g 이상의 우수한 분화묘 생산이 가능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발아된 노랑말오줌나무 유묘(신초 2 cm, 뿌리 3 cm)를 원예용상토로 충진된 분화 용기에 이식하여 무차광처리 조건(대조구)에서 75일간 생육시키면 초장 39 cm, 엽수 10매, 엽폭 12 cm, 엽장 15 cm, 근장 22 cm, 생중량 상/하, 21/13 g, 건중량 상/하, 4.2/2.2 g 이상의 우수한 분화묘 생산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말오줌나무와 노랑말오줌나무의 종자발아에는 노천매장이나 저온습윤처리 후 $GA_3$ 용액 침지처리가 필요하고 분화묘 재배에는 원예용상토가 충진된 분화용기에 이식 후 무차광 혹은 50% 차광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조량이 참비비추(Hosta clausa)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development of ground cover plant in Hosta clausa.)

  • 김광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7
    • /
    • 2004
  • 내음성 지피식물의 생리, 생태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3월 부터 10월 까지 참비비추를 재료로 하여 차광을 달리한 상태에서 이들 인공군락의 물질생산과 생장특징을 분석하였다. 3반복 완전임의배열법에 의하여 각 시험구 공히 식물별 전일광(비교구) 30%, 50%, 70% 차광율의 시험구를 설치하였으며 10일 간격으로 주변효과(Edg effect)를 고려한 Sampling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 하였다. 1. 8월 초순이후부터 9월 말경까지의 생육과정 차광조절구가 비교구에 비하여 엽수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전시험기간 중 30%차광구에서 9월 10일경 생엽수가 평균 10.1로서 최고치를 보였다. 2. Cont.구는 조절구에 비하여 시험기간 중엽의 신장과 신장율도 공히 낮은 경향을 보였다. 30% 차광구에서 9월 20일경에 엽장이 25.87cm로서 최고치를 보였다. 3. 시험기간중 생육경과에 따른 엽폭의 증가는 각 조절구 공히 8월 중순경까지는 완만한 경향을 보였으나, 8월 22일경부터 9월 10일경의 생육과정에서 엽폭의 증가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4. 엽병길이의 증가는 8월 초순경에서 8월 말경 사이의 생육과정에서 현저히 높은 신장율을 나타냈다. 6. 참비비추의 생육경과에 따른 엽수, 엽장 및 엽폭, 엽병길이의 생장은 30%, 50% 구에서 시험기간중 생육과정에서 비교구와 70%의 조절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고, 비교적 적은 광조건에서도 안정된 생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음지식물로서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가변길이 SIMD구조 쉐이더 명령어 및 컴파일러 설계 (Design of Compiler & Variable-Length Instructions for SIMD Structured Shader)

  • 곽재창;박태룡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691-269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그래픽 쉐이더 3.0 API를 지원하는 쉐이더 명령어 및 컴파일러를 설계하고 그 결과를 평가한다. 기존의 명령어와는 달리 가변길이의 명령어 구조를 제안하고 명령어의 길이를 줄여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구조의 그래픽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가변길이 및 2 페이즈 구조의 명령어를 지원하며 ESSL(ES Shading Language) 수준에서 쉐이더 프로그램이 가능한 쉐이더 컴파일러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명령어와 컴파일러 설계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크로노스그룹에서 제안하는 Conformance Test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제공하는 기본 GL 쉐이더의 기능 16개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전체 평균 37%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토양 종류와 광 조건이 희귀특산식물 연화바위솔 및 울릉연화바위솔 규격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Type and Light Condition on Seedling Quality of Rare and Endemic Plants Orostachys iwarenge and Orostachys iwarenge for. magnus)

  • 이수광;이동준;김효연;구자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4-182
    • /
    • 2014
  • 본 연구는 희귀식물 연화바위솔과 희귀특산식물 울릉연화바위솔의 종 보존을 위해 양질의 규격묘 생산방법을 구명하고자 토양종류와 광 조건이 규격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화바위솔과 울릉연화바위솔 모두 클라스만 토양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나타냈다. 광 조건에 따른 연화바위솔의 생육특성은 무차광 처리와 적색과 청색 LED 혼합처리조건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보였으며, 울릉연화바위솔은 LED 혼합처리조건과 50% 차광처리조건에서 우수한 생육특성을 나타냈다. 울릉연화바위솔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사토에서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각각의 생육특성과 생존율간의 상관분석 결과 연화바위솔은 초장과 엽장, 지상부생체중 사이에 0.8 이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울릉연화바위솔도 초장과 엽폭, 엽장 사이에 0.8 이상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 사이에 0.65 이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초장이 지상부 생육특성을 대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화바위솔과 울릉연화바위솔 모두 1차 측정 생존율과 2차 측정 생존율 사이에 0.8 이상의 상관관계를 보여 초기 유묘 초장과 생존율 관리가 양질의 규격묘 획득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화바위솔과 울릉연화바위솔을 3월 중순에 파종하여 30일 후 지상부 2 mm, 지하부 3 mm 이상 되는 유묘를 클라스만 상토가 충진된 72구 트레이에 이식하고 적색과 청색의 LED 혼합처리조건에 35일 간 육묘하면 초장과 근장이 각각 2.5~4 cm, 3~5 cm 이상 되고 엽수가 11매 이상 되는 규격묘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자저장방법 및 차광처리가 희귀식물 대청부채와 부채붓꽃의 발아와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torage Methods and Shading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Endangered Species, Iris dichotoma and Iris setosa)

  • 이수광;김효연;이기철;구자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60-66
    • /
    • 2015
  • 본 연구는 희귀식물인 대청부채와 부채붓꽃 종자저장방법과 적절한 차광처리를 구명하여 최적의 발아조건을 탐색하고 건전한 유묘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종자저장은 $-20^{\circ}C$, $2^{\circ}C$저장, $2^{\circ}C$ 습윤저장(30일, 60일), 노천매장, 상온저장의 6가지로 하였다. 차광처리는 온실내 대조구(무차광처리), 50% 차광처리, 80% 차광처리의 3가지로 하였다. 그 결과 대청부채의 발아율은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가장 높은 발아율(75%)을 나타내었으며 중간 저장성 종자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채붓꽃의 발아율은 대청부채와 비슷한 경향으로 60일 저온습윤저장시 90%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80% 차광처리조건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95%)을 나타내었고, 건조한 조건에서 저장이 어려운 난저장성 종자로 생각된다. 대청부채의 유묘 특성은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초장 6.4 cm, 엽수 3매, 엽폭 4.6 mm, 엽장 5.7 cm, 근장 11 cm, 생중량(지상/지하부) 144 mg/260 mg, 건중량(지상/지하부) 31 mg/20 mg, 유묘활력지수와 변형된 활력지수가 각각 13,895 및 9,479로 가장 우수한 유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부채붓꽃의 유묘 특성 또한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초장 7.2 cm, 엽수 4매, 엽폭 3.2 mm, 엽장 6.8 cm, 근장 7.5 cm, 생중량(지상/지하부) 97 mg/153 mg, 건중량(지상/지하부) 17 mg/17 mg, 유묘활력지수와 변형된 활력지수가 각각 13,256 및 8,668로 가장 우수한 유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청부채와 부채붓꽃 종자는 60일 저온습윤저장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 파종시 각각 75%, 90% 이상의 발아율과 양질의 우수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면전극 접촉 특성 연구 (Study of contact property of front grid in screen printed silicon solar cell)

  • 김성탁;박성은;김영도;송주용;박효민;김현호;탁성주;김동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2.1-42.1
    • /
    • 2010
  •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면 전극은 전극 면적으로 인한 손실(shading loss)를 줄이고 단락전류밀도(Jsc)를 높이기 위해 전극 너비를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전극 소성(firing) 시 전면 전극의 핑거(finger)와 버스바(busbar)의 너비 차이로 인해 전극 침투(fire-through)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극 소성 공정 시 전면 전극의 너비에 따른 전극 침투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접촉 저항(specific contact resistance)과 재결정화(Ag recrystallite) 된 전면전극의 분포에 대해 비교하였다. 접촉 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transfer length method(TLM)를 이용하였다. 또한 전면 전극층을 제거한 후 실리콘 기판의 재결정 분포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PDF

그늘하에서의 Kentucky Bluegrass와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생육비교 (A Comparison of Vegetativ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and Perennial Ryegrass Cultivars in Different Levels of Shade)

  • 구자형;김태일;원동찬;송남현;송천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32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egetative growth of two cool season turfgrasses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Ten respective cultivars of Kentucky bluegrass [Poapratensis L.] and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were exposed to unshaded, 30% and 60% shade for 4odays. First mowing height was 7cm, and then clippings were harvested every ten days at the same height. Shading increased the total length of clippings of all cultivars of two turfgrasses, but fresh and dry weigh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highest shoot length obtained at 30% shade in Kentucky bluegrass and at 60% shade in perennial ryegrass. 'Rugky', 'Sydsport', 'Wabash' and 'Baron' of Kentucky bluegrass and 'Repel', 'Omega II', 'Ovation', 'Linn', 'Bell' and 'Manhattan' of perennial ryegrass showed relatively high tolerance to shade. Especially, in 'Citation II' perennial ryegrass, fresh and dry weight were increased by 30% shade. The number of tillers gener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hade. In 30% shade, 'Midnight' Kentucky bluegrass and 'Omega II' perennial ryegrass were least reduced and 'Baron' Kentucky bluegrass and 'Pennant' perennial ryegrass were most reduced. The cultivars of lower growth habit in full sunlight showed shade tolerance compared to those of higher growth hab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