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ven Emotions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2초

피부병의 형상의학적 치료 (Treatment of Skin Diseases in Hyungsang Medicine)

  • 석민희;황원덕;정행규;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46-669
    • /
    • 2004
  • By treating skin diseases with Hyungsang medicine and reviewing the clinical cases of them through classifying skin diseases into general care and into Hyungsang medical care, the writer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ings. The skin is a house of Kyungnak, and it' s a place which Ki comes in and out, which human body controls conditions of his physiological function and which doctors can make a diagnosis from seeing it. The skin is subject to lung and large intestine in the point of organ, but in the point of movement, to spleen and stomach. Skin diseases come from unbalance of Ki and Hyul, mostly from fever in blood and also from Dam, Wind, Dampness and Dryness because of including fire. Generally skin diseases are treated according to classifying into distinctive symptoms, region, cause or time being occurred, and concomitant symptoms. After being divided into man and woman, age and youth, fatness and leanness, Jung Ki Shin Hyul type, visceral figures, Yukkyung shapes on Hyungsang medicine method, the remedy of skin diseases which is combined common meditation with Hyungsang medical method is efficacious. In distinguishing into man and woman, age and youth, man gets sick mainly by drinking liquor and exhausting Jung, woman is taken ill generally by indigestion and Damwha, especially by drinking liquor. Young child gets ill mostly from inherent weakness, but in many cases he is occurred by disturbed digestion, so he must be taken care of ingesting food. The aged becomes ill from weakening, so he must be treated according to reasons of diseases. To fatness and leanness, skin diseases are showed symptoms by weakened Yang, insufficient Yin or excess fever on the theory of upper and lower parts, by unbalance of Ki and Hyul on the theory of left and right, by Dryness and Dampness on the theory of front and rear and by insufficiency of vitality and combined fever on the theory of inside and outside. Therefore doctors must cure the symptoms according to the theory of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and inside and outside. In type of Jung Ki Shin Hyul, the balances between Jung-Hyul and Shin-Ki are important points. Concretely Jung type comes to easily shortage of Jung or gathering abnormally Dampness and Dam, Ki type is easy to make a mass with Ki or to be deficient of Ki, Shin type comes to press seven emotions togather or to be insufficient of Yin and fever inside, and Hyul type is inclined to be deficient of Hyul and to become feverish or to be deficient of Ki. Therefore on the ground of the above reasons skin diseases come into existence. Inclusively in Jung-Hyul type , Ki must be moved on the base of full Jung-Hyul, so Wukmijiwhangtang or Samultang is prescribed basically. In Shin-Ki type , Jung-Hyul is saved on the base of moving Ki, so Hyangsosan or Yijintang is the proper prescription. Considering the visceral figures, doctors judge for diagnosis and remedy by putting together the elements, that is, great and small sizes of a set of features (eye, ear, mouth, nose), color and temper. The yukkyung typ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many or few of Ki-Hyul, and then skin diseases appear by being inclined toward one side between Ki and hyul, or among the six atmospheric elements(wind, cold, heat, dampness, dryness, and fire). Especially because Yangmyung type is full of much Ki and Hyul, and also has much fever in stomach, he gets skin symptoms frequently. So his prescription is based on taking off fever in stomach, and also he must be careful about regimen certainly.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한시(漢詩) 연구(硏究) (Study on The Chinese Poems Composed by Mi-Am Yu Hee Choon)

  • 송재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383-406
    • /
    • 2014
  •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1513~1577)은 시를 생활의 일부로 여겼다. 그러므로 필자는 미암 유희춘의 한시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논의한 사항들을 종합하여 결론으로 삼으면 다음과 같다. 미암(眉巖)은 문학을 재도적(載道的)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하였다. 미암(眉巖)의 한시는 현재 300여수로 추산되는데, 필자가 파악한 작품은 285수이다. 그리고 미암(眉巖)은 진지한 자세로 작시(作詩)에 임했으며, 형식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다. 고시(古詩) 율시(律詩) 절구(絶句) 가운데 絶句(특히 칠언(七言))가 가장 많으며, 오언(五言)보다 칠언(七言)을 더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고시(古詩)의 경우, 전고(典故)가 비교적 많은 편이다. 절구(絶句)는 미암(眉巖)이 가장 능했던 시체(詩體)로, 주로 생활과 관련된 내용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율시(律詩)는 자기성찰이나 현실세계에 대한 자신의 심정을 표출한 내용의 시들이 많다. 미암(眉巖)의 시는 유배기와 해배 복관 이후기로 나눌 수 있다. 유배기는 학문 연마를 통한 자기수양(自己修養), 우정(友情), 애민(愛民) 등으로, 해배 복관 이후기는 충군(忠君), 지인(知人)들과의 교유, 감회(感懷), 숭조상문(崇祖尙門), 자기성찰(自己省察), 문학적 교감을 통한 부부애(夫婦愛)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미암(眉巖)의 시는 시제(詩題)에 음(吟) 송(送) 차운(次韻) 등이 붙은 작품이 많으며, 일상생활이나 체험사실 등과 관련된 시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태반은 담담하게 사실 그대로를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미암(眉巖)은 시를 생활의 일부로 여겼으며, 부인 송덕봉과 일상생활에서 겪었던 일을 시로써 수창하며 서로 문학적 교감을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소쇄원에 나타나는 전통 색채 분석과 의미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Symbol Found out in Soswaewon)

  • 한희정;조세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3-73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대표적 별서정원인 소쇄원을 사례로 전통 공간에서 나타나는 기호 및 기표로서의 상징적 색채발현 분석 및 그 의미 해석을 통해 작정 의도와 색채와의 관련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전통 색채 및 소쇄원의 작정배경 등에 대해서는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실증적 분석 대상으로서의 내용은 소쇄원도와 소쇄원 48영 시문에서 나타나는 경관 및 공간 요소 그리고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思想)에 근거한 오정색과 관련한 작시의 내용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소쇄원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요소를 크게 시각적, 공감각적, 상징 인식적 공간 요소로 구분하여 시각적 공간으로 공간 및 경물의 위치와 방위, 공감각적 공간으로 계절과 시간 및 오관, 상징 인식적 공간으로 칠정과 사단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공간요소에 대해 오정색 체계 분석을 통해 작정 의도와 공간 의미의 상관성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쇄원의 3개 공간 구성을 기준으로 색채를 분석한 결과, 모두 74개의 오정색 항목이 도출되었다. 첫째, 시각적 공간 구성요소에서는 청색 2회, 적색 1회, 황색 6회, 백색 4회, 흑색 5회 등 모두 18회의 오정색 요소가 나타났다. 이 분석 결과에서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청색과 적색보다도 만물의 근본을 상징하는 황색과 깨끗함과 순결을 상징하는 백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양산보의 소쇄원 작정 의도가 자연을 즐기는 데 우선을 두기보다는 오히려 정의롭지 못한 세상에 대한 작정자의 순결한 의지를 상징하기 위한 의미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둘째, 소쇄원 48영에서 주로 추출된 공감각적 공간 구성 요소에서는 청색 11회, 적색 8회, 황색 4회, 백색 5회, 흑색 10회 등 38회의 오정색 요소가 나타났다. 여기서는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청색과 적색이 세상의 근본과 순결 그리고 지식을 상징하는 황색과 흑색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써 비록 작정자의 세상에 대한 순결성을 지키고자한 의지로 공간을 작정하였지만, 별서정원에서 자연 즐김과 지식 탐구에 대한 감정을 누리려는 별서 고유의 기본적 기능에 충실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역시 48영에서 주로 추출된 상징 인식적 공간 요소에 대한 오정색은 청색 4회, 적색 5회, 백색 9회 등 18회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색채 분석 결과에서는 정치적 순결을 상징하는 백색이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청색과 적색과 같은 빈도로 출현하고 있음으로써 소쇄원의 작정 의도가 시를 통해 정치적 순결성 강조와 자연 즐김을 동일한 비중으로 감정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이 3종류의 분석에서 공감각적 공간 구성요소에 대한 오정색의 빈도가 38회로 약 51%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시각적 공간 구성 요소와 인지 상징적 공간 구성 요소가 각각 18회로 각 24.5%의 빈도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양산보의 소쇄원 작정 의도는 전체적으로 보면, 정의롭지 못한 세상에 대한 작정자의 순결성을 지키고자 함과 함께 별서정원의 기본인 자연과 자연의 생명력을 즐기려는 의도가 같은 비중으로 숨어있음을 상징하고 있다고 해석을 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쇄원 작정의 상징적 의미와 공간 구성 요소와의 상관성을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근거한 오정색을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전통 별서정원에서 숨어있는 전통 색채를 밝히고자 하였지만, 이러한 이론이 다른 별서정원에서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를 탐색하는 것은 소쇄원과는 다른, 순수한 자연 즐기기나 강학, 기능 등 뚜렷한 작정 의도가 숨어 있는 다른 사례의 별서정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