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ual Maturity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2초

산난계의 유전적 모수 추정과 조기선발효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and Selection Efficiency on Early Part-record for Improving Egg Production in Layer)

  • 이득환;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8
    • /
    • 1988
  • 산난종계의 주요 경제형질인 산난양의 개량은 단기검정에 의한 조기선발이 실용화되고 있는 바 산난수에 대하여 조기선발 하였을 경우 조기선발의 최적시기 및 조기선발에서 기대되는 상관적 선발효율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계통의 일반능력을 조사란 평균치는 초산일령에서 150.5 일과 159.1 일이었고 조기산란수는 W계통에서 후기산란수는 B계통에서 더 많이 산란하였고 총산란수는 두 계통 모두 272개로 비슷하게 산란하였다. 2. 초산일령과 산란수에 대한 유전력 및 표준오차 추정치는 두 계통에서 전자매분산성분으로 추정하였을 때 $0.37\pm0.09$~$0.49\pm0.10$$0.18\pm0.10$x~$0.33\pm0.08$로 추정되었다. 특히 산란수에 대한 추정치는 W계통은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B계통에서는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더 높았고 두 계통 모두 후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보다 조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이 더 높게 추정되었다. 3. 각 조사형질들 간의 유전상관 및 표준오차의 추정결과는 W와 B계통에서 전자매공분산성분에 의하여 추정하였을 때 조기산란수와의 유전상관에 있어서 후기산란수는 $0.46\pm0.15$$0.39\pm0.16$, 총산란수는 $0.77\pm0.07$$0.76\pm0.08$ 초산일령은 -$0.77\pm0.06$$-0.82\pm0.05$이었고 후기산란수와는 총산란수는 $0.92\pm0.03$$0.89\pm0.04$로 비교적 높게 추정되었으며 초산일영령 $-0.11\pm0.17$$-0.15\pm0.18$로 미약한 원의 상관을 보였다. 총산란수와 초산일령과의 유전상관은 W계통에서 $-0.41\pm0.13$과 B계통에서 -$0.50\pm$0.13으로 모두 원의 상관을 보여 산란수에 준한 선발은 초산일영을 단축시킨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4. 선발효율의 추정결과는 초산 시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1.69와 1.80) 이 시기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였을 경우 초산일령과의 견전상관을 고려할 때 초산일영을 크게 단축시킬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초산일령의 단축으로 인한 난중의 감소 및 자료수집에 필요한 경비 등을 고려할 때 31주령 이후, 특히 31주령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기녹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란계의 경제형질과 연파란 발생비율에 관한 연구 1. 유색산란계 연파란율과 다른 형질과의 상관 (Studies on the Effects of Economic Traits on the Frequency of Soft and Broken Eggs in Laying Hens 1.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Traits on the Frequency of Soft and Broken Eggs in Colored Laying Hens)

  • 정익정;송인섭;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77-185
    • /
    • 1992
  • 본 연구는 대한양계협회에서 1985년부터 1991년까지 7회에 걸쳐 실시한 산난계 경제능력 검정성적을 기초로 하여 유색산난계의 연파난 발생비율과 다른 형질간의 년차별 평균능력의 변화와 연파난 발생비율이 다른 형질들에 의해 변화되는 정도를 추정하여 상관계수를 구하여 산난계의 연파난 발생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산란계 개량 방향과 사양관리조건 개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색산난계의 18∼72주령 초산일령은 163.6일, 산난율은 79.49%, 산난지수는 272.9개, 난중은 62.69g이었으며, 연파난 발생비율은 1.141%이었고 백색산난계는 18∼72주령에 각 형질의 평균능력이 각각 157.2일, 77.87%, 265.1개, 60.26g이었으며 연파난 발생비율은 1.174%이었다. 2. 유색산난계의 18∼72주령과 18∼78주령에 조사된 각 형질의 능력에 대한 유의성 검정결과 생존율, 초산일령, 산난율, 사료요구율, 체중 및 연파난 발생비율은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P<0.01)이 인정되었다. 3. 유색산난계의 '85∼'91년 기간중 18∼72주령에는 초산일령은 168.5일에서 155.9일로 단축되었고 연파난 발생비율은 1.4∼l.69%에서 0.89∼0.94%로 감소하였으며, 18∼78주령에는 산난율은 74.5∼75.1%에서 77.8∼80.6%로 증가하였고, 산난지수는 302.0∼304.6개로 증가하였고, 연파난율은 1.54∼2.02%에서 0.98% 내외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 유색산난계에 대한 각 형질의 능력에 따른 21∼72주령의 연파난 발생비율과의 상관계수는 초산일령 0.3985, 난중 0.1072, 72주령 체중은 0.4225로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산난율은 -0.5662, 산난지수는 -0.2896, 그리고 사료요구율과는 -0.245로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5. 유색산난계의 21∼78주령 각 형질의 능력에 따른 연파난 발생비율과의 상관계수는 초산 일령 0.3971, 난중 0.1171 그리고 78주령 체중은 0.4609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고, 산난율은 -0.5041, 산난지수는 -0.2372 그리고 사료요구율은 -0.2421로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 PDF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Neptunea(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

  • 김연호;정의영;신문섭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155-165
    • /
    • 2007
  •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남 보령시 외연도 앞바다에서 형망으로 채집된 갈색띠매물고둥(Neptunea(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을 대상으로 번식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식소지수, 비만도지수, 생식주기, 군성숙도 및 성비를 조사하였다. 산란기를 간접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조사한 생식소지수(GI)의 변화는 생식소 발달 단계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생식소지수(GI)는 암, 수 모두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4월에 최대값에 이른 후 $5{\sim}8$월까지 계속 감소하였으며, $9{\sim}12$월까지 점차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암, 수의 생식소지수 및 비만도지수(CI)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 발단 단계 및 산란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생식소 발달 단계에 따른 생식주기는 암컷의 경우, 초기활성기($9{\sim}10$월), 후기활성기($11{\sim}2$월), 완숙기($2{\sim}6$월), 부분산란기($5{\sim}8$월), 회복기($6{\sim}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고, 수컷의 경우도 초기활성기($9{\sim}10$월), 후기활성기($11{\sim}2$월), 완숙기($2{\sim}6$월), 교미기($4{\sim}7$월), 회복기($7{\sim}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산란은 암컷의 경우 $5{\sim}8$월 사이에 일어나며, 수컷은 $4{\sim}7$월에 교미가 일어난다. 암컷의 산란 성기는 $6{\sim}7$월이었다. 각고 $50.1{\sim}60.0\;mm$인 암, 수 개체들의 군성숙도(%)는 각각 54.8%와 57.1%를 나타내어 군성숙도 50% 이상이었고, 각고 60.1 mm 이상인 암, 수 개체들의 군성숙도는 100%이었다. 암, 수의 성비는 1:1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실용계군에 있어서 누진퇴교배에 의한 주요경제형질의 유전적 변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enetic Variations of the Economic Traits by Backcrossing in Commercial Chickens)

  • 이종극;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1-71
    • /
    • 1989
  • 본 연구는 실용계군에서 부계통 종계에 누진적으로 퇴교배를 수행하였을 때 변화하는 산란형질의 일반능력과 유전력 및 유전상관을 분석하므로 산란형질과 집단에 대한 유전적 변이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시험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실험계사에서 실용계 I 계통을 기초계군으로 사용하여 1985~1987연까지 사육된 1,230수를 이용하여 60주령까지의 각 개체별 성적을 기초로 하였으며, 교배조합별 그리고 누진퇴교배 세대별에 따른 일반능력 및 유전적 변이에 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된 각 형질의 일반능력($Mean\pmS$_{D}$$)은 8주령 체중이 $663.94\pm87.11$g, 20주령 체중은$1579.1\pm155.43$g, 40주령 및 60주령 체중은 각각 $2124.1\pm215.31$g, $2269.1\pm242.94$g으로 20주영 체중을 제외한 모든 체중에 대해 퇴교배에 따른 고도의 유의차를 보였다(P<0.01). 산란형질에 대한 일반능력은 초산일령(SM)이 $168.43\pm12.94$일, 60주령 까지의 총산란수(TEN)는 $214.82\pm29.82$ 개, 평균난중(AEW)은 $61.45\pm3.48$g, 60주령까지의 총산란중량(TEM)은 $13180.7\pm1823.22$g으로 평균난중(AEW)을 제외한 모든 산란형질이 퇴교배에 대한 고도의 유의차를 보이고 있다(P<0.01). 한편 퇴교배회수가 증가할수록 산란성적이 우수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실용계에서 퇴교배를 하여감에 따라 분리된 유전자가 우수한 형질을 발현하도록 하는 유전자로 고정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2. 각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다음과 같다. 초산일령(SM)과 평균난중(AEW)의 유전력은 각각 0.47~0.52, 0.40~0.54로 유전력이 비교적 높은 형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총산란수(TEN)와 총산란중량(TEM)의 유전역은 각각 0.07~0.37, 0.18~0.27로 유전력이 낮은 형질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든 산란형질의 유전력이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 보다 높게 나타나서 이들 형질의 모체효과를 포함한 비상가적 유전분산의 효과를 시사하고 있다. 3. 퇴교배에 따른 유전력 변화를 부모분산성분에 의하여 살피보면 기초계군(BC0), 퇴교배 1세대(BC1), 퇴교배 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초산일령(SM)은 0.47, 0.42, 0.51 이였으며 총산란수(TEN)에서는 0.28, 0.13, 0.27으로 유전역 변화의 일정한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난중(AEW)과 총산란 중량(TEM)에서는 기초계군(BC0), 퇴교배1세대(BC1), 퇴교배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0.59, 0.43, 0.35와 0.28, 0.20, 0.18로 추정되어 뚜렷한 유전력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난중과 총산란중량에 대한 유전적 변이의 감소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4. 산란형질간의 유전상관을 살펴보면 초산일령(SM)과 총산란수(TEN)간의 유전상관은 -0.55이고 초산일령(SM)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42로 부의 상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초산일령(SM)과 평균난중(AEW)간은 0.20으로 낮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수(TEN)간은 -0.29이고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31의 낮은 유전상관을 보이고 있다. 한편 총산란중량(TEM)과 총산란수(TEN)간은 0.82의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므로 이상의 결과에서 총산란중량(TEM)에 관여하는 것은 평균난중(AEW) 보다는 주로 총산란수(TEN)에 기인하는 것 같다. 또한 총산란수( TEN)는 초산일령( SM)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총산란중양(TEM)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총산란수(TEN)를 증가시키고 초산일령(SM)을 단축시키는 것이 평균난중(AEW)을 증가시키는 것보다 더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퇴교배가 진행됨에 따라 각 형질간의 우전상관사이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퇴교배가 증가할수록 총산란중량과 총산란수간의 유전상관은 높아졌고 (BC0 : 0.79, BC1 : 0.82, BC2 : 0.91), 총산란중량과 평균난중간의 유전상관은 뚜렷한 경향치가 관측되지 않았으며 총산란중량과 초산일령간의 유전상관은 감소하였다(BC0:-0.54, BC1:-0.36, BC2 :-0.09). 그러므로 총산란중량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평균난중이 아니라 총산란수이며 퇴교배가 진행될수록 초산일령의 효과는 감소하였다.

  • PDF

Restriction of Metabolizable Energy in Broiler Growers and Its Impact on Grower and Breeder Performance

  • Sunder, G. Skyam;Kumar, Ch. Vijaya;Panda, A.K.;Raju, M.V.L.N.;Rao, S.V. Rama;Gopinath, N.C.S.;Reddy, M.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8호
    • /
    • pp.1258-1265
    • /
    • 2007
  • Metabolizable energy (ME) required for basal metabolism, activity and growth was considered as the criterion for targeting specific increases in body weight (100 g/week) of broiler chicks during the grower phase (5-20 weeks) and its impact was evaluated on breeder performance. Broiler female chicks (460) from a synthetic dam line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4 test groups with 23 replicates of 5 birds each and housed in cages. The first group (ME-100) was offered a calculated amount of ME by providing a measured quantity of grower diet (160 g protein and 2,600 kcal ME/kg) which increased with age and weight gain (133-294 kcal/bird/day). The other three groups were offered 10 or 20% less ME (ME-90 and ME-80, respectively) and 10% excess ME (ME-110) over the control group (ME-100). From 21 weeks of age, a single breeder diet (170 g protein and 2,600 kcal ME/kg) was uniformly fed to all groups and the impact of grower ME restriction on breeder performance evaluated up to 58 weeks. The targeted body weight gain of 1,600 g in a 16-week period was achieved by pullets of the ME-100 group almost one week earlier by gaining 8.7 g more weight per week. However, pullets in the ME-90 group gained 1,571 g during the same period, which was closer to the targeted weight. At 20 weeks of age,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feed (5.21-5.37), ME (13.9-14.1 kcal/g weight gain) and protein (0.847-0.871 g/g weight gain), eviscerated meat yield, giblet and tibia weights were not influenced by ME restriction, but the weights of abdominal fat and liver were higher with increased ME intake. Reduction of ME by 10% in the grower period significantly delayed sexual maturity (169.3 d), but increased egg production (152.5 /bird) with better persistency. Improved conversion efficiency of feed, ME and protein per g egg content were also observed in this group up to 56 weeks. The fertility and hatchability at 58 weeks of age were higher in the ME-90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and 10% excess ME feeding.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argeted weight gain in broiler growers by feeding measured quantities of ME during the rearing period with consequential benefits in breeder performance.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가 Holstein 젖소 미경산우의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of Whole Crop Barley Silage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s of Holstein Heifers)

  • 백광수;김원호;박성재;이왕식;전병순;임현주;김현섭;장원경;국길;장기영;이병철;김광현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247-252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2008 and 2009 in four dairy far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of whole crop barley silage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Holstein heifers. Two diets, mixed hay or whole crop barley silage separately from concentrate were fed 6-month old Holstein heifers (=37). In control group (=CON), heifers (n=16) were fed 6 kg (/head) mixed hay and 4 kg (/head) commercial diet. In whole crop barley silage group (=WBS), heifers (n=21) were fed 10 kg (/head) whole crop barley silage, 4 kg (/head) mixed hay and 2 kg (/head) commercial diet. To manage body weight gain, the body condition score of heifers were measured every month.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Body weight in CON and WBS heifers at 13-, 14-, 15- and 17-month old were $340{\pm}17.9$ and $342{\pm}13.6\;kg$, $356{\pm}15.7$ and $366{\pm}14.7\;kg$, $382{\pm}13.1$ and $387{\pm}14.4\;kg$, and $429{\pm}15.0$ and $417{\pm}10.3\;kg$, respectively. 2. Body condition score in CON and WBS heifers at 9-, 12-, 15- and 17-month old were $2.88{\pm}0.04$ and $2.80{\pm}0.04$, $2.88{\pm}0.04$ and $2.80{\pm}0.04$, $2.89{\pm}0.08$ and $3.00{\pm}0.07$, and $2.89{\pm}0.08$ and $3.00{\pm}0.07$, respectively. 3. Average age of sexual maturity in CON and WBS heifers were $437.3{\pm}9.9$days and $939.6{\pm}12.5$days, WBS group heifers were significantly shorter (p<0.05) than CON group heifers. 4. First-service conception rates in CON or WBS group were 81.3% (13/16) and 66.7% (14121), respectively, and cumulative conception rate to 2nd artificial insemination were 87.5% for CON and 85.7% for WBS group. Conception rate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성 감별 유전자를 도입한 다산계계통 신품종 육종에 관한 연구 I. 반생유전계통 조성 (Breeding of New Synthetic Egg Production Line in Domestic Chicken by Intlroducing Sex Linked Gene. I. Production of the Autosexing Breed)

  • 오봉국;손시환;이정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3-123
    • /
    • 1992
  • 본 연구는 반성은색유전자(S:silver gene)를 도입하여 성 감별용 산란종계 계통으로 육성하여 이를 모계통으로 이용함으로서 깃털에 의한 자웅감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잡종강세를 이용한 우수실용계를 작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암수 감별용 계통 조성을 위하여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백색 실용계 수컷(Z$^{s}$ Z$^{s}$ ) 및 갈색 실용계 암컷(Z$^{s}$ W)을 이용하여 이들 중 우수개체를 선발하여 교잡시킴으로서 생산된 개체중 유전적 조성이 은색유전자를 동형(homo)으로 가진 개체들을 모계통으로 육성하고, 부계통 조성을 위하여서는 갈색유전자를 동형으로 가진 개체를 선발 육성하므로서 감별의 원종계를 작출하였다. 이들 조성된 계통을 이용하여 생산능력이 우수한 계통으로 육종하기 위하여 폐쇄군 육종방법(clossed flock breeding)을 사용하였다. 합성종 계계의 산란능력 검정 결과 60주령까지의 산란기록에 근거한 주요 경제능력은 초산 일령 161일, 60주령시 산난수 219개, 산난율 84% 평균난중 61g으로 외국에서 수입되는 우수종계에 버금가는 성적을 나타내었다. 또한 깃털에 의한 자웅감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산난능력도 우수한 실용성 있는 암수 감별용 합성종을 육성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합성종 계통의 유전분석 결과 이들의 유전모수가 정상집단의 유전모수와 유사한 추정치를 보임으로서 특정계통 조성을 위한 선발에 기인된 유전변이의 변화는 거의 없음을 시사한다.

  • PDF

사람의 SOD-3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닭 생산 연구 (A Study of the Generation of Transgenic Chickens That Express Human SOD-3 Protein)

  • 변승준;박철;김진아;우제석;이휘철;김태윤;김상훈;성환후;박진기;전익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1-245
    • /
    • 2008
  • 형질 전환 닭 생산 방법들 가운데 목적 유전자 운반에 탁월한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렌티바이러스는 배반엽 단계 수정란을 이용한 형질 전환 닭 생산 연구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조합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사람의 SOD-3 단백질이 닭의 ovalbumin 프로모터에 의해서 유도되는 형질 전환 닭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사람의 SOD-3 단백질은 호흡 과정에서 체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중화시키는 탁월한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보 병아리의 생산은 앞서 언급한 유전자를 가지는 $1{\times}10^6$ cfu/mL 재조합 렌티바이러스를 배반엽 단계 수정란의 미세 주입하고 대리난각 배양법을 이용하여 배양기에서 21일 동안 배양하는 방법으로 생산하였다. 유전자를 미세주입한 341개의 수정란에서 78수의 후보 형질 전환 병아리를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후보 형질 전환 병아리들의 유전 분석은 PCR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유전 분석 결과는 성 성숙에 이른 47수의 수컷들 가운데 2수의 정액에서 사람의 SOD-3 유전자가 존재함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완전한 형태의 형질전환 닭 생산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Comparative assessment of age, growth and food habit of the black-chinned tilapia, Sarotherodon melanotheron (Rüppell, 1852), from a closed and open lagoon, Ghana

  • Zuh, Cephas Kwesi;Abobi, Seth Mensah;Campion, Benjamin Betey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31.1-31.12
    • /
    • 2019
  • Background: The black-chinned tilapia, Sarotherodon melanotheron, is the most abundant fish species in the Nakwa (an open lagoon) and Brenu (a closed lagoon) in the Central Region of Ghana. Aspects of the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and the ecology of the fish populations in both lagoons were studied to assess the bio-ecological status of this important resource. Methods: Fish samples were obtained from fishermen that fish on the Nakwa and Brenu lagoons using cast, drag and gill nets. The age of the fish was assessed from otoliths analysis and its growth modelled following the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fish populations were analysed using power regression and ANOVA for parameters comparisons, and Student's t test to determine whether species grew isometrically. The percentage occurrence method was used to analyse the stomach contents of the fish. Results: A total of 382 fish samples from both lagoons were measured, comprising 209 from Nakwa lagoon and 176 from Brenu lagoon. The size and weight of fish samples ranged between 3.9-11.5 cm total length and 1.0-27.3 g for Nakwa Lagoon and 5.6-12.8 cm total length and 3.2-29.8 g for the Brenu Lagoon. The estimated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were L∞ = 12.04 cm and K = 2.76/year for the Nakwa Lagoon samples and L∞ = 13.44 cm and K = 3.27/year for Brenu Lagoon samples. Daily otolith incremental rate ranged from 0.01-0.03 mm per day to 0.01-0.02 mm per day for Nakwa and Brenu lagoons, respectively. Stomach content analysis of the fish samples revealed that the species are planktivorous and the range of food varied between the lagoons. Green algae were the most prevalent food item in the stomachs of the fish samples from Nakwa with the frequency of 69% whilst diatoms (80.5%) were most prevalent phytoplanktonic food item for the fish in Brenu lagoon. Conclusions: The estimates of asymptotic length for the species in both lagoons are close to known values of the species length at first sexual maturity and points to intensive fishing pressure. As a consequence, a comprehensive sample-based survey is required in both lagoons to derive estimates of management reference points. The results of the stomach content analysis are beneficial to the construction of diet matrix for ecosystem models of the two systems.

The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and Feed Form on Growth, Carcass Characteristics and Days to First Egg of Japanese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 Ocak, N.;Erener,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79-1484
    • /
    • 2005
  •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and feed form on the growth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arcass and digestive tract, and days to first egg of Japanese quail (JQ, Coturnix coturnix japonica). A total of 240 oneweek-old JQ chicks were allocated randomly into 4 experimental groups that consisted of 3 replicates according to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for two feeding methods (ad libitum, AF and restricted feeding, RF) and two diet forms (mash, MD and crumble, CD). The JQ chicks were placed in a room with floor battery brooders and fed a commercial starter diet from 7 to 14 d of ag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four treatments (1: ad libitum MD, 2: restricted MD, 3: ad libitum CD, and 4: restricted CD) were applied. Feed restriction was applied by 30% reduction of ad libitum feed intake for both MD and CD from 15 to 28 d of age. All birds were fed ad libitum with treatment diets from 29 d of age until the first laid egg seen (45 d of age). The commercial starter diet, MD and CD were in the same nutrient content (240 g crude protein with 13.4 MJ ME per kg diet). The body weight and overall feed conversion ratio (g feed/g gain) were higher (p<0.05) for the AF quails than the RF at 42 d of age. Carcass weights, dressing percentage and percentage yields of breast and back were similar for AF and RF groups at 42 d of age. The RF delayed (p<0.05) onset of egg production 2 days compared to the AF. Quail fed with the CD showed higher value (p<0.05) for carcass weight and dressing percentage at 42 d of age compared to birds fed with the MD. The interaction effect of feeding method${\times}$feed form on any of the studied parameters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that feed restriction as in the present study can achieve a better feed conversion without reduction in carcass weight, and a significant benefit of feeding the crumble diet over the mash diet was obtained in terms of carcass weight in the J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